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취업준비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5초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체증상,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Affecting Factors in Unemployment Stress among College Students -Focused on Physical Symptoms, Depression, Anxiety and Self-esteem-)

  • 최승혜;이해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808-816
    • /
    • 2013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신체증상,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과 취업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후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포괄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 여성, 고학년, 낮은 대학생활 만족도, 여가활동 부족, 취업준비 불만족, 취업고민을 공유할 사람 부재 시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취업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우울, 불안과 신체건강은 취업스트레스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아존중감은 취업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귀분석결과 4학년일수록, 우울할수록 취업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취업준비 만족도가 높을수록 취업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취업준비 프로그램은 취업 정보 제공과 함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공과대학 여대생의 취업준비 실태 분석에 따른 지원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supporting for job preparation of female Engineering students)

  • 김지심;문남미;용승림;강성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03-404
    • /
    • 2017
  • 본 연구는 공과대학 여대생의 취업 준비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개선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4년제 대학교의 공과대학 여대생 16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목표를 설정한 여대생은 절반 이하 수준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취업을 위해 가장 필요한 능력이자 부족한 능력으로 전공활용능력을 꼽았다. 연구결과에 따라 취업준비지원의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취업준비생 토픽 분석을 통한 취업난 원인의 재탐색 (Revisiting the cause of unemployment problem in Korea's labor market: The job seeker's interests-based topic analysis)

  • 김정수;이석준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1호
    • /
    • pp.85-116
    • /
    • 2016
  • 본 연구는 개인-환경 부합 관점에서 취업시장변화에 따른 취업준비생의 관심사를 토대로 의사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취업난의 원인을 탐색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3개년(2013~2015) 간 취업 관련 커뮤니티 내 이용자 게시글(소셜미디어)을 웹 크롤링을 통해 수집하고, 텍스트 마이닝 기법 중 토픽 분석을 통해 취업준비생의 주요 관심사 유형 및 심리적 반응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취업준비생의 주요 관심사가 '희망직업(세계)에 대한 인식, 취업사전준비활동, 노동시장에 대한 인식, 취업 스트레스'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들은 직업가치나 미래 진로에 대한 탐색보다 희망직업과 관련하여 금전적 보상이나 직장근무형태(근무 및 생활환경)에 관해 관심을 두고 있어 불확실한 환경에 직면하면서 특정 언어적 사용(예: 비속어, 은어)을 토대로 불안정한 심리적 상태를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취업준비생들은 취업 성공을 위한 전략적 선택차원에서 주로 스펙준비에 치중하고 있어 취업불안에 따른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현재 취업난은 총체적으로 개인과 사회 조직의 가치추구 부재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개인은 자신의 직업 가치관을 확립하지 못한 상황에서 일부 기업들은 인적자원의 중요성에 대해 자각하지 못하며, 사회적으로는 직업위세란 장애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취업난이란 특정 상황과 현상의 원인을 다각적으로 이해하고 다수의 취업준비생 관심사를 도출하기 위한 토픽분석과 이들의 다양한 반응의 의미를 언어 심리적 이론을 토대로 해석하는 접근방법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 PDF

간호대학생의 COVID-19 로 인한 감정, 직업가치관과 취업준비행동과의 관련성 (Nursing students' Feelings of COVID-19, Work Value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 신승옥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75-8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COVID-19로 인한 감정, 직업가치관 및 취업준비행동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 간호대학생의 교과 및 교과 외 활동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일개 지역의 졸업학년인 간호학과 4학년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9.0 program으로 분석하였고,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COVID-19로 인한 감정의 평균점수는 3.61±0.62이었다. COVID-19로 인한 감정과 외재적 직업가치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내재적 직업가치관과 취업준비행동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COVID-19 등과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 제공 및 취업준비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취업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일부지역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취업, 외모의 관련성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Employment, Appeara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Some Regions)

  • 전민지;정상은;조선화;한은지;현지우;김설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18-526
    • /
    • 2015
  • 본 연구는 2015년 5~6월 기간 동안 D지역 대학교 학생 483명을 대상으로 성별, 학년별, 전공계열별 자아존중감, 취업, 외모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자아존중감은 1, 4학년에서 높게 조사되었으며 소속계열별 군사경찰대학, 의과(학)대학이 높게 조사되었다. 취업스트레스는 4학년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세무경영대학, 의료공과대학이 높게 조사되었다. 취업준비행동은 4학년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재활복지교육대학이 가장 높았다. 외모관심도와 외모관리행동은 여학생, 4학년이 높게 나타났고 세무경영대학에서 높게 나타났다. 자아존중감 상위군이 하위군보다 취업준비행동, 외모관심도, 외모관리행동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자아존중감, 취업, 외모의 상관관계 분석결과에서 자아존중감이 높으면 취업준비행동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 스트레스는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취업스트레스가 높으면 취업준비행동도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대학생활에서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교육이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취업준비행동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오피니언 마이닝을 활용한 기업 채용 프로세스 후기 분석 (Analyzing review of company's job process through opinion mining)

