• Title/Summary/Keyword: 측정표준

Search Result 3,901, Processing Time 0.063 seconds

A Self-Visual Acuity Testing System by the KS Standard Optotype (KS 표준 시표에 의한 자가 시력 측정 시스템의 구현)

  • Choi, Chang-Yur;Lee, Woo-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893-894
    • /
    • 2009
  • 인간의 시력 측정을 위한 방법은 검사자를 필요로 하는 표준 시표 제작을 위한 수동적인 방법이 대부분으로 컴퓨터 기반의 자가 검사가 가능한 시력 측정 시스템 개발은 미흡한 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006년에 국제규격(ISO 8596)에 따라 정의된 KS 표준 시표(한국 산업규격 P ISO 8596)를 참조 한 컴퓨터 기반의 자가 시력 측정 시스템을 구현한다. 구현된 시스템은 란돌프 고리(Landolt's rings) 시표를 이용하여 측정거리에 제약이 없이 검사자의 주관적 판단이 배제된 시력 측정이 가능하며 효율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구현된 자가 시력 측정 시스템의 성능은 시력 측정자 100명을 대상으로 시력표에 의한 측정치와 비교 실험한 결과 시력 등급을 기준으로 87%의 일치도를 보였다.

The International Standard Tendency of Software Quality (소프트웨어 품질에 대한 국내외 표준화 동향)

  • Jung, Hye-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403-406
    • /
    • 2007
  • 현재 소프트웨어 품질에 대한 국제 표준이 새롭게 제정되어지고 있다. 소프트웨어 품질 측정을 위해서 사용하던 소프트웨어 품질 관련 국제 표준 문서인 ISO/IEC 9126을 소프트웨어 품질 측정 과정에 대한 표준 문서 ISO/IEC 14598과 함께 내용을 새롭게 정리하여 ISO/IEC 25000 시리즈 SQuaRE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품질을 좀더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안으로 새롭게 제정되어지고 있는 국제 표준에 대한 동향을 조사하고 국내 표준 동향 조사를 통해서 앞으로의 과제에 대하여 연구한다.

  • PDF

Development of a Maxwell-Wein Bridge for Precise Measurement of a 10 mH Inductance Standard (10 mH 인덕턴스 표준기 정밀측정용 Maxwell-Wein Bridge 개발)

  • Kim, Han-Jun;Lee, Rae-Duk;Kang, Jeon-Hong;Yu, Kwang-Min;Semenov, Yu.P.;Han, Sang-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b
    • /
    • pp.769-771
    • /
    • 2000
  • 저 주파수에서 인덕턴스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방법은 RLC를 이용한 resonance 방법과 교류브리지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현재 선진 국가표준기관에서의 인덕턴스 표준유지는 약 5 ppm정도이고, 인덕턴스 측정브리지는 국가에 따라 자체 개발하여 사용하며 평균적으로 약 20 ppm의 불확도로 보급을 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 수준으로 인덕턴스 표준을 유지, 보급하기 위하여 10nF의 전기용량 표준으로부터 10 mH의 인덕턴스를 유도할 수 있는 Maxwell-wein bridge가 개발이 되었다. 이 브리지가 개발됨으로서 10 mH의 경우 400 Hz$\sim$5 kHz의 주파수 범위내에서 약 8 ppm($2{\sigma}$)의 불화도로서 인덕턴스 표준을 유지할 수가 있게 되었다.

  • PDF

Assessment of ADCP discharge measurement uncertainty by GUM framework through large scale experiment (실규모 실험을 통한 GUM 기반의 ADCP 유량 측정불확도 산정)

