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충태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3초

현미에서의 거짓쌀도둑, Tribilium castaneum(딱정발레목:거저리과)의 발육 (A Note on the Deveolopment of Tribolium castaneum (Coleoptera: Tenebrionidae) on Brown Rice Oryzae sativa L.)

  • 전환구;홍영석;류문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0-130
    • /
    • 1991
  • 현미를 사료로하여 네가지 정온도조정에서(25, 28, 34, 36$^{circ}C$ $pm$0.5$^{\circ}C$, RH 70%)에서 거짓쌀도둑(Tribilium castaneum Herbst)의 각 충태별 평균발육기간($\pm$SE)을 산출하였으며, 이를 기초로하여 발육임계온도를 추정하였다. 난의 평균발육기간은 각 온도에서 7.6$\pm$0.25, 4.8$\pm$0.10, 3.0$\pm$0.03, 2.5$\pm$0.09일, 유충에서 각각 53.3$\pm$1.49, 33.4$\pm$0.57, 30.6$\pm$0.70, 31.0$\pm$1.18일, 용에서 각각 12.1$\pm$0.17, 7.8$\pm$0.09, 5.0$\pm$0.07일로 산출되었으며, 난에서 성충우화시기까지의 전발육기간은 각각72.3$\pm$1.67, 46.0$\pm$0.05, 39.4$\pm$0.64, 38.7$\pm$1.15일로 산출되었다. 난과 용의 발육기간은 밀과 옥수수같은 다른 식이조건에서와 유사하였으나, 섭식을 하는 유충기의 발육은 밀보다 현미에서 상대적으로 지체되는 현상을 보였다. 한편 현미를 섭취했을 경우, 밀을 섭취했을 때 보다 발육중 치사율이 높아 밀에 비해 현미가 저급의 식물임을 보여주었다. 거짓쌀도둑 난, 유충 용 및 전발육기간의 저온발육임게온도는 각 충태 공히 20.0$^{\circ}C$로 산출되었으며, 유충과 전발육기간의 고온발육임계온도는 각각 40.2$^{\circ}C$와 41.9$^{\circ}C$로 추정되었다. 영기수는 온도에 상관없이 최빈치 7회를 나타냈지만, 온도의 상승에 따라 7회 이상 탈피하는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성비는 온도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마선을 이용한 궐련벌레(Lasioderma serricorne F) 방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Gamma Ray Irradiation for Control of Cigarette Beetle, Lasioderma serricorne F. (Coleoptera: Anobiide))

  • 오명희;정규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63-269
    • /
    • 1994
  • 궐련벌레(Lasioderma serricorne F)가 제품담배내 오염되었을때의 방제방법으로 감마선 이용법을 선전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Gelatin capsules에 공시충을 넣은 다음 감마선을 조사해 본 결과 0.8kGy이상의 선량에서 난태는 모두 살충되었고 용태나 성충때 및 유충태는 0~30%가 살충되었다. 몇가지 제품담배값내에 공시충을 함유한 gelatin capsules이 삽입된 궐련을 넣은후 감마선 조사시의 궐련벌레 충태별 방제효과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감마선의 영향을 받은 궐련벌레의 성충 및 유충태를 인공먹이로 사육해 본 결과 차세대 개체군 증식이 확인되지 않았다. 감마선에 노출된 궐련벌레의 각 충태는 선량이 높아질수록 생존기간이 짧아졌으며 4령 유충이 처리 공시충중 가장 오래 생존하였다. 감마선에 노출된 제품담배의 고유향기나 맛은 선량 증가에도 영향을 받지 않았다. 감마선이 처리된 제품담배의 포갑지나 궐련지 및 은박지 등은 고유의 색도 또한 변화하지 않았다.