  • 최종태;윤재열;임지연;김응모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C)
    • /
    • pp.189-191
    • /
    • 2012
  • 갈수록 심해지는 취업난과 대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갈증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취업에 있어서 다양한 경험과 본인의 지식 등도 물론 중요하겠지만 취업에 대한 정보 또한 간과할 수 없다. 취업 준비생들은 가고 싶은 기업의 채용 후기들을 찾아다니고 읽는데 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인다. 더군다나 이러한 취업 후기들은 그 양이 너무나 방대하기 때문에 여간 수고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사이트, 카페, 블로그 등에서 얻을 수 있는 수많은 후기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자료들을 수치화하고 도표화할 것이다. 이를 통해 취업준비생들이 기업의 채용 프로세스 후기에 대한 평가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라 기대한다.

전문대학 응급구조과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직업가치관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멘토링의 조절효과- (Effects of Paramedic Students'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Occupational Values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Moderating Effect of Mentoring-)

  • 박대성;김용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624-633
    • /
    • 2020
  • 본 연구는 전문대학 응급구조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 직업가치관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또한 이들의 관계에서 멘토링의 조절효과를 검정하여 효과적인 취업준비행동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D 및 G광역시, J도에 소재한 전문대학으로 2019학년 1, 2학에 각각 1회 이상으로 총 2회 이상 일반상담, 진로상담, 출석상담, 학사경고상담을 받은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2019년 12월 2일부터 6일(5일 동안)까지 본 연구자의 편의에 따라 무작위로 추출하여 연구 참여에 서면동의를 받은 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배부된 300부 중 불성실한 응답을 한 14부를 제외한 286부를 SPSS WIN 12.0 프로그램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전공선택동기의 개인적 동기와 내재적 직업가치관 및 외재적 직업가치관은 취업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또한 멘토링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검정하였다. 따라서 취업준비행동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개인 및 집단상담이 필요하고,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을 바탕으로 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취업특강, 모의면접 등이 필요하다.

사회맞춤형 LINC+ 육성사업에 따른 조리실습교육환경이 교육만족도,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oking Practice Educational Environment on Education Satisfacti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LINC+ Fostering Project)

  • 김찬우;정현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322-331
    • /
    • 2020
  • 본 연구는 사회맞춤형 LINC+ 육성사업에 따른 조리실습교육환경의 요인과 교육만족도, 취업준비행동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표본추출은 현재 사회맞춤형 LINC+ 육성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대학 중 외식·조리 관련 학과 재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 기간은 2020년 6월1일부터 1달간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을 분석하여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리실습환경의 하위 요인인 교육프로그램, 교수자능력, 조리시설은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리실습교육환경의 하위 요인인 교육프로그램과 교수자능력은 취업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통해 관련 전공에서의 재정지원 사업 수행에 있어서 정책 및 교육환경, 취업, 만족도에 관한 기초자료로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전문대학 재정지원 사업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에게 이론적 근거와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코로나19 시대의 대학생 진로장벽이 취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적응성과 자아탄력성의 병렬매개효과와 매개된 조절효과 (The Effect of Career Barrier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COVID-19: Focusing on Multi-parallel Mediation Effec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and Ego-resilience)

  • 윤일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30-137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상황에서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취업준비행동 관계에서 진로적응성과 자아탄력성의 병렬매개효과와 자아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실증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대학교 23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진로장벽, 진로적응성, 자아탄력성, 취업준비행동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진로장벽과 취업준비행동 관계에서 진로적응성과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은 조절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코로나19와 같은 상황에서 취업준비행동에 대한 제언과 후속연구를 위한 논의를 하였다.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 온라인 자기소개서 컨설팅 프로그램 운영 후 만족도 (Satisfaction after Running on the Online Self-introduction Consult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in COVID-19 Situation)

  • 신승옥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13-120
    • /
    • 2020
  • 본 연구는 일개 대학에서 2020년 8월 3주간에 운영된 온라인 자기소개서 컨설팅 프로그램에 참여한 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온라인 자기소개서 컨설팅 프로그램 적용이 취업준비에 도움이 되었는지 알아보고자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사전에 자기소개서 작성이 부족하거나 취업목표 기관이 뚜렷하지 않았다. 온라인 자기소개서 컨설팅 프로그램 참여 후 취업준비에 매우 도움이 되었고, 관련한 자기소개서 프로그램의 서비스 활용성이 높았다. 프로그램 내 템플릿의 연속된 질문은 자기소개서 작성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향후 필요한 취업지원 교육으로 면접준비과정이 필요하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