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측정오차

Search Result 4,662,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Study on Satellite Alignment Measurements Accuracy Improvement (인공위성 정렬 측정 정확도 향상을 위한 연구)

  • Choi, Jung Su;Kim, In-G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8 no.12
    • /
    • pp.987-995
    • /
    • 2020
  • Accurate alignment between high-performance payloads and attitude control sensors is essential factor to guarantee accurate attitude orientation and high pointing stability of the satellite. Space craft developers often use theodolite measurement system for satellite alignment during ground AIT(Assembly Integration and Test) phase. When measuring theodolite, errors may occur due to line of sight error, tilting axis error, vertical index error, and vertical axis error. In addition, errors that can occur during alignment measurements with multiple theodolites are analyzed through the alignment cube measurements test. Based on the alignment cube measurements test, a technical method that can improve the alignment measurement accuracy was suggested and it's measurements results satisfied the satellite design requirements.

Measurement of the Axial Displacement Error of a Segmented Mirror Using a Fizeau Interferometer (피조 간섭계를 이용한 단일 조각거울 광축방향 변위 오차 측정)

  • Ha-Lim, Jang;Jae-Hyuck, Choi;Jae-Bong, Song;Hagyong, Kihm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34 no.1
    • /
    • pp.22-30
    • /
    • 2023
  • The use of segmented mirrors is one of the ways to make the primary mirror of a spaceborne satellite larger, where several small mirrors are combined into a large monolithic mirror. To align multiple segmented mirrors as one large mirror, there must be no discontinuity in the x, y-axis (tilt) and axial alignment error (piston) between adjacent mirrors. When the tilt and piston are removed, we can collect the light in one direction and get an expected clear image. Therefore, we need a precise wavefront sensor that can measure the alignment error of the segmented mirrors in nm scale. The tilt error can be easily detected by the point spread image of the segmented mirrors, while the piston error is hard to detect because of the absence of apparent features, but makes a downgraded image. In this paper we used an optical testing interferometer such as a Fizeau interferometer, which has various advantages when aligning the segmented mirror on the ground, and focused on measuring the axial displacement error of a segmented mirror as the basic research of measuring the piston errors between adjacent mirrors. First, we calcul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xial displacement error of the segmented mirror and the surface defocus error of the interferometer and verified the calculated formula through experiments. Using the experimental results, we analyzed the measurement uncertainty and obtained the limitation of the Fizeau interferometer in detecting axial displacement errors.

The Accuracy Analysis of SIV(Surface Image Velocimetry) Associated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상관계수에 따른 표면영상유속계의 정확도 분석)

  • Joo, Yong-Woo;Kim, Seo-Jun;Yu, Kwoon-Kyu;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894-1897
    • /
    • 2009
  • 최근 개발된 표면영상유속계(Surface Image Velocimetry)를 이용한 유량측정기법은 비교적 짧은 시간에 급변하는 홍수량을 정확도를 유지하면서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표면영상유속계는 현장 상황과 사용 방법에 따라 측정된 유속값의 오차가 얼마나 발생하는지에 대한 근거가 없으며, 그 오차 범위가 명확하게 제시된 바가 없기 때문에 표면영상유속계의 신뢰성에 대해 의구심을 갖는 경우가 많다. 표면영상유속계의 유속측정 원리는 일정 시간간격을 갖는 두 영상내의 입자군 이동을 추적하여 유속벡터를 산정하는 것이다. 즉, 두 영상의 탐색 영역(searching area)내에서 각 입자군의 상관계수를 계산하여 최대상관계수를 갖는 입자군을 동일 입자군으로 판별하고, 동일 입자군의 도심간 거리와 두 영상의 시간간격을 이용하여 유속을 구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관계수가 높을수록 유속값이 정확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관계수에 따른 유속측정 오차를 분석하여 상관계수에 따른 표면영상유속계의 오차범위를 결정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은 활차의 속도와 영상분석을 통해 얻은 속도를 비교하여 상관계수에 따른 오차범위를 살펴보았고, 실제 적용을 위하여 개수로내의 표면유속를 측정하여 상관계수에 따른 오차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상관계수가 0.7 이상인 측정유속의 정확도는 10% 이내로 확인되었으며, 향후 표면영상 유속계를 이용한 유속측정시 상관계수별 오차범위를 이용하여 현장적용시 정확도 개선을 위해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automatic compensation of machining error in NC turning (NC 선반가공에 있어서 가공오차의 자동 보정에 관한 연구)

  • 박천경;박동삼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4 no.6
    • /
    • pp.1542-1551
    • /
    • 1990
  • This paper shown how to measure the machining error in diameter of cylindrical workpiece and compensate the measured machining error in NC turning. Machining error is measured by the electric micrometer mounted on the tool post with the NC part program for probe location path analyzed. Correct NC part program for finish turning is automatically generated to compensate the measured machining error. These concepts have been effectively introduced to a newly developed software for error compensation. In turning experiments with the developed error compensation system, machining error was almost within the specified tolerance, which reveals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system.

