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출생

Search Result 1,05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출생 및 사망신고체계의 현황과 발전방향

  • Park Jeong-Han
    • 대한예방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1.04a
    • /
    • pp.50-72
    • /
    • 2001
  • 국민건강 수준과 문제점의 파악, 보건사업의 기획 및 평가를 위해 정확한 출생과 사망에 관한 통계자료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출생신고 이전에 신생아가 사망하는 경우에 대부분 출생과 사망 모두를 신고하지 않아 영아사망률을 비롯한 보건통계를 산출하지 못하여 합리적인 보건사업의 기획 및 평가가 어려우며, OECD 회원국으로서 제시해야 할 기본적인 보건통계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현행 출생신고자료에는 신생아와 산모의 건강상태에 관한 자료가 없어 보건서비스제공과 모자보건관련 역학적 연구에 활용 가치가 거의 없다. 지역보건의료정보화, 예방접종기록전산화, 미숙아 및 선천성기형아 등록 등 각종 등록 및 전산화사업이 진행중이나 이러한 사업들이 독립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같거나 비슷한 자료의 중복 입력하게 되고, 상호 연계가 되지 않아 자료의 활용성이 낮고, 그 어느 사업도 전체 분모를 파악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전산정보체계의 확립으로 해결할 수 있다. 약 99%의 분만이 의료기관에서 일어나고, 정부의 초고속 통신망을 비롯한 의료기관과 보건소의 전산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전산정보체계를 위한 여건이 성숙되고 있다. 분만의료기관이 산모의 거주지 보건소로 직접 출생신고를 하면 보건소는 적기에 산모와 신생아에게 필요한 보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보건소가 읍 면 동사무소로 출생신고 자료를 전송하면 산모는 동사무소에 가지 않고도 출생신고를 할 수 있으며, 보건통계자료수집과 출생신고관리에 필요한 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정확한 생정통계를 얻을 수 있고, 예방접종기록과 미숙아 및 선천성기형아 등록은 쉽게 해결되고, 완전한 보건사업대상자의 database를 구축할 수 있어 평생건강관리체계의 기틀을 마련하게 된다. 이러한 전산신고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연자 등은 정부의 연구용역사업으로 전산프로그램과 표준신고양식과 신고체계를 개발하여, 포항과 천안시에서 2000년 3월에서 8월까지 시험 운영하였다. 시험운영결과 출생신고율은 99.9%이었으나 신생아사망의 전산신고율은 11.1%로 낮았다. 그러나 일단 출생신고된 신생아의 사망은 반드시 확인될 수 있는 것이 본 신고체계의 큰 장점이었다. 전산신고의 중요한 장애 요소는 현행법상 의료기관이 출생신고를 직접 할 의무가 없으므로 신고를 강요할 수 없고, 의료기관의 일손 부족으로 출생신고서를 충실하게 기재하지 못하는 것과 의료기관간의 전산화 수준의 차이가 심한 것이었다. 의료기관이 직접 신고를 하도록 하기 위하여 모자보건법 등 관련법 개정이 필요하며, 의료기관의 출생신고자료 송부에 대한 정당한 보상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의료기관 간의 전산화 수준의 차이는 data warehousing과 on-line analytical processing과 같은 기술을 이용하면 해결 가능할 것이다.

  • PDF

Birth Registration Rate and Accuracy of Reported Birth Date in Rural Area (농촌지역의 법정-기간내 출생신고율과 신고된 생년월일의 정확도)