  • PDF

꽃매미(Lycorma delicatula)의 발육단계별 표피탄화수소 비교 (Comparison of Cuticular Hydrocarbons of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of the Spot Clothing Wax Cicada,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 조선란;이정은;정진원;양정오;윤창만;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85-194
    • /
    • 2011
  • 꽃매미의 발육단계별 표피탄화수소를 비교하기 위하여 GC와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된 꽃매미의 표피탄화수소의 종류는 알이 32종, 약충은 령별로 각각 33, 28, 38, 37종이었고 2령 약충에서 가장 적게 나타났다. 반면 성충은 암 수 모두 46종으로 동일하였으며, 꽃매미의 충태 중 가장 많은 종류의 탄화수소를 함유하고 있었다. 발육단계별 물질 함량을 분석한 결과, 알은 메틸기를 갖고 있는 9-methylheptacosane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15.11%), 령기별 약충은 n-heptacosane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15.75, 22.42, 25.04, 23.11%). 반면 성충은 암 수 모두 n-nonacosane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13.42, 16.55%). 표피탄화수소의 구성물질을 5개 그룹(n-alkanes, monomethylalkanes, dimethylalkanes, trimethylalkanes, olefins)으로 나누고 물질 함량을 꽃매미 발육단계별로 비교하였다. 꽃매미의 알 표피는 대부분이 monomethylalkanes인 포화탄화수소로 이루어져 있고(45.39%), 약충은 포화탄화수소의 기본구조인 n-alkanes이 대부분이었다(37.63-46.12%). 또한 성충은 암 수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n-alkanes과 monomethylalkanes을 고루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모든 충태에서, 3개이상의 메틸기를 갖거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구조는 극히 적었다.

땅강아지(Gryllotalpa orientalis Burmeister)의 실내 누대사육 기술개발 (Development of continuous indoor rearing technique of mole cricket, Gryllotalpa orientalis Burmeister (Orthoptera: Gryllotalpidae))

  • 박영규;이영보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96-101
    • /
    • 2014
  • 본 연구는 땅강아지의 실내 증식기술 개발을 위해 2년 동안 수행되었다. 2013년 증식수는 $430.{\pm}20.0$ ($mean{\pm}SE$) 개체이었고 충태별로 2 ~ 3령이 $15.3{\pm}25.8$, 3 ~ 5령이 $28.8{\pm}24.0$, 6 ~ 8령이 $2.4{\pm}2.7$개체였다. 2014년의 증식수는 $43.5{\pm}31.0$ ($mean{\pm}SE$)개체이었고 충태별로 2 ~ 3령이 $25.8{\pm}25.6$, 3 ~ 5령이 $23.6{\pm}21.3$, 6 ~ 8령이 $2.9{\pm}2.3$개체였다. 실내사육용기의 증식성공률은 2013년과 2014년에 각각 46.9%와 50.0%로 조사되었다. 야외사육장에 암컷 25개체를 접종하였을 때 총 147개체가 증식되었고 실내 대형사육상에 암컷 100개체와 수컷 50개체를 접종하였을 때 총 78개체가 증식되었다. 야외사육장과 실내 대량사육장에서는 상토를 넣은 25 cm 깊이의 표층에서 전체 유충의 86.4%와 89.7%가 채집되었다.

한국산 대만나방(나비목: 솔나방과)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ralebeda plagifera femorata (Lepidoptera: Lasiocampidae) in Korea)

  • 심상준;이기영;황환준;한상섭;변봉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83-87
    • /
    • 2000
  • 최근 강원도 원주 등지에서 은행나무에 큰 피해를 주었던 대만나방의 생활사를 1998년부터 1999년까지 조사하였다. 현재까지 우리 나라에서는 자세히 보고된 바 없는 알, 유충, 번데기 및 성충의 형태적 특징과 각 충태별 기간 및 생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대만나방은 연 1회 발생하였으며, 6령충으로 기주식물의 가지에서 월동하였다. 유충은 총 9령을 거치며, 종령유충은 6월하순경에 가지에서 은행잎 2-3장을 엮은뒤 갈색실을 토하여 고치를 틀고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되었다. 성충은 7월초순부터 8월초순에 걸쳐 우화하였으며 우화최성기는 7월하순이었다. 교미한 암컷은 평균 205개의 알을 난괴형태로 산란하였으며, 산란장소는 가지, 줄기, 또는 잎의 가장자리였다.