The Compensation Method of Current Measurement Error in AC Machine (교류 전동기의 전류 측정 오차 보정 방식)

  • Lee, Joon-Hwan;Lee, Kwnag-Woon;Lee, Sang-Taek;Lee, Won-Kyo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5.07a
    • /
    • pp.227-229
    • /
    • 2005
  • 교류전동기의 벡터제어 구동 시스템에서 상전류 측정 오차는 토크 및 속도 제어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맥동 없는 토크 및 속도 제어를 위해서는 상전류의 정확한 측정이 필요하다. 상전류 측정 오차는 오프셋(Offset) 변동에 의한 오차와 스케일(Scale) 차이에 의한 오차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각의 오차 성분은 고정자 전기 주파수의 1배 및 2배에 해당하는 토크 맥동을 야기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교류전동기 벡터제어 구동 시스템에서 상전류 측정 오차에 의한 토크 맥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시하며,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식의 타당성을 입증한다.

  • PDF

Error Minimization of Angular Velocity using Encoders and Gyro (엔코더와 자이로를 이용한 각속도 오차 최소화)

  • Kim, Jung-Min;Do, Joo-Cheol;Kim, Sung-Sh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0 no.6
    • /
    • pp.814-819
    • /
    • 2010
  • This paper is presented to study the error minimization of angular velocity for AGV(autonomous ground vehicle). The error minimization of angular velocity is related to localization techniqu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technique for autonomous vehicle. Accelerometer, yaw gyro and electronic compass have been used to measure angular velocity. And methods for error minimization of angular velocity have been actively studied through probabilistic methods and sensor fusion for AGVs. However, those sensors still occure accumulated error by mathematical error, system characters of each sensor, and computational cost are increased greatly when several sensor are used to correct accumulated error. Therefore, this paper studies about error minimization of angular velocity that just uses encoder and gyro. To experiment, we use autonomous vehicle which is made by ourselves. In experimental result, we verified that the localization error of proposed method has even less than the localization errors which we just used encoder and gyro respectively.

A Multi-Degree of Freedom Measurement System for Determining Geometric Errors in Miniaturized Machine Tool (소형공작기계의 기하학적 오차 평가를 위한 다자유도 측정시스템)

  • S. H., Kweon;Y., Liu;S. H., 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10a
    • /
    • pp.638-643
    • /
    • 2004
  • 소형화된 기계가공시스템은 사용재료의 다양화와 에너지 및 공간의 감소와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작고 정밀한 부품을 가공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이 비록 그 크기가 일반적인 가공시스템에 비해 작지만 정렬 및 조립공정, 기계요소의 불완정성에 의한 기하학적 오차는 여전히 존재한다. 기하학적 오차 평가는 기계시스템의 정밀도를 효과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오차보정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일반적으로, 3 축의 직선축으로 이루어진 공작기계는 21 개의 오차요소를 가진다. 레이져간섭계는 이러한 오차요소를 평가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광학계를 정렬하고 설치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한번의 설치로 한 개의 오차요소만이 측정 가능하다. 또한, 소형공작기계의 경우, 그 크기로 인해 기존의 레이져 간섭계를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형공작기계를 포함한 소형가공시스템의 기하학적 오차 평가를 위한 새로운 다자유도 측정시스템을 제안하였다. 5 개의 정전용량변위센서를 사용하는 이 시스템을 통해 한 축의 움직임에 따른 5 개의 오차요소를 동시에 측정 가능하다. 균질 변환행렬을 이용한 측정알고리듬을 구성하고 이를 모의시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각 센서의 출력값을 유도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오차요소를 계산하기 위한 식을 유도하였다. 여기서, 단순화된 식을 적용한 경우, 임의의 오차에 대한 측정 알고리듬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측정 시스템의 설치시 발생하는 셋업오차에 대한 측정 알고리듬의 민감도 분석을 행하였다. 제안하는 측정 시스템은 구조가 간단하고 고가의 부가장비가 필요치 않다. 또한, 적은 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높은 측정 정밀도를 가지고 소형가공시스템에 필요한 오차 평가를 행할 수 있다.가 함유된 계란을 생산하고 섭취하였을 때 특정항체들의 결합을 통해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이나 군체를 형성하는 것을 무력화시켜 결과적으로 병원균을 감소시키거나 억제시킨다는 점이다. 오늘날 약물에 내성을 지닌 박테리아의 출현으로 질병감염을 막는데 항생제의 사용효과가 점차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계란항체를 이용할 수 있다.한 중공 플랜지 형상의 단조 방법 중 보다 적절한 단조방법인 압조 단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SM10C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제품의 형상비에 따라 폴딩 결함의 발생 유무를 검토하고, 폴딩 결함 없이 단조하기 위한 중공 플랜지의 형상한계 비를 제시하였다.도 경미하게 나타났으나, 경련이 나타난 쥐에서는 KA만을 투여한 흰쥐와 구별되지 않았다. 이상의 APT의 항산화 효과는 KA로 인한 뇌세포 변성 개선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되나, 보다 명확한 APT의 기전을 검색하고 직접 임상에 응응하기 위하여는 보다 다양한 실험 조건이 보완되어야 찰 것으로 생각된다. 항우울약들의 항혈소판작용은 PKC-기질인 41-43 kD와 20 kD의 인산화를 억제함에 기인되는 것으로 사료된다.다. 것으로 사료된다.다.바와 같이 MCl에서 작은 Dv 값을 갖는데, 이것은 CdCl$_{4}$$^{2-}$ 착이온을 형성하거나 ZnCl$_{4}$$^{2-}$ , ZnCl$_{3}$$^{-}$같은 이온과 MgCl$^{+}$, MgCl$_{2}$같은 이온종을 형성하기 때문인것 같다. 한편 어떠한 용리액에서던지 NH$_{4}$$^{+}$의 경