  • Park, Jung-Han;Lee, Chang-Yik;Kim, Jang-Rak;Song, Jung-Hup;Yeh, Min-Hae;Cho, Seong-Eok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21 no.1 s.23
    • /
    • pp.70-81
    • /
    • 1988
  • To measure the birth registration rate and the validity of birth registration data in rural area, all of the 4,014 married women under 49 years of age who had not been sterilized in Gunwee county of Kyungpook province were followed by Myun health workers for 2 years from April 1, 1985 to March 31, 1987 and 766 births were detected. All of the birth registration records of Myun offices were reviewed on September 30, 1987 and 944 births which occurred within the above mentioned period were found. Actual birth date obtained by follow-up study were compared with the birth date on registration card. Among 766 births detected by follow-up study,576 births(75.2%) which were reported within 6 months after birth were ascertained on the official registration records and 96 births(12.5%) were not found on the records although mother stated that the birth was registered. The registration rate within legal due date was 61.3% among 576 births detected by follow-up study and also ascertained on the official records. The registration rate within legal due date was lower in mothers under 20 years of age and above 35 years and in mothers who had only primary education. It was decreased as the birth order increased. The registration rate was higher in births occurred from October to March than births occurred from April to September. All of the births of 7 neonatal deaths were not reported. The registered birth date was consistent with the actual birth date in 78.0%. Birth date on record was earlier than the actual birth date in 6.8% and later in 15.3%. The consistency rate was lower in mothers above 35 years of age(54.5%), and in infants of 4th birth order and above(56.3%). The rate was increased as the maternal education level increased. The rate of boys was higher than that of girls. A higher percentage(17.4%) of infants born in March was registered with earlier date than the actual birth date and most of these registered birth dates were lunar calendar date. This might be related with the age for entering the primary school. The study findings revealed that the birth registration rate within legal due date and accuracy of report have been increased in recent years, but the infant mortality rate derived from the birth registration seems to be very inaccurate. It is suggested to let the medical personnel who delivered the baby report the birth by mail directly to the current address of parent while infants delivered at home without professional attendant may comply with the present registration system.

  • PDF

Birth weight for gestational age patterns by sex, plurality, and parity in Korean population (한국의 성별, 태아수별, 출산수별 임신주수에 따른 출생체중)

  • Lee, Jung Ju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50 no.8
    • /
    • pp.732-739
    • /
    • 2007
  • Purpose : A universal standard of the birth weight for gestational age cannot be made since birth weight distribution varies with races, nations and eras. This report aims to establish the birth weight for gestational age patterns by sex, plurality, and parity, specific for Korean live births. Methods : The national birth certificate data of all live births in Korea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4 were used: for live births with gestational age 24 weeks to 42 weeks (n=2,585,5160), mean birth weight, standard deviation and 10th, 25th, 75th and 90th percentile values were obtained for each gestational age group by one week increment. To establish final standard values of Korean birth weight distribution by gestational age, the finite mixture model to eliminated erroneous birth weights was used for respective gestational age. Same as above method the birth weight for gestational age standard by sex, plurality, and parity were completed. Results : The male newborns are more heavier than female during the entire gestational age. The singletons are more heavier than twin during the entire gestational age. The para 2 are more heavier than the para 1 during the entire gestational age. Korean standard was more heavier in 10th and 50th percentile than Lubchenco's standard. Alexander's standard was more heavier in 50th and 90th percentile than Korean standard. Conclusion : These birth weight for gestational age patterns by sex, plurality, and parity are similar to the other standards. I hope that for Korean infants, this curve will help clinicians in defining and managing the large for gestational age infants and also for infants with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Nerve Growth Factor receptors in the Basal forebrain Nuclei of the Postnatal and the adult Rats (출생후 발생단계와 성체의 흰쥐 전뇌 기저부 여러 핵들에서 신경성장인자수용체에 대한 면엮조직화학적 연구)

