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충진제

Search Result 27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Performance Improvement of Epoxy Resin System by the Filler Reformation (충진제 개질을 통한 에폭시복합체의 성능개선)

  • Yi, Dong-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4 no.1
    • /
    • pp.130-135
    • /
    • 2010
  •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epoxy resin system had been tried by the improvement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globularization of filler using polymerization method. From the result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surement, the polydispersity value of reformed filler was 1.04 and that of silica flour before reformation was 2.6,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particle size uniformity of reformed filler had been improved greatly and the shape of particle was globular. Compatibility between monomer and silica was improved remarkably with the silanization pretreatment of silica flour. From the results of degree of crosslinking test,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binding structure of reformed filler was 3-dimensional net structure. And it could be also confirmed that the fluidness was improved at the casting of epoxy resin with reformed filler. From the abov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reformation of filler with the improvement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globularization was very successful metho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cast epoxy resin system.

The Effect of Coupling Treatment to Graphite on Injection Processing (Injection 공정시 흑연의 실란 Coupling 처리 효과)

  • 조광연;김경자;박윤창;정윤중;임연수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8 no.7
    • /
    • pp.608-614
    • /
    • 2001
  • 수지결합질 탄소재의 사출성형시 중요한 요소는 열유변학적 거동이다. 수지결합질 탄소재의 열유변성, 기계적 물성은 충진제(흑연)의 표면상태에 영향을 받는다. Coupling 처리에 의한 충진제의 표면개질은 binder와의 젖음성과 호환성 등에 영향을 미쳐 수지결합질 탄소재의 특성을 향상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충진제의 표면개질을 위해 실란 coupling 처리하였다. 충진제의 표면에 코팅된 실라놀은 FT-IR과 침수거동 관찰결과 충진제 표면에 단층으로 코팅되었음을 보였다. Coupling 처리는 충진제 표면에 활성을 가함으로써 수지결합질 탄소재의 열유변학적 거동과 기계적 물성에 기여하였다.

  • PDF

A Study of Dielectric Properties of Electrical Installation Epoxy Resin Filled with Inorganic Filler (무기물이 첨가된 전기설비용 에폭시 수지의 유전적성질에 관한 연구)

  • 김재환;서국철;김경환;박창옥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4 no.2
    • /
    • pp.46-54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에폭시수지에 무기물충진제 SiO2를I첨가하여 제작된 시편의 주파수 및 온도변화에 따른 유전 완화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로 제작된 복합재료의 유전특성은 충진제의 함량증가에 따라 유전율은 상당히 증가하였으나 유전손실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이와같은 사실을 포함한 모든 특성들은 충진제입자가 에폭시 매트릭스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는 사실과 Maxwell-Wagner의 계면분극이론으로 잘 설명될 수 있다. 제작된 복합재료에 대한 특성의 검토에서 충진제(SiO2)의 입자는 에폭시 매트릭스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충진제 첨가효과는 전반적으로 유전완화세기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나 계면분극효과에 의한 유전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 PDF

보강제ㆍ무기충진제 및 착색제(3)

  • Baek, Bong-Gi
    • The tire
    • /
    • s.15
    • /
    • pp.22-28
    • /
    • 1968
  • 본장에서는 전호에서 논술한 Carbon black을 제외한 각종 보고무용 보강제, 무기충진제 및 착색제를 해설키로 한다. 논제에서는 세가지 배합제로 분류하였으나 편의상 이들 세가지 배합제를 보진제란 한 어휘로 표현하였다.

  • PDF

보강제ㆍ무기충진제 및 착색제

  • Baek, Bong-Gi
    • The tire
    • /
    • s.13
    • /
    • pp.31-36
    • /
    • 1968
  • 본장에서는 전호에서 논술한 Carbon black을 제외한 각종 보고무용 보강제, 무기충진제 및 착색제를 해설키로 한다. 논제에서는 세가지 배합제로 분류하였으나 편의상 이들 세가지 배합제를 보진제란 한 어휘로 표현하였다.

