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취약지

Search Result 2,91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Chart for Landslide Susceptibility using the AHP Analysis Method (AHP 분석기법을 이용한 급경사지재해 취약성 평가표 개발)

  • Chae, Byung-Gon;Cho, Yong-Chan;Song, Young-Suk;Seo, Yong-Seok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9 no.1
    • /
    • pp.99-108
    • /
    • 2009
  • Since the preexisting evaluation methods of landslide susceptibility take somehow long time to determine the slope stability based on the field survey and laboratory analysis, there are several problems to acquire immediate evaluation results in the field. In order to overcome the previously mentioned problems and incorrect evaluation results induced by some subjective evaluation criteria and methods, this study tried to develop a method of landslide susceptibility by a quantitative and objective evaluation approach based on the field survey.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n evaluation chart for landslide susceptibility on natural terrain using the AHP analysis method to predict landslide hazards on the field sites. The AHP analysis was performed by a questionnaire to several specialists who understands mechanism and influential factors of landslide. Based on the questionnaire, weighting values of criteria and alternatives to influence landslide triggering were determined by the AHP analysis. According to the scoring results of the analysed weighting values, slope angle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Permeability, water contents, porosity, lithology, and elevation have the significance to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in a descending order. Based on the assigned scores of each criterion and alternatives of the criteria, an evaluation chart for landslide susceptibility was suggested. The evaluation chart makes it possible for a geologist to evaluate landslide susceptibility with a total score summed up each alternative score.

The Proposal of Evaluation Method for Local Government Infrastructure Vulnerability Relating to Climate Change Driven Flood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에 대한 지자체 기반시설 취약성 평가 방법 제시)

  • Han, Woo Suk;Sim, Ou Bae;Lee, Byoung Jae;Yoo, Jae Hwan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3 no.1
    • /
    • pp.25-37
    • /
    • 2012
  • This research proposes the direction for the assessment of local government infrastructure vulnerabilities relating to climate change driven flood and analyzes the assessment result. In this research, the local government infrastructures are evaluated by three indices such as exposure, infrastructure sensitivity, adaptive capacity and each index is calculated by selected alternative variable. Climate change scenario(A1B) developed 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s used to calculate present and future(2020, 2050, 2100s) exposure. As the result of infrastructure vulnerability assessment on present, the infrastructures in Seoul, Northern Gyeonggi-do, Gangwon-do, coastal area of Gyeongsangnam-do are vulnerable to flooding. For future, although the spatial pattern of flooding vulnerable infrastructure are similar, the flooding vulnerabilities of infrastructure in Gyeonggido and Ganwon-do would be increased as close to 2100s.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as the preliminary analysi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local government infrastructure because this research propose the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local government infrastructure vulnerability relating to climate change driven flood and the result such as a trend of infrastructure vulnerability to flooding and the level of contribution of each index and alternative variable.

Development of a Shared Vision Model for Future Drought Vulnerability Analysis (미래 가뭄 취약성 분석을 위한 비전공유모형의 개발)

  • Kim, Gi Joo;Seo, Seung Beom;Kim, Yo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9-9
    • /
    • 2019
  • 기후변화로 인한 다년 가뭄은 매년 증가하여, 충청남도에 위치한 보령댐과 보령댐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는 지자체의 시민들 또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지속된 가뭄으로 인해 총 127일 동안의 생 공용수 급수조정으로 인한 불편함을 경험하였다. 지금까지 시행된 국내의 다양한 가뭄 피해 저감 정책 설립 과정은 대부분 일방적인 하향식(top-down) 의사결정 과정을 바탕으로 진행되었고, 이는 이해당사자와 정책결정자간의 갈등을 유발했다. 이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참여형(bottom-up) 의사결정 과정 중 하나인 비전공유계획을 충청남도 기후변화 적응 물관리정책 협의회를 통해 적용하였다. 또한, 비전공유계획의 핵심 요소인 비전공유모형을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형의 특성을 포함하여 개발하고자 STELLA Architect 소프트웨어로 보령댐 및 8개 지자체를 포함한 저수지 운영모형을 구축하였고, 총 3차례의 소위원회를 거쳐 수렴한 이해당사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개발한 모형을 보완하였다. 구축한 모형으로는 미래에 발생 가능한 가뭄의 위험을 포함하고 있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대한 모의를 진행하였고, 보령댐과 보령댐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는 충청남도 서해수역 지자체의 가뭄으로 인한 취약성을 평균부족횟수, 평균부족기간, 평균부족량으로 표현하였다. 모의 결과, 보령댐은 8개 지자체보다 가뭄에 상대적으로 더 취약하며, 8개 지자체에서는 가뭄 대응 대책이 주로 계획되어 있는 지역과 모의에서 가뭄이 발생하는 지역의 불일치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른 평가지표에 비해 예측하기 어려운 평균회복기간에 대해서는 댐과 지자체에서 이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전공유모형을 통한 가뭄 취약성 분석 결과를 미래 회의에서 이해당사자와 공유하고, 용수 공급처과 수요처의 입장에서 용수 부족을 해소할 방안을 모형에 적용함으로써 미래 가뭄 대응 정책 수립 과정에는 참여형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automation of AV(Atomic Vulnerability) ID assignment (단위 취약점 식별자 부여 자동화에 대한 연구)