  • 정영화;홍영고고연영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7 no.3
    • /
    • pp.385-408
    • /
    • 1994
  • 출생후 0일. 7일. 14일 및 21일 그리고 성체의 흰쥐 전뇌 기저부의 내측중격핵, 수직 및 수평 대각 Broca대 거대세포 시삭전핵 그리고 복부담창구에서 신경성장인자수용체 (nerv-growth 배ctor receptor, NGFr)에 면역반응을 보이는 신경조직과 세포의 분화를 면역조직화학적 및 전자현미경적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출생후 초기와 성체에서 신경세포 원형질막 뿐만 아니라 세포질에서 NGFr 면역반응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성체에서 신경세포 원형질 막에서의 면역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특히 NGFr 면역반응은 골지 부위에서 보였고, 점상의 면역반응물들이 세포체의 세포질과 수상돌기에 소수 분산 분포하였다. 뇌 기저부의 NGFr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뇌 크기의 증대와 뇌 조직의 분화에 따라 점차 수적 증가를 보였다. 이 NGFr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세포의 모양과 세포체의 장 .단축의 비에 따라 6가지 형. 즉 1) 원형. 2) 타원형. 3) 세장형, 4) 방추형, 5) 삼각형, 6) 다각형으로 분류되었다. 전뇌 기저 핵에서 원형과 난형신경세포들의 출현율은 출생후 0일에서 높았으나 성체로 되면서 감소된 반면, 세장형. 방추형, 삼각형 그리고 다각형신경세포들의 출현율은 출생후 0일에서는 낮았으나 성체로 되면서 증가하였다. 모든 핵들에서 NGFr 면역반응 신경세포체의 부피는 출생후 0일에 759-1,640 Um3로 제일 작았으며, 수직 대각 Broca대와 복부담창구에서는 출생후 14일에 각각 5 107 7.385 Um3 그리고 내측중격핵, 수평 대각 Broca대, 거대세포 시삭전핵에서는 출생후 21일에 각각 4,705, 6,061, 6,412 Um3로 최대치를 보였다. 그후 성체로 되면서 모든 핵에서 1,893-3,464 $\mu$m3로 다시 감소하였다.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출생후 21일된 흰쥐 수평 대각 Broca대에서 NGFr 면역반응은 세포체와 수상돌기의 원형질막 그리고 세포체내에서는 골지체, 다소포성소체 및 조면소포체에서 관찰되었다. 이 결과들로 미루어 NGFr은 출생후 발생단계와 성체의 횐쥐 전뇌 기저부에서 신경세포의 분화와 분포에 관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Recent Changes in Sex Ratio at Birth and Simulations on Sex-Selective Reproductive Behavior: With a Special Focus on Youngnam Region (출생성비의 최근 변화와 시뮬레이션을 통한 성선별 출산행위의 추정: 영남 지역을 중심으로)

  • Kim, Doo-Sub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4 no.1
    • /
    • pp.159-178
    • /
    • 2011
  • Korea has been widely recognized as the most successful country for reversal of the rise in sex ratio at birth (from the mid-1980s to the mid-1990s) in a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unusually high sex ratios at birth are still observed in most regions as parity increases. Given that imbalanced sex ratios at high birth orders are mostly due to son-selective abortion, it still remains questionable whether son-selective reproductive behavior has vanished in Korea.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ttern of changing trends and socioeconomic differentials in sex ratio at birth. Micro-data from birth registration for 2009 are utilized. Attention is focused on analyzing sex ratios at birth in Youngnam region according to age of mother, parity, educational attainment of parents, and occupation of parents. A series of simulations are also conducted in this paper to show how prenatal sex screening and son-selective abortion have affected the level of sex ratio at birth for years 1994, 2005 and 2009.

