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충적지형

Search Result 9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GIS-based Areal Distribution Ratios and Characteristics of Constituent Rocks with Geologic Ages and Rock Types in Jeonnam and Gwangju Areas (전남과 광주지역 구성암류의 GIS에 의한 지질시대별 암층별 분포율 및 분포특성)

  • Yun, Hyun-Soo;Lee, Jin-Young;Hong, Sei-Sun;Yang, Dong-Yoon;Kim, Ju-Yong;Cho, Deung-Lyong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2
    • /
    • pp.153-177
    • /
    • 2013
  • To get the various data on geological information, distributional ratios and characteristics of constituent rocks with geologic ages and rock types were obtained by ArcGIS 10.1 program, digital geologic and geomorphic maps of 1:250,000 scale in Jeonnam and Gwangju areas. In the Jeonnam area, geologic age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7, in which their distribution ratios show decreasing trends in the order of Cretaceous, Precambrian, Jurassic, Quaternary, Age-unknown, Carbonifeorus-Triassic and Triassic, and the former fours make the most prevailing ratios of 94.80%. Rock types in the area can be assorted into 57 ones, in which major 7 ones occupy the dominant ratio of 71.68%. Among them, Kav (acidic volcanics+rhyolite and rhyolitic tuff) show much more distribution ratios than the others. It shows more aspects distributed in north, west, middle, east and south parts, especially in Sinan-Mogpo-Yeongam of west and Haenam of south parts in the area,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geological ages in Gwangju area can be largely divided into 5, in which their distribution ratios show decreasing trends in the order of Jurassic, Quaternary, Cretaceous, Precambrian and Age-unknown, and the former fours occupy almost the whole ratio of 98.95%. Rock types in the area are 12 ones, in which major four ones make up the dominant value of 91.30%. Among them, Jurassic granites of the most dominant value are mostly occupied in the southwest-northeast part of the area. Next dominative Quaternary alluvium is mostly developed along the Yeongsan river, the Hwangryong river and their channel junction. And Yongdu and Donggye plains are well developed around the Yeongsan riverline, and channel junction of the Yeongsan and Hwangryong rivers in the area, respectively.

Application of GSTARS and HEC6 for Long-term Prediction of Bed Change in Hyungsan River (형산강의 장기하상변동예측을 위한 GSTARS와 HEC6의 적용)

  • Ahn, Jung-Min;Lyu, Si-Wan;Lee, Nam-Joo;Yeo, Hong-G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58-962
    • /
    • 2008
  • 하천유황, 하상재료, 하도지형의 자연적 또는 인위적 변화에 의한 장 단기적 하상변동의 해석 및 예측은 하천계획 및 관리를 위해 필수적이다. 특히, 제방 축조 등의 인위적 정비로 충적층 발달이 미약한 우리나라 하천은 상대적으로 종단형의 변화가 중요한 문제로 등장하였다. 하천의 이수, 치수 및 환경기능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장기적인 하상변동 예측을 국가하천 형산강에 대해여 HEC6 모형과 GSTARS 모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6{\sim}2007$년 동안 형산강에서 직접 실측한 유량-유사량, 하상토, 하천측량자료를 GSTARS와 HEC6 모형에 적용하여 장기 하상변동을 모의하고 그 결과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위표 지점인 형산교(모아), 강동대교(안강), 국당2교(부조), 신형산교(대송)를 내부경계조건으로, HEC-RAS를 통하여 조도계수 값을 보정하였으며 유량 값은 유황곡선을 통하여 연간유입량을 각 날짜별로 구성하였다. 모형의 검증은 Laursen (1963), Laursen (Modified by Maddden, 1985), Laursen (Modified by Copeland, 1990), Yang (1973) 공식을 이용하여 최심하상고 변화량 제곱근 오차가 가장 작은 공식을 선정하였다. 2006년 형산강에서 실측된 하천측량자료를 이용하여 14년간 장기하상을 모의해 본 결과 형산강 유역에서는 Laursen (Modified by Copeland, 1990, HEC6)와 Laursen (1958, GSTARS)공식이 가장 작은 오차를 나타내었으며 HEC6와 GSTARS는 하상변동의 경향을 잘 나타내었다. 형산강의 전반적인 하상변동 경향은 상류지역은 전반적으로 하상이 저하하였고 하류지역은 하상이 상승하였다. 또한 하류부는 하상이 안정화를 이루고 있어 변화가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검증 기간 동안의 골재채취와 보의 설치 등의 외부 여건과 신뢰성 있는 유입유량을 반영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보다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유량-유사량의 관측과 자료의 보완 및 정밀 조사 분석이 필요하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Fine Granitic Soils on a Drainage Catena in Hwayang Ri, Pyeongtaeg Area (배수(排水) Catena에 있어서 세입질(細粒質) 화강암(花崗岩) 토양(土壤)의 특성(特性) (평택군(平澤郡) 현덕면(玄德面), 화양리(華陽里)))