  • Kim, Hyung-Jong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9 no.6
    • /
    • pp.49-62
    • /
    • 2008
  • AV (Atomic Vulnerability) is a conceptual definition representing a vulnerability in a systematic way, AVs are defined with respect to its type, location, and result. It is important information for meaning based vulnerability analysis method. Therefore the existing vulnerability can be expressed using multiple AVs, CVE (common vulnerability exposures) which is the most well-known vulnerability information describes the vulnerability exploiting mechanism using natural language. Therefore, for the AV-based analysis, it is necessary to search specific keyword from CVE's description and classify it using keyword and determination method. This paper introduces software design and implementation result, which can be used for atomic vulnerability analysis. The contribution of this work is i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oftware which converts informal vulnerability description into formal AV based vulnerability definition.

  • PDF

Vulnerability Assessments of Climate Change on Flood Damage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피해 취약성 평가)

  • Jung, Il-Won;Lee, Byong-Ju;Kim, Kwang-Cheo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89-293
    • /
    • 2008
  • 현재 기후변화는 점점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향후 홍수피해는 더욱 증가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기적이 측면에서 이러한 홍수피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유역별 홍수에 대한 취약성을 평가하고,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하여 유연한 적응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유역의 홍수 취약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지표를 이용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취약성을 민감도(sensitivity), 노출(exposure), 적응능력(adaptation)의 함수로 정의하고, 각 유역별 지표들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취약성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민감도와 노출정도가 클수록 기후변화에 대한 홍수피해에 취약하고, 적응능력이 클수록 취약성이 낮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국내 139개 유역에 대해 상대적인 홍수피해 취약성을 평가한 결과 과거 유역별 홍수 피해액의 분포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2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미래 기후변화 상황에서의 홍수피해 취약성에 대해 평가한 결과 국내 유역의 홍수피해는 증가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유역별 공간적인 취약성은 크게 변화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Vulnerability Assessment of the Air Pollution Using Entropy Weights : Focused on Ozone (엔트로피 가중치를 활용한 대기오염 취약성 평가 - 오존을 중심으로 -)

  • Lee, Sang-hyeok;Kang, Jung Eun;Bae, Hyun Joo;Yoon, Dong Ke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1 no.4
    • /
    • pp.751-763
    • /
    • 2015
  • Both the selection of indicators and weights for them are critical issues in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This study is to assess the air pollution vulnerability focused on ozone for 249 local jurisdictions using weights calculated by the entropy methodology and then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methodology. We selected indicators for air pollution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standardized them. Subsequently, we calculated weights of each indicator using the entropy method and then integrated them into the vulnerability index. The exposure indicators consider meteorological and air pollution factors and the sensitivity of the local jurisdiction include variables on vulnerable areas and environments. The adaptive capacity contain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ealth care capacities and air pollution managemental factors. The results show that Hwaseong-si, Gwangjin-gu, Gimpo-si, Gwangju-si, Gunpo-si are among the highest vulnerabilities based on the simple aggregation of indicators. And vulnerability-resilience (VRI) aggregation results indicates the similar spatial pattern with the simple aggregation outcomes. This article extends current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studies by adopting the entropy method to evaluate relative usefulness of data. In addition, the results can be used for developing customized adaptation policies for each jurisdiction reflecting vulnerable aspects.

  • PDF

Implementation and Design of Proxy System for Web vulnerability Analysis (웹 취약점 분석을 위한 프락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im, Gwang-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9 no.9
    • /
    • pp.1011-1018
    • /
    • 2014
  • Because of the proliferation of web services through web site, web hacking attempts are increasing using vulnerabilities of the web appli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security of web applications, we have to find vulnerabilities in web applications and then have to remove. This paper addresses a vulnerability in a web application on existing problems and analyze and propose solutions to the vulnerability. This paper have checked the stability of existing web security solutions and evaluated its suitability through analysis of vulnerability. Also, we have implemented the vulnerability analysis tools for web Proxy system and proposed methods to optimize for resolution of web vulnerabilities.

