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축척법

Search Result 7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ingle Photo Resection Using Cosine Law and Three-dimensional Coordinate Transformation (코사인 법칙과 3차원 좌표 변환을 이용한 단사진의 후방교회법)

  • Hong, Song Pyo;Choi, Han Seung;Kim, Eui M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7 no.3
    • /
    • pp.189-198
    • /
    • 2019
  • In photogrammetry, single photo resection is a method of determining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corresponding to a position and an attitude of a camera at the time of taking a photograph using known in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ground coordinates, and image coordinate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single photo resection algorithm that determines the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of the camera using cosine law and linear equation-based three-dimensional coordinate transformation. The proposed algorithm first calculated the scale between the ground coordinates and the corresponding normalized coordinates using the cosine law. Then, the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were determined by applying linear equation-based three-dimensional coordinate transformation using normalized coordinates and ground coordinates considering the calculated scale. The proposed algorithm was not sensitive to the initial values by using the method of dividing the longest distance among the combinations of the ground coordinates and dividing each ground coordinates, although the partial derivative was required for the nonlinear equation. In addition, since the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can be determined by using three points, there was a stable advantage in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control points.

A Comparative Study of Transverse Cylindrical Projection Functions by A Series of Numerical Simulations (수치시험을 통한 횡원통 상사 투영함수 비교 연구)

  • Lee, Hungkyu;Seo, Wan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1 no.2
    • /
    • pp.121-134
    • /
    • 2013
  • The transverse cylindrical projection has been used in Korea since 1910s when the nationwide geodetic network was firstly established. However, the projection has a number of different types of functions according to a way of its mathematical derivation as well as a section of its coefficients and terms, for instance Gauss- Schreiber(GS) and Gauss-Kruger(GK) types. Although the transverse cylindrical projection itself is assigned to a system, projected coordinates would be diverse with respect to the function used in the actual calcul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impact of functions used in the computation, five different equations (i.e., 2 GS and 3 GK) were implemented in this study by using MATLAB. A series of numerical simulation tests has been carried out to compare and characterize them in terms of projection accuracy, difference of projected coordinates and distortion. Furthermore, a comparison between GS and GK function was made under the Korean gridding system, consisting of four zones. Results from the numerical computation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and summarized in this paper.

토양환경정보시스템 '흙토람'

  • Hong, Seok-Yeong;Kim, Lee-Hyeon;Choe, Eun-Yeong;Jang, Yong-Seon;Hyeon, Byeong-Geun;Son, Yeon-Gyu;Park, Chan-Won;Song, Gwan-Cheol;Lee, Ye-Jin;Kim, Myeong-Suk;Jeon, Sang-Ho;Ha, Sang-Geon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3 no.1
    • /
    • pp.27-40
    • /
    • 2011
  • 토양정보는 식량생산, 지속적인 토지이용 계획, 종다양성 평가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자료이다. 우리나라 토양조사의 역사, 다양한 축척의 토양도 구축과 토양검정, 토양도와 토양검정 자료의 특성, 농업환경변동 모니터링을 통한 일반농경지 및 취약농경지 토양, 토양정보의 전산화에 따른 토양데이터베이스와 토양정보시스템 소개, 구축된 토양정보의 활용과 향후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40여년 동안 수행되었던 국책 토양조사사업 결과 두 종류의 토양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었는데, 다양한 축척의 토양도(1:250,000, 1:50,000, 1:25,000, 1:5,000)를 GIS DB로 전산화한 수치토양도 DB와 필지 단위로 조사된 화학성 위주의 토양분석 성적을 구축한 토양비옥도 DB이다. 흙토람(http://soil.rda.go.kr)에 서 제공하는 토양전자지도는 총 111종으로 토성, 경사, 지형, 모재, 배수등급, 자갈함량, 유효토심 등 토양 GIS 주제도 50종, 사과, 배, 마늘, 수박 등 작물 재배적지 61종이고, 82종의 토양통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에는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령에 따른 경작형태 및 오염원별 농경지 토양의 이화학성 및 농업용수 수질 조사 자료를 GIS DB로 구축하여 공간적인 분포와 시계열적인 변화를 분석하는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농업환경변동 정보는 농업환경자원 인벤토리를 기반으로 일반농경지의 화학성과 농업용수의 수질, 토양 미생물 등의 공간적인 분포와 시간적인 변화 정보를 전문가 그룹에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는 자연자원의 분포와 변동 정보를 바탕으로 보다 일반적이고 알기 쉽게 가공하여 일반인들에게 농업환경과 자연자원 보전의 중요성을 이해시키는 정보로 제공할 예정이다. 기존의 토양정보와 농업환경정보를 통합하여 컨텐츠를 보다 내실있게 하고 정보 수요자별로 손쉽게 목적에 맞는 접근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이끌어 가고자 한다.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at Seoul Using a Power Model (Power 모형을 이용한 서울지점 비정상성 빈도해석)