  • Rim, Sang-Kyu;Jung, Seog-Jae;Moon, Joon;Um, Ki-Tae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18 no.3
    • /
    • pp.276-281
    • /
    • 198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rph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ng-jeong (residuum), Dae-gog (local colluvium-alluvium), Ji-san and Og-cheon (local-alluvium) series with fine loamy texture derived from fine granitic parent materials on the drainage catena. 1. These soils consist of a catena, and then a color sequence due to the influence of topography, water table and free iron content. 2. The poorer the drainage, the higher were the silt/clay ratio, soil reaction, organic matter, and available phosphate content in soils but the active iron content was lower.

  • PDF

Relationship between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ubsurface Geology in Central Busan Megacity (부산광역시 도심부 수리지질 특성과 지하지질 발달상태의 관련성)

  • Ryu, Sang-Hun;Hamm, Se-Yeong;Cha, Yong-Hoon;Jang, Seong;Jeong, Jae-Hyeong;Son, Moon;Kim, Ki-Seok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7 no.3
    • /
    • pp.367-379
    • /
    • 2007
  • This study intended to evaluate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subsurface geology data obtained from borehole, groundwater level, borehole flowmeter test, and field hydraulic tests. The regression equation of groundwater level (Y) versus ground elevation (X) is expressed by Y=0.75X-7.00 with quite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of 0.78. Relationship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thickness of landfill, alluvium, and weathered zone results in higher correlation of groundwater level (Y) versus natural log value of weathered tone (A) than other correlations, with the regression equation Y= exp(9.974A)-14.155. The result of groundwater flow measurement in the boreholes indicates that groundwater flows towards between south and southwest, and this approximately agree with regional distribution of groundwater levels.

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by the construction of subsurface dam (지하댐 설치에 의한 수자원 개발량 평가)

  • Kim, Sang J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11
    • /
    • pp.795-802
    • /
    • 2017
  • This study shows the assessment methodology for the water resources of subsurface dams. The study area is SSangcheon subsurface dam. It is at the estuary of SSangcheon watershed forming the unconfined alluvial aquifer. there are several candidate area which are geologically similar to it at East coast. The groundwater level was computed by a 2-D FDM model, where the watershed discharge is the input as the infiltration term. The baseflow computed as the mean value of 3 watershed dischrge model is $0.5m^3/sec$. And considering the inflow near the baseflow as the dry season inflow, The groundwater level according to the change of inflow and pumping rate was computed. Specifically, Using the real pumping rate $28000m^3/day$ which is equal to the supply amount of drinking water to Sokcho city, The inflow which induce the descended groundwater level to the bottom of aquifer or the ascended groundwater level that cause the surface flow was eatimated. The simulation for increased pumping rate and additional well construction to increase the water resources, was executed. And at the extreme dry season, available pumping rate was estimated.

Analysis of changes in cross section and flow rate due to vegetation establishment in Naeseong stream (내성천 하도 내 식생활착에 의한 단면 및 유량변화 분석)

  • Lee, Tae Hee;Kim, Su H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3
    • /
    • pp.203-215
    • /
    • 2021
  • In the present study, hydrologic data and topographical data from 2010 to 2019 were collected from three gauging stations placed in the watershed of Naeseong stream to determine changes and rates of changes in rainfall, water level & mean velocity, and water level & discharge, together with changes in rates of erosion and deposition at cross-sections of the river. Besides, effects of regulated and non-regulated river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rtificial regulation of flow rate of the river via artificial structure located at Seo stream (Yeongju si (Wolhogyo) station), the tributary free from construction of dams,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of analyses conducted in the present study revealed vegetational establishment and landforming due to increasing area of vegetational sandbar evolved in the flood plain (intermediate- or high- water level) by the drought sustained from 2013 to 2015. Continuous erosion of river bed was appeared because of narrowed flow area with low water level and increased velocity and tractive force on river bed.