  • Kim, Jong Min;Kim, Dong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8-18
    • /
    • 2021
  • 초음파 도플러 유속계(ADCP)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하천의 유속 및 수심을 측정하는 장비로 기존의 지점식 유속계와는 다르게 수심방향 유속분포와 수심을 한번에 측정하게 되며, 보트를 이용하여 하천을 횡단하게 되면 기존의 유속-면적법을 이용하는 방식보다 간편하고 빠르게 한 단면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점으로 인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대하천에서부터 중·소규모의 하천까지 다양한 범위에서 유량을 측정하는 장비로서 사용되어지고 있다. ADCP의 측정 유량은 유량관측소에서 수위-유량관계식을 구축할 때 사용하고 있으며, 이렇게 제공되는 유량은 하천의 중·장기 계획 수립, 수공구조물의 설계 및 수문·수리분야의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ADCP의 유량측정은 ADCP의 미측정 영역의 유량 추정, ADCP 잠김깊이의 정확도, 하안에서의 고정 측정시간 등 ADCP의 측정 과정이나, 유량 추정 방법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며. 이외에도 하천의 수심, 하상의 상태와 같은 측정 조건에 따라서도 정확도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측정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신뢰도가 높은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ADCP의 유량 측정결과에 대한 불확도를 발생시키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과 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1993년 ISO, BIPM, IFCC 등 6개 기구에서는 측정불확도를 산정하기 위한 측정불확도 산정 지침서(GUM, 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of Measurement)를 제시하였다. GUM 표준안은 측정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불확도 요인들을 불확도 전파법칙을 통해 전체 불확도를 산정하는 방식으로 WMO와 ISO의 유량 측정분야에서도 GUM 표준안을 측정불확도 산정 기준으로 공인하여 사용하고 있다(JCGM 100, 2008; ISO 25377, 2020). 이에 본 연구에서는 GUM 표준안을 이용하여 ADCP로 측정된 유량의 측정불확도를 산정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각 요인들에 대한 실험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ADCP의 측정 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은 자연에 가까운 형상을 모의하고 있고, 소하천 규모를 갖고 있는 하천연구센터에서 수행하였으며, 요인들에 대한 분석 방법 및 총 불확도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 PDF

Results of Key Comparison on LS1P Microphones (LS1P 마이크로폰 핵심측정표준 국제비교 결과)

  • Suh Jae Gap;Jho Moon Jae;Kwon Hyu-Sang;Suh Sang Joo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4
    • /
    • pp.194-201
    • /
    • 2005
  • Since the necessity for the accurate measurement in the field of acoustics, vibration, and ultrasound was internationally increased, CCAUV (Consultative Committee for Acoustics , Ultrasound and Vibration) was created by the CIPM (International Committee for Weights and Measures) in 1998. One of the first activities of CCAUV is the key comparison on 1' standard microphones. The key comparison was done from April. 1999 to April. 2001 and 12 NMIs(National Metrology Institutes) including KRISS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were participated. The pilot laboratory was the National Physical Laboratory(NPL). The traveling standards were two LSIP(Laboratory Standard 1' Pressure Type) microphones specified in IEC 61094-1 and the calibration frequency ranges covers from 63Hz to 8kHz. In this paper, the analyzed results in the final report were summarized.

Development of Uncertainty Evaluation Model for Vacuum Measurement Standards (진공측정표준의 불확도 평가모델 개발)

  • Hong, S.S.;Lim, J.Y.;Shin, Y.H.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20 no.5
    • /
    • pp.313-321
    • /
    • 2011
  •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KRISS) has three major vacuum systems: an ultrasonic interferometer manometer (UIM), a static volume expansion system (SVES), and an orifice-type dynamic expansion system (ODES). For each system explict measurement model equations with multiple variables are respectively given. According to ISO standards, all these system variables errors were used to calculate the expanded uncertainty (U).