  • PDF

Matsucoccus속(屬)의 1신종(新種) 기재(記載)(매미목(目):짚신깍지벌레과(科)) (A New Species of Matsucoccus (Homoptera: Coccoidea: Margarodidae) from Korea)

  • D.R. 밀러;박승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49-62
    • /
    • 1987
  • Matsucoccus속(屬)은 세계(世界)의 소나무림(林)에 걸쳐 분포(分布)하고 있으며 이중 우리나라 전남지방(全南地方)에서 해송림(海松林)에 피해(被害)를 주는 솔껍질깍지벌레가 신종(新種)으로 밝혀져 M. thunbergianae로 명명(命名)하였다. 신종(新種)의 충태별(蟲態別) 형태(形態) 및 생활사(生活史)가 근연종(近緣種)과 비교(比較)되었는데 이는 M. matsumurae (Kuwana) 및 M. resinosae Bean & Godwin과 가장 형태(形態)가 비슷하였다. 본종(本種)은 1년(年) 1세대(世代) 발생(發生)하며 2영충(齡蟲)으로 월동(越冬)하는 반면(反面) M. matsumurae와 M. resinosae는 1년(年) 2세대(世代) 발생(發生)하며 1영충(齡蟲)으로 월동(越冬)한다. 1년(年) 2세대(世代) 이상(以上) 발생(發生)하는 종(種)들에 있어서 세대간(世代間)의 형태적(形態的) 차이(差異)도 언급되었다.

  • PDF

감꼭지나방 (나비목: 감꼭지나방과)의 발육생태 (Developmental Ecology of Persimmon Fruit Moth, Stathmopoda masinissa Meyrick (Lepidoptera: Stathmopodidae))

  • 박은철;박형진;김길하;김정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1-43
    • /
    • 2001
  • 충북 영동의 감나무 가로수에서 감꼭지나방(Stathmopodamasinissa)을 태집하여 온도 $25\pm$$1^{\circ}C$, 광주기 16L:8D,상대습도 85%의 실내조건에서 이들의 발육생태를 조사하였다. 각 충태 별 발육일수는 알기간 7.4일, 유충기간 34.8일, 번데기기간이 15.5일이었다. 1령에서 5령의 영기간 은 각각 3.5일, 4.2일, 5.2일, 6.5일, 15.4일이었으며, 유충의 두폭은 각각 0.20, 0.40, 0.65, 0.87, 1.07mm이었다. 용화율과 우화율은 각각 68.0%, 59.9%이었다. 성충 수명은 수컷이 6.2일, 암컷이 10.1일이며, 암컷 한마리당 평균 산란수는 24.4개였다.

  • PDF

감마선과 Methyl Bromide 처리가 녹두의 살충 및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Comparativ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and Methyl Bromide Fumigation on Disinfest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ng Bean)

  • 노미정;권중호;권용정;허은엽;권용순;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44-449
    • /
    • 2001
  • 녹두의 가해해충 살충방법을 연구할 목적으로 현행 검역해중 살충방법인 methyl bromide(MeBr) 훈증처리와 감마선 조사에 의한 살충효과와 몇 가지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국내산 녹두의 가해해충은 팥바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 Linne)로 확인되었으며, 살충처리 후 5일째에 MeBr 처리는 완전한 살충효과를 보였다. 같은 시기에 3 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는 유충에 대하여 완전한 살충효과를 보였고, 2 kGy 조사구에서도 약 90%의 살충률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녹두의 성충은 유충에 비해 방사선 감수성이 큰 것으로 나타나 처리 후 10~15일 경에 두 충태 모두 1 kGy 조사구에서도 100%의 누적살충률을 보였다. 살충조건에서 녹두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비교해 본 결과, 질소용해도, TBA가, 총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과 함량은 25 kGy 조사구 및 MeBr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녹두의 기계적 색도는 MeBr 훈증처리에 의해 명도의 감소와 적색도 및 황색도의 증가로 전반적인 색차(${\Delta}E$)에서 느끼는 정도(NBS 2.61~2.94)의 색 변화를 가져왔다.

