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측정능력

검색결과 3,200건 처리시간 0.036초

운전자 정보처리 특성 분석을 위한 운전 시뮬레이션 (Driving Simulation for the Analysis of Driver Information -Processing Characteristics)

  • 이재식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41-250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운전자 행동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운전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하여 운전자들이 보이는 기본적인 운전 수행 능력 및 이러한 운전 수행 능력과 관련이 가장 깊은 것으로 기존의 연구들이 밝혀왔던 기본적인 지각적/인지적/운동적 수행 능력을 측정하여 운전자 수행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운전자의 운전 수행 및 운전과 관련된 기본적인 정신/운동 수행 능력은 정보 처리적 관점에서 측정되고 분석되었으며, 이를 통해 운전자들이 보이는 기본적인 정보처리 능력의 패턴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운전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차량의 속도 유지와 차선 유지에 대한 측정치와 더불어 운전과 관련한 인간 수행 중에서 단순 반응 능력, 선택 반응 능력, 속도 추정 능력, 청각적 주의나 시각적 주의의 분산 능력 등이 운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운전 중에 실시간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운전자들의 실제 운전 수행 및 이와 관련된 정보 처리 활동에 대한 표준화된 준거를 제시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자동차전기 과목의 '전조등 과제' 에서 회로수리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Study on Improvement of Circuit Repairing Abilities through Headlight Assignment on Automotive Electronics Subject)

  • 유정효;이용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39-25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회로수리능력을 정의하고, 회로수리능력을 준비능력, 탈부착능력, 회로분석능력, 점검 및 측정능력, 수리(문제해결)능력, 정리능력의 6가지 하위요인으로 구분하며, 하위요인을 기준으로 선정된 전조등 과제에서 도출된 학습자 목표도달 준거의 적합성을 검증받아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회로수리능력의 향상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문가집단의 검증을 받고, 실험 설계를 통하여 학습자 집단에 회로수리능력의 향상정도를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평균값, Cronbach ${\alpha}$ 계수, t 검증을 실시하였다. t 검증의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이 연구를 실시한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동차 전기 장치에 대한 고장을 정비하는 능력으로 '회로수리능력' 용어의 사용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로수리능력의 하위요인인 준비능력, 탈부착능력, 회로분석능력, 점검 및 측정능력, 수리(문제해결)능력, 정리능력의 구분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 목표도달 준거를 바탕으로 작성된 전조등 과제 실습지시서는 일반적인 실습보다 학습자의 회로수리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자 목표도달 준거를 바탕으로 작성된 전조등 과제의 실습지시서는 회로수리능력의 하위요인 준비능력, 탈부착능력, 회로분석능력, 점검 및 측정능력, 수리(문제해결)능력, 정리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관찰능력 측정을 위한 준거 개발 (Development of Criteria for Measuring the Observation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유정;김범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98-1008
    • /
    • 2011
  •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관찰능력 측정준거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찰능력의 측정준거를 관찰대상, 관찰관점 및 요구정신용량으로 설정하였다. 관찰대상은 평면모양과 입체모양, 관찰관점은 고정과 변화로 구분하고, 요구정신용량은 2부터 5까지로 하여, 관찰능력 측정 준거의 삼차원틀을 개발하였다. 측정 준거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삼차원틀에 따라 조사도구를 개발하였고, 초등학교 저 중 고학년 166명에게 투입하였다. 연구결과, 관찰대상, 관찰관점 및 요구정신용량의 세 가지 준거에 따라 관찰능력 검사점수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고, 학년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관찰대상에서는 평면모양, 관찰관점에서는 관점고정, 요구정신용량이 작을수록 관찰능력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갈수록 관찰능력 점수가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관찰능력 측정 준거는 초등학생들의 관찰능력을 의미있게 파악하고 변별할 수 있으며, 신뢰롭고 타당한 초등학생의 관찰능력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중심부에 주입구가 존재하는 플레이트를 통한 방사성동위원소의 항균능력 측정 (Antibacterial Activity Evaluation of Radioisotope Lu-177 with a Modified Tube on Plate Core)