The Evaluation of Recovery Rate of Radioimmunoassay Using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CRM) (인증표준물질(CRM)을 이용한 방사면역측정법의 회수율 평가)

  • Choi, Sung Hee;Shin, Sun Young;Lim, So Hee;Hong, Mee Kyung;Noh, Gyeong Woon;Kim, Jin Eui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Technology
    • /
    • v.18 no.1
    • /
    • pp.158-162
    • /
    • 2014
  • Purpose: Reference material (RM) is defined as material that is safe and homogeneous enough about specified characteristic that is made with a purpose of using test of measurement or nominal characteristic.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CRM), which is issued by authorized organization, is defined as reference material that provides characteristic value, link uncertainty and retroactiv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valuate recovery of radioimmunoassay by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enclosed with a certificate and therefore to enhance reliability of test. Materials and Methods: WHO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is purchased from NIBSC (National Institute for Biological Standard and Control, United Kingdom) and made of 3 levels that are C-1 (low concentration), C-2 (medium concentration) and C-3 (high concentration) and measured for kit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covery rate is evaluated after measurement at four different days. Results: Recovery rate results using WHO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are T4 90%, Ferritin 88%, PSA 94%, Prolactin 99%, AFP 94% and TSH 93%. Conclusion: A procedure that appropriate accuracy, precision, specificity, sensitivity, reproducibility, and validate on the subject of kit for radioimmunoassay is essential. Recovery rate assay as extraction efficiency of analysis process is percent about already measuring results of analysis result after all measuring process. This is very important assessment standards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immunoassay kit. Recovery rate results of 6 type used WHO CRM are satisfactory to 88~99%. This demonstrates that the radioimmunoassay is a very accurate measurement, which is very effectively utilized in clinical practice.

  • PDF

Case study on the Verification of "Essential Patent to Standard" using Document Similarity anal용yzed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형태학적 특성 기반의 유사문헌 검증기법을 이용한 표준특허 사례연구)

  • An, Jeong-Eun;Yoon,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c
    • /
    • pp.191-196
    • /
    • 2010
  • 표준특허란 표준문서의 규격을 기술적으로 구현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적용해야 하는 특허로서, 최근 선진국은 "R&D-특허-표준화의 연계"를 강화하고 있고 글로벌 기업 또한 표준과 연계한 특허 획득에 주력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기술선점, 시장지배력 및 경제적 파급효과 등의 표준특허 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정부와 정부부처의 산하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표준특허 관련 법 제도 등의 관련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표준특허 분석결과만이 연구결과로 공개되고 있을 뿐, 실제로 표준특허 선별을 위한 정형화된 기법은 전무한 상태이며 분석방법론 관련연구 또한 매우 미미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형태학적 특성에 기반을 두어 표준과 특허문서 간 유사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유사도를 분석하여 신뢰성 있게 표준특허를 선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그 적용사례를 분석한다.

  • PDF

EMI/EMC 측정기술 개요

  • 정연춘;김정환;정낙삼
    • 전기의세계
    • /
    • v.38 no.9
    • /
    • pp.18-27
    • /
    • 1989
  • 국내 EMI/EMC연구는 이제 태동기에 접어들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 연구는 크게 측정과 대책에 관한 연구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나, 두 분야가 상호보완적으로 접근되어야만 보다 효과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EMI/EMC 측정기술과 측정표준에 관련된 분야만 하더라도, 매우 넓은 범위의 다양한 대상이 있기 때문에 제한된 지면으로는 시각과 다른 각도에서 보는 경우도 많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아무튼 EMI/EMC 측정기술의 이해에 조금이나마 도움이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끝으로 국내 EMI/EMC 측정기술의 향상과 국내적인 측정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미국립표준기술원(NIST)에서 시행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Quality Control and Operating System of Standard Reference Data(SRD) (참조표준데이터 품질관리 및 운영체계에 관한 연구)

  • Chae Kyun-shik;Lee Eung-Bong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6 no.2
    • /
    • pp.283-305
    • /
    • 2005
  • Data produced during scientific and technical activities usually have value as standard reference data (SRD) which is a well-documented numeric value assessed for reliability and accuracy. The main criteria in the evaluation for SRD is how well their production is documented including a sample preparation, measurement method, data processing and so on, other than reference data. SRD is represented as a certified numeric value with uncertainty. In this study, the SRD in the area of material properties was introduced to provide understanding of SRD and its evaluation method. Also the national SRD system was studied. The national SRD system is composed of the center for the SRD, the data centers, and the committee. The role and task of those components were studied. The legislational and systematic supports for the system were proposed in this stud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