  • PDF

담팔수깍지벌레의 충태별(蟲態別) 생육(生育) 특성(特性)과 수상분포양식(樹上分布樣式)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Mango Shield Scale, Protopulvinaria mangiferae (Green) (Homoptera : Coccidae) on Elaeocarpus sylvestris (Lour.))

  • 김종국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40-49
    • /
    • 1995
  • 담팔수짝지벌레(신청)는 자충(雌蟲)만이 존재하는 산자성 단위생식(單位生殖)을 하며 부화(孵化)한 유충(幼蟲)은 3령을 경과하여 성충(成蟲)이된다. 본(本) 짝지벌레는 1년(年)에 2세대(世代)경과하고 제(第) 1세대(世代) 분산유충(分散幼蟲)은 5월초순(月初旬)부터 6월중순(月中旬)까지, 제(第) 2세대(世代)는 8월상순(月上旬)부터 10월상순(月上旬)까지 발생하였으며 최성기는 발생초기에 나타났다. 1령(領) 분산유충(分散幼蟲)은 10시(時)부터 14시(時)사이에 가장 많이 성충체(成蟲體) 복부(腹部)로부터 이탈하였으며 분산한 1령유충(齡幼蟲)은 8시간(時間)이내에 90% 이상의 개체(個體)가 담팔수 잎에 정착하였다. 본(本) 종(種)은 담팔수 잎 양면(養面)에 주로 분포(分布)하였으며 수간별(樹間別)의 개체군(個體群) 밀도(密度)의 분포차(分布差)가 크게 나타났다. 성충기의 경우 수관하부(樹冠下部)의 밀도(密度)가 높았으며 방향간(方向間)의 밀도차(密度差)는 나타나지 않았다. 엽단위(葉單位)의 분포(分布)는 약한 colony성(性)을 갖는 집중분포형(集中分布型)으로 판명(判明)되었다.

  • PDF

한국에서의 벼밤나방(Sesamia inferens Walker)의 생태와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ecolgy and control for the purplish stem borer (Sesamia inferens Walker) in Korea)

  • 배상희;이정운;이병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7권
    • /
    • pp.27-32
    • /
    • 1969
  • 1. 한국에서는 벼 밤나방 (Sesamia inferens Walker)이 중남부지방에서 발생하여 이화명충과 유사한 가해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유충태로 주로 지하부 도경에서 월동하고 년 2-3회 발생하였다. 2, 각 충태별 코기는 난이 $0.645\pm0,037\times0.399\pm0.757mm$, 유충이 $18.32\pm3.72mm$, 용이 $15.8\pm2.0mm$ 성충자아가 $11.56\pm1.35mm$, 웅아는 $10.36\pm0.87mm$였다. 3. 각충태별 기간은 각 화기에 따라 차가 컸으나 7-9월경인 2화기가 가장 짧았으며 그 기간은 란기$6.37\pm0.49$일, 유충기 $32.13\pm4.16$일, 용기 $13.38\pm0.92$ 성충기 $4.76\pm2.09$일였다. 4. 방제약제로는 Pot 시험결과 무처리 피해경율 $62.6\%$에 대하여 m.Parathion G $12.0\%$, EPNec$22.9\%$, Diazinon G $24.7\%$, Labaycid G $27.3\%$의 순으로 양호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