  • 조은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69-471
    • /
    • 2013
  •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새로운 실험기구를 사용하여 방사성동위원소(Lu-177)의 항균능력을 측정하였다. 기존에 약물의 항균능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었던 디스크법은 배지로의 약물 확산에 의해서 항균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방사성동위원소에 적용하기는 적합하지 않아 새로운 실험 방법이 요구된다. 방사성동위원소의 항균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배지로의 약물 확산을 막고 한점에 머무르게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새로운 실험도구를 이용하여 Lu-177의 방사능량이 증가할수록 항균능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실험방법을 통해 다른 방사성동위원소의 항균능력도 쉽게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스템분석 설계를 위한 그래픽 모델링 능력 측정 (The Measurement of Graphical Modeling Ability in Systems Analysis and Design)

  • 헤타라더 낸시;강신철;이재광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21-229
    • /
    • 2015
  • 시스템 분석가 또는 정보시스템 설계자들의 역할은 경영자와 정보기술자 간의 간극을 메우는 것이다. 이들은 사물을 인식하여 개념화하고 추상화하여 정신모델을 형성한 다음, 다양한 그래픽 모델링 도구를 이용하여 표현함으로써 데이터모델이나 프로세스 모델과 같은 현행 모델(ASIS model)을 구축한다. 이들은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현행모델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안을 구상하여, 다시 그래픽 도구를 이용하여 미래모델(TOBE model)을 설계한다. 이와 같이 시스템분석 및 설계 전공자들에게 그래픽 모델링 능력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그래픽모델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분석가와 정보시스템 설계자들에게 가장 핵심적인 능력이라고 할 수 있는 그래픽모델링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언어학, 수학, 경영과학, 통계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모델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들을 참고하여 그래픽 모델링 능력 설문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92명의 필리핀과 한국의 정보시스템 관련 전공 학생들에게 시험을 보게 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학계에서는 학생들의 모델링 학습효과를 측정하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고, 기업에서는 시스템분석가와 정보시스템 개발자를 채용할 때 적성검사 도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동작 운동 수행능력 측정 도구의 측정자간 신뢰도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Gross Motor Performance Measure)

  • 이충휘;박소연;고명숙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7-22
    • /
    • 2003
  • 대동작 운동 수행능력 측정도구(GMPM)는 뇌성마비 아동의 움직임을 질적인 면에서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동작 운동 수행능력 측정도구의 측정자간 신뢰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뇌성마비 아동 10명(평균 5.6세, 범위 4~8세)에게 GMPM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과정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각 속성 항목별로 3명의 평가자간의 급간내 상관계수로 일치도를 보았다. 전반적으로 측정자간 신뢰도는 '불량~보통'범주에 속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충분한 교육을 받지 않고 평가하면 그 결과를 신뢰하기 어렵다는 것을 말해준다. 향후 임상에서 GMPM을 이용하여 평가할 때 측정자간 신뢰도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 PDF

학습자 언어 인지 능력 기반의 외국어 능숙도 측정 방법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Second language Proficiency Method based on Cognitive Ability of Learner)

  • 양영욱;이새벽;임희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363-369
    • /
    • 2013
  • 본 논문은 뇌에서 발생하는 언어와 관련된 현상들을 모델링하여 외국어 능숙도 측정 방법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이 방법은 인지 심리학에서 인지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에 기반하며, 어휘 판단 과제, 언어 점화 과제, 구어 작업 기억 능력 측정 과제로 나뉜다. 어휘 판단 과제는 자극에 대해 단어인지 비 단어인지를 얼마나 빠르게 판단하는 지를 측정한다. 어휘 판단 과제는 세부적으로 자극의 형태에 따라 읽기와 듣기로 나뉜다. 언어 점화 과제는 언어의 산출 능력을 측정한다. 언어 점화 과제는 자극에 따라 의미적 점화 과제, 번역 점화 과제로 나뉜다. 구어 작업 기억 능력은 학습자의 단기 기억력을 측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2외국어에 대한 학습자의 언어 인지능력을 사용하여 외국어 능숙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 상호운용성 측정 및 평가를 위한 상호운용 능력 모델 개발 (A Development of Interoperability Capability Model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Component Based System)