Morphological Correlation and Chronology of Lower Terrace Formations of Southeastern Coast of Korea (한국 남동해안 저위단구 퇴적층의 지형대비 및 형성시기 고찰)

  • Choi, Weon-Hack;Kim, Ju-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Quaternary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10a
    • /
    • pp.48-54
    • /
    • 2005
  • Terrace morphology is so conspicuous in the south eastern coastal areas. Coastal terraces can be divided into 5 main surfaces, including beach and coastal alluvial plain(AP, $4{\sim}5m$), Low Terrace(LT, 8 $^{\sim}$ 25m), Middle Terrace(MT, 36 $^{\sim}$ 55m), High Terrace(HT, 63 $^{\sim}$ 86m) and upper High Terrace(uHT, above 90m). Among them Lower Terrace Formation is distributed between 8m and 20m in altitude. Both Tephra deposited of LT2 formation and OSL datings of sand layers in LT 2 and LT 3 Formations support the age of the LT 2 formation is MIS 5d or 5e, most probably 5e. The age of LT 3 is interpreted MIS 5a, based on tephra production in organic mud layers and OSL dating of sand deposits just above the beach pebbles of the LT 3. Particularly the transgression, possibly equivalent to the well-known Monastirrian episode in the Mediterranean Sea.

  • PDF

The Last Interglacial Sea Levels Estimated from the Morphostratigraphic Comparison of the Late Pleistocene Fluvial Terraces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한국 동해안에 있어서 최종간빙기의 구정선고도 연구 후기 경신세 하성단구의 지형층서적 대비의 관점에서)

  • 최성길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7 no.1
    • /
    • pp.1-26
    • /
    • 1993
  • The estimation of the Last Interglacial sea level was made by using the thalassostatic terrace which had been developed in the lower reach of Namdaechon river in Kangneung, eastern coastal area of Korea. The fluvial terraces, which have been developed since late Pleistocene, were investigated.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at Kangneung terrace I had been formed in the climax period of the Last Interglacial (Oxygen isotope stage 5e) was revealed. It was estimated that Kangneung terrace II had been formed during a certain warmer period between the climax period of the Last Interglacial and the early Last Glacial(probably Oxygen isotope stage 5c or 5a). 2) Being judged from the relative heights of the Kangneung terrace I and II, the sea levels of the formation periods of these terraces were estimated to have been relatively 17~20m and l0m higher than the present sea level, respectively. 3) The formation periods of the Wangsan terrace I and II were supposed to be the early and late Last Glacial respectively, being judged from the following 3 details ; a)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rrace deposits, b) the relation Wangsan terrace II to the buried valley floor, and c) the cross phenomena of the above two terraces to the Kangneung terraces. 4) The formation period of the pseudogleyed red soil in the Kangneung terrace I was estimated to be the middle or late period of the Last Interglacial.

  • PDF

The Settlement of Complication in Water Resources Project (수자원 사업분야의 갈등해결 방안)