후보 종빈돈의 품종, 출생계절 및 등지방두께가 첫발정일령과 첫수정일령에 미치는 영향

  • 손동수;이장희;최선호;연성흠;류일선;서국현;허태영;유충현;조규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29-129
    • /
    • 2003
  • 번식효율이 높은 우수한 후보종빈돈의 조기선발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후보종빈돈의 첫발정일령과 첫수정일령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시험에 공시된 후보종빈돈은 충남 천안시에 위치하고 있는 양돈장에서 자돈을 생산ㆍ육성하여 체중 80~90kg에서 선발하였고, 체중이 약 110kg 도달하였을 때 최종 선발하여 이용하였으며, 사양관리는 양돈장의 관행에 따라 실시하였다. 첫발정조사는 생후 22주령때 부터 매일 아침, 저녁으로 2회씩 외음부의 충혈과 부종상태를 관찰하고 승가허용 자세유지 등을 통하여 발정여부를 조사하였다. 교배는 첫발정발견 후 2차 발정이 발현되었을 때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첫발정 및 첫수정시에 등지방측정기(Lean-meater; Renco, U.S.A.)를 이용하여 제 10늑골의 정중선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약 5cm 이격된 지점을 2회 측정하여 평균치로 하였다. 후보종빈돈의 품종별 첫발정일령과 첫수정일령은 랜드레이스종이 171.91일과 202.18일, 요크셔종은 178.56일과 208.39일, 랜드레이스종과 요크셔종의 F$_1$은 190.20일과 213.60일로 랜드레이스종이 첫발정일령과 첫수정일령이 가장 빨랐으나 품종간 첫수정일령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출생계절별 첫발정일령 및 첫수정일령은 봄에 출생한 후보종빈돈은 194.14일 및 222.05일, 여름에 출생한 후보종빈돈은 163.25일 및 193.00일, 가을에 출생한 후보종빈돈은 160.25일 및 199.20일, 겨울에 출생한 후보종빈돈은 159.72일 및 190.11일로 봄에 출생한 후보종빈돈의 첫발정일령 및 첫수정일령이 겨울, 가을, 여름에 출생한 후보종빈돈보다 유의적으로 늦게 나타났다(P〈0.01). 등지방두께가 13~16mm인 후보종빈돈의 첫발정일령 및 첫수정일령은 180.32일 및 211.12일, 17~20mm인 후보종빈돈은 172.24일 및 202.43일, 21~23mm인 후보종빈돈은 162.20일 및 195.43일로 등지방두께가 얇을수록 첫발정일령 및 첫수정일령이 지연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 PDF

Birth Cohort and Educational Differences in the Marital and Fertility Life Course in South Korea (한국의 혼인과 출산 생애과정: 출생코호트별 및 교육수준별 차이를 중심으로)

  • Woo, Hae-Bong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5 no.1
    • /
    • pp.151-179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s birth cohort and educational differences in the marital and fertility life course using the Hernes model. First, lifetime marriage rates remain high across birth cohorts but men in the youngest birth cohort(1965-74) experience a somewhat significant reduction in ever-marriage rates. Second, this study also finds educational differences in lifetime marriage rates across birth cohorts. The likelihood of being never married is particularly high for poorly educated men in the youngest birth cohort but women show the opposite pattern. Third, quantum changes in the fertility transition are more likely to be the changes in higher-order births, while the changes in first and second births are mainly tempo changes. Fourth,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education and fertility is significantly larger for higher-order births. Finally, marriage and fertility show the opposite pattern in their association with education. Overall, educational differences in lifetime marriage rates become stronger across birth cohorts but the association between education and higher-order births shows the opposite pattern.

  • PDF

A probabilistic study of the sex ratio at birth related to son preference (남아선호사상에 기반한 출생 성비에 관한 확률론적 고찰)

  • Kim, Yun-Soo;Choi, Eun-Sun;Cha, Kyung-Joon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1 no.4
    • /
    • pp.79-86
    • /
    • 2008
  • The sex ratio at birth of South Korea is exceeding the natural sex ratio at birth, which is estimated to be about 105. One of the reasons of high sex ratio at birth is due to sex-selective abortion which is caused by strong son preference.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the families which are trying to bear children only until they acquire one son contribute to high sex ratio at birth. As a result, we obtain the theorem that if the number of such families diverge, the sex ratio at birth converges to the natural sex ratio almost surely.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existence of the families which are trying to bear children only until they receive one son does not affect the sex ratio at birth.

