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취업관련요인

Search Result 19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 Employment: Focusing on the Comparison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고령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도시와 농촌의 비교를 중심으로)

  • Koo, Yangmi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1
    • /
    • pp.104-121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 employment and especially focused on the factor of their residential areas. This paper performs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micro data of 2014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Older Koreans. To reveal the influence on the elderly employment, various dependent variables was used such as demographical, health, household, economic, lifelong job, living environment, and residential area characteristics. The elderly in rural areas have higher possibility of currently working than those in urban areas. Based on the results, more various and complex factors affected on the employment of the urban elderly. This suggested that differentiated policy supports were needed in the urban and rural areas.

  • PDF

대졸자들의 취업 여부에 따른 정신건강의 변화

  • Jang, Jae-Yun;Jang, Eu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Conference
    • /
    • 2005.12a
    • /
    • pp.91-113
    • /
    • 2005
  • 본 연구는 청년들의 취업 및 실업 경험이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종단적으로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대학을 졸업하고 난 이후에 지속적으로 미취업 상태로 남아있는 사람들의 정신건강의 문제 그리고 취업에 성공하는 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국내 대학교 4학년생들을 대상으로 1차 조사를 실시하고 이후 약 6개월 간격으로 2차 조사, 3차 및 4차 조사를 실시하였다. 네 시점에서 모두 응답자들의 취업여부와 정신건강 수준을 측정하였다. 4차 조사까지 모두 응답한 560명 중에서 2차, 3차, 및 4차 시점의 취업여부에 의해서 집단을 다음과 같이 나누었다: 2차, 3차 및 4차 시점 순서대로, 모두 취업 상태인 집단('취업-취업-취업 집단'), 3차 시점에서 취업에 성공한 집단('미취업-취업-취업 집단'), 4차 집단에서 취업에 성공한 집단('미취업-미취업-취업집단') 그리고 모두 미취업 상태인 집단('미취업-미취업-미취업 집단'). 그 결과를 보면, 취업-취업-취업 집단의 경우에는 취업에 성공한 2차 시점에서 정신건강 수준이 상당히 좋아졌다가 3차 및 4차 시점에서 다시 본래 수준으로 돌아가는 경향을 보였다. 미취업-취업-취업 집단의 경우에는 취업에 성공한 3차 시점 이후로, 미취업-미취업-취업 집단의 경우에는 취업에 성공한 4차 시점에서 정신건강 수준이 좋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지속적으로 미취업 상태였던 집단에서는 3차 시점에서 정신건강 수준이 상당히 나빠졌다가 여전히 미취업 상태인 4차 시점에서 오히려 완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장래 연구의 과제가 논의되었다.iments and numerical analysis of luminescence efficiency in the hole carrier transport layer's thicknes. 나아갈 것이며, 아울러 향후에도 아직 미흡한 분야인 IT 아웃소싱에서 적정수준의 대가지급 방안 및 바람직한 Relationship 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에 대해서도 살펴 봄으로써 IT분야의 Outsourcing을 검토하거나, 추진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개의 총 297개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실험과는 좌측공격 91.7%, 우측공격 100%, 중앙공격 87.5%, 코너킥 97.4%, 프리킥 75%로서 매우 양호한 인식율을 보였다. 사용경험정도가 가입직후 해지에만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보여준다. 또한 매체의 정보전달 풍부성 (media richness)이 상대적으로 높은 소매점이나 웹사이트를 통해 서비스에 가입한 소비자일수록 가입 직후뿐만 아니라 서비스사용 이후에도 낮은 해지성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인터넷전화 서비스에 적합한 고객지원 프로그램 설계와 마케팅 매체선정과 관련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그리고 국내에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차세대 무선인터넷 서비스인 와이브로 출시에 따른 마케팅 및 고객관리와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한다.는 교합면에서 2, 3, 4군이 1군에 비해 변연적합도가 높았으며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복합레진을 간헐적 광중합시킴으로써 변연적합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시장에 비해 주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해 왔다고 볼

  • PDF

Prediction fo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Occupational Employment by Applying Markov Chain Model (마르코프 체인 모형을 이용한 직종별 취업자의 공간적 분포 변화 예측)

  • Park, So Hyun;Lee, Keumsoo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1 no.4
    • /
    • pp.525-539
    • /
    • 2016
  • This study attempts to predict the change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occupational employment in Korea by applying Markov Chain Model. For the purpose we analyze the job-related migration pattern and estimate the transition probability with the last six years job-related migration data. By applying the Chapman-Kolmogorov equation based on the transition probability, we predict the change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occupational employment for the next ten years. The result reveals that the employment of professional jobs is predicted to increase at every city and region except Seoul, while the employment of elementary labor jobs is predicted to increase slightly in Seoul. In particular, Gangwon-do and Chuncheongdo are predicted to increase in the employment of all occupational jobs.