  • Park, Joo-Bum;Kim, Man-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45-1649
    • /
    • 2007
  • 수자원사업분야 특히, 댐건설사업은 사업시행지역이 유역의 상류인 반면 댐건설의 편익은 주로 하류지역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상류지역을 중심으로 극심한 반대가 상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 하류 지역 주민과 지자체 간에도 댐건설에 대한 입장이 상충되고, 이런 갈등을 정치적으로만 해결하려고 함으로써 갈등의 해결보다는 오히려 새로운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갈등해결을 위한 사회적 합의와 그 합의 결과에 대한 승복의 문화가 정착되지 않은 우리나라에서 갈등해결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지난 7년 동안 사회적인 찬반 논란의 중심에 있었던 한탄강홍수조절댐건설에 따른 갈등의 전개과정과 해결노력을 평가 분석하여 봄으로써 향후 수자원사업 분야의 갈등해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한탄강홍수조절댐은 지난 1999년 결정 이후 2004년 1월부터 11월까지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와 이해 당사자가 참여하는 중재적 갈등조정과정을 거쳤으나, 조정 결과에 대해 승복하지 않음으로써 당사자 합의에 의한 최초의 갈등조정 시도가 무산되었으나 그 해결 노력은 정당하게 평가 받을 만하다. 이후 한탄강댐건설사업은 정부에서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임진강유역홍수대책특별위원회를 구성하여 이해 당사자를 배제하고 관련학회의 전문가 등으로 1년 동안 검증평가한 결과 2006년 8월 한탄강홍수조절댐과 천변저류지로 최종 대안을 제시하였으나, 댐건설 반대지역에서는 아직도 완전히 승복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결국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업계획 수립단계부터 이해 당사자들이 참여하는 협의회 운영으로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고, 한탄강홍수조절댐 갈등해결에 있어서 부족했던 사회적 합의와 승복문화가 정착되도록 제도적인 장치보완과 함께 성숙된 시민의식의 전환이 있어야만 할 것으로 사료된다. 외적으로 하천 유사량 산정과 관련된 많은 경험식들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외국의 충적하천에 기초하여 개발되어진 유사량 공식들을 우리나라 하천에 무분별하게 적용하는 것은 위험스러우며, 유사량 산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리나라 하천의 지형, 수리, 수문학적 요소들이 유사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측을 통한 유사량 값을 하천의 지형, 수리, 수문학적 요소들과 비교 분석하여우리나라 하천에 맞는 유사특성을 알아보고, 기타 총유사량산정 공식을 이용하여 실측한 유사량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호강유역의 급격한 수질개선을 알 수 있다.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위성 상실로 인한 자기수요 감소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사료된

  • PDF

경험적 방법에 의한 두만강 유사량 추정

  • Lee, Kwang-Man;Jang, Chang-Lae;Kim, Jo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60-1664
    • /
    • 2007
  • 두만강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시아의 환경보호를 위한 우선순위에서 토양보호가 높은 순위로 분류된 적은 거의 없었다. 토양손실에 의한 부정적 효과가 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특히 농촌에서 토양 보전의 가치를 이해하거나 토양에서 직접적으로 혜택을 받고 있다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실제 동북아시아에서 토양보호와 관련하여 일관되게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국가 정책에 반영되고 그 결과 토양유실보호법이나 환경보호법 내에서 우선순위의 국가정책으로 도입된 것은 불과 지난 10-20년 사이의 일이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의 토사 유실은 매우 심각하며 이로 인해 많은 분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것은 당연하다. 수자원과 토지 자원을 잘 보전하고, 물과 토양의 침식을 제어하면서 생태계를 보호하는 것은 두만강 유역에 있는 연안 국가의 현대화를 위한 기초이자 장기 전략과제이다. 대상 지역에서, 토양의 침식형태는 주로 수리적 침식, 바람에 의한 침식, 결빙과 해동에 의한 침식, 산사태, 토석류, 밀도류 및 구릉의 함몰 등이 포함되며 이중 수리적 침식과 산사태에 의한 유실이 가장 일반적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자원의 이용 압력이 땅과 물의 퇴화를 유발한다는 증거가 많아지면서, 자연자원을 관리하는 방법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고 있으나 퇴사량에 대한 근본적 이해 없이는 불가능해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지 이용관리와 토사를 보호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토양의 침식에 대한 현재 상태를 상세하게 확인하였으며, 토양의 중요한 기능이 심각한 퇴화 과정으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는 인식에 토대를 두고 토양 보호 프로그램을 유도하기 위해 두만강의 유사량을 경험적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포 분석방법으로는 BW관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현재까지 국내 외적으로 하천 유사량 산정과 관련된 많은 경험식들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외국의 충적하천에 기초하여 개발되어진 유사량 공식들을 우리나라 하천에 무분별하게 적용하는 것은 위험스러우며, 유사량 산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리나라 하천의 지형, 수리, 수문학적 요소들이 유사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측을 통한 유사량 값을 하천의 지형, 수리, 수문학적 요소들과 비교 분석하여우리나라 하천에 맞는 유사특성을 알아보고, 기타 총유사량산정 공식을 이용하여 실측한 유사량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호강유역의 급격한 수질개선을 알 수 있다.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