  • PDF

Polymer형 내열성 PTC 소재의 특성 연구

  • 강영구;곽봉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9.06a
    • /
    • pp.249-252
    • /
    • 1999
  • 전도성 충진제가 포함된 결정성 고분자내에 대전류가 흐르게 될 경우 Joule 효과로 소재자체의 발열현상이 발생하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고분자의 용융점 부근에서 급격한 열팽창으로 인하여 고분자 내에 분포되어 있던 전도성 충진재 입자사이의 간격이 증가하게 되며 전자들의 흐름이 방해를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전기저항이 커져 전류의 흐름이 감소되는 철상이 발생하며 이를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라 하고 온도 증감에 따른 전도성 충진제 간의 electron tunnelling과 고분자의 결정변화에 의해 민감한 전기저항변화 특성을 나타낸다. (중략)

  • PDF

Effects of Ultraviolet Light lrradiation on the Degradation and Tracking Phenomena in Epoxy Resin filled with lnorganic Materials (무기질충진 에폭시수지의 열화 및 트래킹 현상에 미치는 자외선 조사의 영향)

  • 원동주;박용관;전춘생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1 no.2
    • /
    • pp.136-148
    • /
    • 1988
  • 본 논문은 Epoxy수지에 무기물을 첨가하여 tracking 특성에 미치는 자외선 조사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시료는 Bisphenol A형 Epoxy수지에 충진제 MgO와 Al(OH)$_{3}$를 각각 첨가한 시료와 무기물을 첨가하지 않은 무층진 시료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산화 및 열화현상과 tracking현상을 비교 연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조사로 인하여 carbonyl기의 생성과 craze의 발생이 있었고 이는 tracking 파괴와 침식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Epoxy수지에 충진제를 첨가하므로서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감소시키고 내 tracking성을 향상시킨다.

  • PDF

A Study on Flexural Strength of RC Beam Strengthen with GFRP by Anchor Dimension (무기계 충진제를 이용한 GFRP보강 RC보의 앵커 간격에 따른 휨 성능에 대한 연구)

  • Jung, Si-Young;Choi, Ha-Jin;Park, Jong-Chul;Choi, Oa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5a
    • /
    • pp.29-30
    • /
    • 2010
  • In this study, inorganic filler is used to improve the flexural strength of RC beam with GFRP instead of epoxy in wet condition. The flexural strength of RC beams was investigated by different condition with reinforcing frames and anchors dimension.

  • PDF

A Study on the Dielectric Breakdown Strength Characteristics of Epoxy-$SiO_2$ Compound Material for Electric Installation (전기설비용 에폭시-$SiO_2$ 복합재료의 절연파괴 특성에 관한 연구)

  • 김재환;박창옥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5 no.2
    • /
    • pp.77-83
    • /
    • 1991
  • In this study the investigation were carried out on short-term breakdown characteristics of the compound material dependent on change of filler quantity, ambient temperature(room temperature~[$190[^{\circ}C$]) and kinds of voltage sources for the compound materials of Bisphenol- A epoxy resins filled with $SiO_2$ particles. As the results, obtained the dielectric breakdown strength generally decrease as increasing the quantity of filler and the distance, spacing of each's particles, decrease as increasing the quantity of filler, when the distance is less than [$7.5\mu\textrm{m}$], dielectric breakdown strength is nearly constant. In the case on AC voltage dielectric strength of filled epoxy resins is stronger than nonfilled epoxy resins on temperature region more than $130[^{\circ}C$].

  • PDF

Prediction on heat and mass transfer coefficients in a packed layer of a regenerator with a solar desiccant cooling system (태양열제습냉방시스템 중 재생기의 충진층 내 열물질 전달계수에 관한 예측)

  • Eflita, Yohana;Choi, Kwa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30 no.4
    • /
    • pp.36-42
    • /
    • 2010
  • 본 논문은 태양열이용 냉난방시스템 중에서 실제로 액체흡수제를 재생하는 재생탑 내의 충진층에 있어서의 열 및 물질전달의 실험치와 이론적 해석에 의한 결과치와의 비교를 나타내고 있다.특히 물질전달의 극대화를 위하여 충진층 내에서 공기와 흡수제의 접촉면적을 크게 할 필요가 있는데,이를 위해서 본 실험에서는 직경이 3cm인 플라스틱제 충진재를 사용하였으며, 흡수제로는 저농도의 염화리튬 수용액이 사용 되었다. 충진층 내에서의 최적 높이를 예측하기 위하여 해석의 모델인 실험장치를 직접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고, 이론 해석에 있어서 체적 열전달을 고려한 정상상태를 모델화하여 해석하였다. 이 결과, 충진층 내에서 실험치와 이론적인 계산치가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으며, 충진층의 높이가 2m 이상인 경우에는 높이에 따른 재생량의 차이가 없어서 없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