  • PDF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Cholinergic Nerve Cells in the Medial Septal Nucelus and Diagonal Band of Broca of the Postnatal and Adult Rats (흰쥐 출생후 발생단계에 따른 전뇌 기저부의 내측중격핵과 대각 Broca대에서 콜린성 신경세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고찬영;정영화홍영호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8 no.2
    • /
    • pp.248-268
    • /
    • 1995
  • 출생 후 0일, 7일, 14일, 21일 그리고 성체의 흰쥐 전뇌 기저부의 내측중격핵과 수직 및 수평대각 Broca대에서 choline acetyltransferase(ChAT)에 면역반응을 보이는 신경조직과 세포의 분화를 면역조직화학적 및 전자현미경적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출생 후 초기와 성체에서 신경세포의 세포질과 수상돌기에서 고루 ChAT 면역반응이 확인되었다. 뇌 기저부의 ChAT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발생에 따른 뇌 크기의 증대와 뇌 조직의 분화에 따라 점차 수적 증가를 보였다. 이 ChAT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세포의 모양과 세포제의 장 · 단축의 비에 따라 6가지 형 즉 1) 월형 2) 난형, 3) 세장형, 4) 방추형. 5) 삼각형, 6) 다각형으로 분류되었다 전뇌 기저 핵에서 원형과 난형 신경세포들의 출현율은 출생 후 0일에서 높았으나 성체로 되면서 감소된 반면, 세장형. 방추형. 삼각형 그리고 다각형 신경세포들의 출현율은 출생 후 0일에서는 낮았으나 성체로 되면서 증가하였다. 모든 핵들에서 ChAT 면역반응 신경세포체의 부피는 출생 후 0일에 996-1,252 Um3로 제일 작았으며, 내측중격핵과 수직대각 Broca대 그리고 수평대각 Broca대에서는 출생 후 21일에 각각 5,061, 5.701, 5,820 um3로 최대치를 보였다. 그후 성체로 되면서 모든 핵에서1,897-2,704 roms로 다시 감소하였다.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출생 후 21일된 흰쥐 수평대각 Broca대에서 ChAT 면역반응은 핵의 핵질 일부와 핵막 그리고 미토콘드리아와 조면소포체에서 관찰되었다. 이 결과들로 미루어 출생 후 초기 발생단계에서 흰쥐 전뇌 기저부의 내측중격핵과 수직 및 수평대각 Broca대에서 ChAT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축삭과 수상돌기의 형성에 따라 세포의 형과 그 출현율 및 세포제의 크기에서 현저한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omparison of Rehospitalization during the First Year of Life in Normal and Low Birth Weight Infants Discharged from NICU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퇴원한 정상 체중아와 저출생 체중아의 재입원에 관한 비교)

  • Min, Sae Ah;Jeon, Myung Won;Yu, Sun Hee;Lee, Oh Ky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5 no.12
    • /
    • pp.1503-1511
    • /
    • 2002
  • Purpose : Although the short- and long-term outcomes of low birth weight(LBW) neonatal intensive care unit(NICU) survivor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much less information is available for normal birth weight(NBW) infants(greater than 2,500 gm) who require NICU care. Methods : We retrospectively examined the neonatal hospitalizations and one year health status of 302 NBW and 131 LBW admissions to our NICU. Information on the neonatal hospitalization was obtained from a review of medical records. Postdischarge health status was collected by using telephone surveys and medical records. Results : After initial discharge, 21.2% of the NBW infants and 23% of the LBW infants required rehospitalization during the first year of lif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asons for rehospitalization of the NBW infants included respiratory disorders (32.1%), G-I problems(26.2%), genitourinary problems(11.9%), surgery(10.7%), cardiac problems(7.1%), and congenital/developmental problems(1.2%). For the LBW infants, the order of frequency was the same, with the percentages slightly different. Neonatal risk factors related to the rehospitalization of the NBW infants included mechanical ventilation,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and congenital anomaly. But no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of neonatal risk factors with rehospitalization of LBW infants was found. Conclusion : Low and normal birthweight NICU survivors were rehospitalized at similar rates. The most common cause of rehospitalization was respiratory problems. Neonatal risk factors related to rehospitalization of NBW infants were mechanical ventilation,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and congenital anomaly. However, no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of neonatal risk factors with rehospitalization of LBW infants was found. The data suggests that NBW infant survivors, as well as LBW infant NICU survivors, require close follow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