  • PDF

Verification Study on Real-time Automated Discharge Measurement (실시간 자동측정유량의 검증 연구)

  • Roh, Young-Sin;Kim, Dae-Young;Park, Hyun-Geu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329-33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도플러 방식 초음파유속계(ADVM, Acoustic Doppler Velocity Meter) 및 이동시간차방식 초음파유속계(UVM, Ultrasonic Velocity Meter)의 유량자료 검증을 위해 두 가지 방식이 적용된 한강대교와 여주대교의 2007년 운영성과를 검토하고 측정된 결과분석을 통해 자동유량측정시설의 유량측정자료를 검증하였다. 측정된 유량의 검증을 위해 평 저수시 유속계 측정 및 이동 ADCP법에 의한 연속 유량측정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또한 봉부자를 이용한 측정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홍수시 측정결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댐방류량, 하수처리장 방류량, 각종 취수량을 이용한 물수지 분석을 통해 자동유량측정에 의해 산정된 유출량과 비교하였다. ADVM 방식이 적용된 한강대교의 조위영향에 따른 수위변화를 고려하여 한 주기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이를 비교한 결과, 흐름이 정체되는 일부구간의 측정결과를 제외하면 대부분 상대오차가 10% 내외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별 물수지 분석을 수행한 결과, 설치초기 시스템 안정화작업으로 인해 결측이 많이 발생한 $3{\sim}4$월을 제외하면 10%내외의 오차가 발생하였으며, 홍수기인 $6{\sim}7$월 사이에는 $1.9{\sim}5.5%$의 상대오차를 보여 자동유량측정시설의 측정결과가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주대교의 UVM 방식의 경우 측정장비의 안정화가 이루어진 5월부터 9월까지의 측정결과는 수위유량관계곡선으로 산정된 유량과 비교하였을 때 10%내외의 상대오차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월별 물수지 분석결과에서도 결측이 많이 발생한 5월의 23.7%의 오차를 제외하면, $5{\sim}10%$내의 오차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수기인 $6{\sim}8$월의 경우 5%이내의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mparison Measurement Error of T-score Between Lumbar and Femoral Neck According to Kind of DXA (DXA측정기 종류에 따른 요추부와 대퇴경부 골밀도 값의 측정오차 비교)

  • Han, Beom-Hee;Jung, Hong-Ryang;Lim, Cheong-Hwan;Lee, Hye-Nam;Jeong, Cheon-Soo;Lee, Sa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3
    • /
    • pp.250-257
    • /
    • 2010
  • In this study, three different devices, Norland, Osteocore and Lunar were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measurement error by each bone density measurement device by classify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into age, height and weight, the subject of total 300 sampling 100 persons for each device. Categorizing Lumbar region and Femoral neck as normal (T-score$\geqq$-1.0), osteopenia (-1.0>T-score>-2.5) and osteoporosis (T-score$\leqq$-2.5), the findings were observed as follows. Norland device showed the least measurement error in age and height, while Lunar showed the least in weight among the devices. And, the result of comparing the bone density measurement error based on the lumbar region showed that all of Lunar, Norland and Osteocore have the least variation of measurement error in osteopenia and the result of comparing based on the femoral neck showed that all of Lunar, Norland and Osteocore have the least variation of measurement error in osteoporosis. For each variable, the measurement error was observed to be vary upon the device. To solve this, standardized common Phantom should be used to compare and converge the measured value of each company and cross-calibration would be necessary when replacing the software.

A Study on PDOP due to the Position Error of Acoustic Sensors in the 3D TDOA Positioning System (3차원 TDOA 위치 측정 시스템에서 음향 센서의 위치 오차에 따른 PDOP에 관한 연구)

  • Oh, Jongtaek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5 no.1
    • /
    • pp.199-205
    • /
    • 2015
  •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very actively for the smart phone handheld by most users. Especially, many TDOA positioning systems using acoustic signal have been studied, and it estimates the smart phone position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mart phone speaker and the microphones which is installed to receive the acoustic signal from the smart phone, and by calculating the hyperbolic equations. But there are always errors for the distance measurements, and furthermore the microphone installation error produces huge position estimation error. In this paper, the position estimation error due to the position error of acoustic sensor in the 3 dimensional TDOA positioning system, is analyzed by PDOP simulation and experi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