  • 류동국;김기두;이상일;김영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B)
    • /
    • pp.418-420
    • /
    • 2004
  • 정보화가 진전됨에 따라 많은 컴퓨터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컴퓨터 시스템들이 초기에는 독자적인 운영에 만족하였으나 시스템의 효율성이나 사용자의 요구로 인하여 시스템간의 정보교환에서 기능교환에 이르기까지 정보시스템의 상호운용성이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어가고 있다. 그리고 컴포넌트 기반의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 패러다임이 발전하면서 컴포넌트의 상호운용성과 재사용성을 이용한 시스템 개발이 시도되고 있고 컴포넌트 개발 방법론 또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 시스템의 상호운용성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현재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 국방성에서 정보시스템의 상호운용성 측정 및 평가를 위하여 사용하는 LISI 모델을 확장하여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외 상호운용성을 측정 및 평가할 수 있는 상호운용 능력 모텔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컴포넌트 상호운용 능력 모델은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의 개발 프로세스에 따라 각 개발 단계에서 상호운용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상호운용 능력 모텔은 상호운용 성숙도 모델로 확장하여 기 개발된 시스템의 상호운용 성숙도 측정이나 향상에 사용할 수 있다.

  • PDF

언어 인지 실험을 통한 외국어 능력 측정 방법 (A method for Measuring Second Language Ability based on linguistic cognitive experiments)

  • 양영욱;이새벽;임희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62-363
    • /
    • 2012
  • 외국어 능력이 현대 사회에서 요구하는 필수적인 요소 중에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외국어 능력을 평가하는 능력 시험이 아닌 언어심리학적 관점으로 외국어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외국어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외국어를 모국어를 바꾸는 언어인지 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언어 인지 능력을 측정하는 Reading LDT, Listening LDT, Verbal Span, Yes-No task(Semantic), Same-Different task실험을 제안한다. 해당 과제들은 각각 피험자의 읽기, 듣기, 기억, 의미적 결정, 변환 능력을 측정하는 과제이다.

Sensory substitution in perceiving architectural surfaces

  • Kim, Young-Kil;Young, Rockefeller-S.L.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1992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 및 초록집; 울산대학교, 울산; 01월 02일 May 1992
    • /
    • pp.573-580
    • /
    • 1992
  • 인공건물의 평면특성에 대한 시각을 통한 인지를 청각으로 대체했을 경우의 인지능력을 측정하였다. 정상적으로 시각(visual)을 이용하겠으나, 시각 장애자의 경우는 청각(auditory) 또는 촉각(tactile) 또는 두가지 모두를 사용하게 된다. Psychophysical approach를 사용하여 모의평면에 대한 인지능력을 JND단위로 측정하였다. 청각적인 신호를 관찰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전자장치(electronic ranging device)가 고안되었다. 이 장치는 목표물까지의 거리를 초음파의 이동시간으로 측정하여 음의세기(sound level)로 발생시켜 준다. 관찰자는 이 음의 세기를 듣고 거리를 추정하고 물표의 방향은 이 장비를 쥔 손의 방향, 즉, proprioceptive cue를 이용하게 된다. 세가지 task에 대한 실험은 평면의 slantness, 두 평면이 교차하는 모서리의 크기, 두 평면사이의 공간(aperture size)등에 대한 인지능력의 측정실험이다. 실험결과를 보면, 관찰자는 시각신호 대신에 청각신호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가지 task별 JND측정치는 slant angle 6도, 모서리의 concavity 10도, angular aperature size 3-5도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정상인이 시각을 이용한 인지능력과 큰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