  • PDF

A Study on Need and Consumptions Behavior for Time-Saving Goods and Services (시간절약재화 및 서비스 요구와 소비행동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 박명희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3
    • /
    • pp.26-35
    • /
    • 1995
  • 본 연구는 취업주부의 시간절약재화 및 서비스 요구와 소비행동의 차이를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지역에 거주하는 40 대 이하취업주부 401명이다 연구결과 시간절약재화 및 서비스 요구는 소비행동보다 유의하 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절약재화 및 서비스 요구와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 제.인구학적 변수는 가계생산이론에 근거하여 시간의 가치와 관련된 변수인 주부의 교육수 준 직업지위와 주부소득이었고 주부의 연령 가족수 등도 부분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시간절 약재화 및 서비스 요구와 소비행동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수는 가정목표지향성 경 제적 취업동기화 경제외적취업동기이고 직업목표지향성도 편의식품 사용정도를 제외하고 영 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취업주부의 시간절약에 필요한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 를 제공하고 소비자 복지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y Employment Support Programs (대학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 Nam, Jae-Woo;Choi, Young-Keu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2 no.1
    • /
    • pp.66-75
    • /
    • 2022
  •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provided by the university employment support center was evaluated. To this end, the 17 employment support programs operated by K University were divided into six dimensions, including corporate linkage, counseling, certification, employment support, and special lectures. As a result, all employment support programs were found to have more than average usefulness. By dimension, the usefulness was counted in the order of certification, employment support, overseas, special lectures, counseling, and business-related programs. Among them, programs related to business connection, special lectures, and counseling were analyzed as factors that increased the overall usefulness of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Therefore, when planning a new program for the employment support center, it would be a desirable direction to plan programs related to business connection, special lectures, and counseling first.

Factors Associated with Preparation for Turnover in Youth Employees: a Pooled Analysis of Data from the Youth Panel 2007-2013 (청년 취업자의 이직 준비 관련 요인: 청년패널 2007-2013 자료 분석)

  • Kim, Kyoung-Beom;Lee, Ju hyun;Noh, Jin-Won;Kwon, Young D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12
    • /
    • pp.480-491
    • /
    • 2016
  •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reparation for turnover in youth employees, using a data from the Youth Panel 2007-2013. Study population were composed by 17,037 employees and a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GEE) using panel logit model was performed. It was identified that socioeconomic(age, sex, level of education, monthly income and type of employment) and work-related factors(perception of difficulties in performing tasks compared to level of education, perception on the Job-Major match, stabilization of employment, autonomy and empowerment of jobs, peer relationship in workpla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Based on the analysis, dissatisfaction on working environment or condition might lead to employees prepare to turnover and it is a series of activities that to improve welfare and find a suitable job for oneself.

The Analysis of Nursing Students' Work Value, Career Attitude Maturity Influence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간호대학생의 직업가치관, 진로태도성숙도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 Kim, Mi-S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11
    • /
    • pp.96-105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of work values,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by determini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study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influence of work value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8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located in Geonggi-do.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une 4th to August 27th, 2019 b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s a result, female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work value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an did the male students, and the students who had better grades showed higher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the resul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ork value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study showed correlation betwee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Greater independence, readiness, certainty, and decisiveness were higher and were sub-factor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Moreover, the higher the students' patriotism and indoor activities, the higher was their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conclusion,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was higher according to greater work values, while the influenc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urrent Status and Solutions of Youth Job Mismatch in Gwangyang Area: A Case of the POSCO Outsourcing Partners (광양지역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실태와 해결방안: 광양제철소 협력사를 사례로)

  • Lee, Jeong-Rock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1
    • /
    • pp.1-13
    • /
    • 2021
  • The POSCO Outsourcing Partners(POSOP) consisted of 59 compani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jobs in Gwangyang City of Jeonnam Province, the representative steel city of Korea. However POSOP are suffering from a job shor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ismatch between job-seekers and job-openers in relation to employment in Gwangyang City. As a result of the job-mismatch analysis of nine factors, there was a clear mismatch in recognition of suppliers, access to corporate and employment information, employment information acquisition path, and employment preference factors. However, there was no mismatch in the factors of employment avoidance and difficulty in the job-seeking and recruitment process. As solutions to the mismatch, it proposes to redefine the role of POPOS, promote capacity building projects for labor-management co-prosperity and cooperation, and gradually promote related projects in connection with the master plan related a comprehensive plan for youth jobs.

A Study on the Early Turnover Factors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Graduates in College (전문대학 시각디자인과 졸업생의 조기이직요인 연구)

  • Cho, kyu-m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83-484
    • /
    • 2018
  • 본 연구는 취업문제가 국가 사회 전 분야에 걸쳐 핵심이슈로 해결해야 할 사회문제로 부상하고 있지만 시각디자인분야의 취업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로는 시각디자인 분야 산업규모에 비해 대학에서 관련학과가 지난 30여 년간에 걸쳐 급속히 증가하여 대학졸업자의 공급과잉으로 인한 수요공급의 균형이 무너졌기 때문이다. 또한 4차 산업으로 산업이 재편되어 디자이너와 같은 창의적 직업군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여전히 시각디자인분야의 취업난의 나아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취업난 보다 더욱 심각한 것은 어렵게 취업에 성공한 신입디자이너의 대부분이 조기이직을 하는 현상이 급증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문대학이 시각디자인전공 졸업자의 퇴직을 예방하는 것도 취업을 지원하는 활동처럼 중요하다는 점에 초점을 두고 시각디자인학과 신입디자이너의 조기퇴직 예방을 위한 산업체 및 교육현장에서의 대처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