Development of Web-Based Supporting Tool (VESTAP) for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ment in Lower and Municipal-Level Local Governments (기초 및 광역지자체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위한 웹기반 지원 도구(VESTAP) 개발)

  • OH, Kwan-Young;LEE, Moung-Jin;HAN, Do-E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9 no.1
    • /
    • pp.1-11
    • /
    • 2016
  • Climate change is the issue that attracts the most attention in the field of environment, as well as the most challenging task faced by the human race. There are various ways to resolve this issue. South Korea has established the primary and secondary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s at the national level, and is making it compulsory for each local government (lower and municipal-level) to establish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s.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plays an essential role in establish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action plans. However, vulnerability assessment has a difficulty performing individual assessments since the results are produced through complex calculations of multiple impact factors. Accordingly, this study developed a web-based supporting tool(VESTAP) for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ment that can be used by lower and municipal-level local governments. The VESTAP consists of impact DB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display tool. The index DB includes total 455 impacts of future climate data simulated with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4.5 and 8.5, atmospheric environment data, other humanities and social statistics, and metadata. The display tool has maximized convenience by providing various analytical functions such as spatial distribution, bias and schematization of each vulnerability assessment result. A pilot test of health vulnerability assessment by particulate matters in Sejong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was performed using the VESTAP, and Bukang-myeon showed the highest vulnerability. By using the developed tool, each local government is expected to be able to establish climate change adaptation action plans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Analysis of Childcare Infrastructure through Medical, Education, Transportation, and Support Data (의료, 교육, 교통, 지원 데이터를 통한 육아 인프라 분석에 관한 연구)

  • Nam-hoon Kim;Jin-ung Seol;Hae-jin Song;Gyuri Jeong;Yoo-Jin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4.01a
    • /
    • pp.473-474
    • /
    • 2024
  • 대표적인 분만 취약지 중 경상북도와 경상남도, 전라남도의 의료, 교육, 교통, 출산 지원 데이터를 분석하여 '육아가능인구'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저출산과 지역별 육아 인프라 격차에 대한 긍정적인 해결책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PDF

Evaluation of Flood Vulnerability in Taehwa River Basin Using Flood Factors (홍수 인자를 활용한 태화강 유역 홍수 취약성 평가)

  • Kim, Min Kuk;Seol, Myung Sue;Park, Jun Sue;Lee, Jae Yung;Lee, Chung 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90-390
    • /
    • 2020
  • 자연재해 중 홍수의 경우 단기간에 발생하며, 큰 인명 및 금전적 피해를 가져오는 재해이다. 1970년~2017년 국내 홍수 피해 분석결과 사상자(총 8,152명)는 점차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지만, 반대로 피해액(총 17조5,000억원)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wamis,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이러한 국내 홍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각 유역 또는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홍수 취약성 평가가 필요하다. 홍수 취약성은 대상 지역의 기상, 지형, 인문학적 상황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며, 홍수 취약성을 평가하는 인자의 선정 또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 피해 자료와 홍수 인자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홍수 취약성 지표 선정 및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홍수 취약성 평가를 위해 홍수 피해 자료와 대상 인자간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상관계수 값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온 인자를 선정하였다. 대상 인자는 크게 기상학적 인자, 지형학적 인자, 사회·인문학적 인자로 구분하였다 선정된 인자 간 서로 높은 상관성을 보일 시 공선성이 존재함을 의미하며, 이러한 공선성을 방지하기 위해 VIF (Variance Inflation Factor, 분산팽창계수)를 통한 공선성 검토를 적용하였다. 또한 각 인자 간 에는 서로 다른 단위 및 범위를 가진다. 이러한 경우 특정 인자들의 증감을 취약성 평가에 반영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유역별 평가 시 신뢰성이 낮아진다. 따라서 Re-scaling 방법을 통해 각 인자의 단위 및 범위를 표준화 후 동일가중치 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유역 중 홍수피해가 가장 크게 발생하는 낙동강 태화강 유역을 연구 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태화강은 도심지의 중심부를 흐르는 하천이며, 산지의 고도가 높은 지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홍수에 대한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wamis,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태화강 유역 홍수 취약성 평가결과 유역별 기상, 지형, 인문학적 특성에 따라 홍수 취약성이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역 내 도심지 비율, 인구밀도, 토지피복 특성에 의한 것으로 주로 지형학적 인자로 인해 취약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홍수 취약성 평가 방법은 향후 홍수피해 대책 수립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