  • Lee, Gi-Chun;Kim, Gwang-Seob;Choi, Ky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61-461
    • /
    • 2012
  • 본 연구는 서울 지점의 목표연도(2040, 2070, 2100년)별 재현기간에 따른 확률강수량을 산정하기 위해 지속시간 24시간에 대한 연 최대 강수량 자료를 구축하여 비정상성 빈도해석을 수행하였다. 연 최대강수량 자료를 이용해 초기 20년을 기준으로 1년씩 추가한 연 최대 강수량 누적 자료를 구축한 후, 누적 기간별 자료의 평균, 위치매개변수, 축척매개변수를 산정하였다. Gumbel 분포를 이용해 비정상성 빈도해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매개변수의 경우 확률가중모멘트법을 이용해 산정하였다. 산정된 누적평균 강수량과 연도와의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방법뿐만 아니라 서울 지점이 속한 한강유역의 전 지점들을 이용한 유역의 누적평균 강수량 자료에 대하여 연도와의 Logsitic 회귀분석 및 Power Model을 이용해 서울 지점의 목표연도별 누적평균 강수량을 산정하였고 이를 통해 목표연도별 위치매개변수 및 축척매개변수를 구해 목표연도별 재현기간에 따른 확률강수량을 산정하였다.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한 비정상성 빈도해석의 경우, 목표연도가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인 증가에 의해 매우 높은 누적평균 강수량이 나타나 확률강수량의 경우에도 정상성임을 가정한 확률강수량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나 타당한 확률강수량이라 함에 한계가 있음을 보였다. 유역의 평균거동과 Logistic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확률강수량을 산정하였을 때에는, 선형 회귀분석에 비해 정상성임을 가정한 확률강수량보다 크게 증가하지 않고 비교적 안정적인 증가가 나타났다. 하지만 Logistic 회귀분석을 이용한 누적평균 강수량 산정에 있어서 목표연도 2040년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수렴하는 형태를 보여 모든 목표연도의 확률강수량이 동일한 값을 가지는 한계가 나타났다. 한강 유역의 평균거동과 Power Model을 이용한 비정상성 빈도해석의 경우, 선형회귀분석 및 Logistic 회귀분석을 통한 비정상성 빈도해석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확률강수량이 나타남을 보였다.

  • PDF

Steady-state Performance Simulation and Operation Diagnosis of a 2-spool Separate Flow Type Turbofan Engine (2스풀 분리 배기 방식 엔진의 정상상태 성능모사 및 작동 진단)

  • Choo, KyoSeung;Sung, Hong-Gye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3 no.1
    • /
    • pp.38-46
    • /
    • 2019
  •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engine diagnostic technology for gas turbine engines. An engine simulation program, precisely simulating the engine performance, is required in order to apply it to the engine diagnosis technology for engine health monitoring. In particular, the simulation program can predict not only design point performance but also off-design point and partial load performance in accurate. So the engine simulation program for the 2-spool separate flow type turbofan engine was developed and the JT9D-7R4G engine of PW(Pratt & Whitney) was analyzed. The steady-sate performance analysis is conducted at both design and off-design points in flight path and the differences between analysis results of takeoff and cruise conditions are compared. The effect of Reynold's correction method was analyzed as a scaling method of the engine component performance. The simulation results was compared with NPSS.

On Feasibility of Using Scanned Maps for Ground Control Point Marking (지상 제어점 결정을 위한 스캐닝된 지도의 이용 가능성 연구)

  • 신동석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2 no.1
    • /
    • pp.17-25
    • /
    • 1996
  • This paper presents a GCP marking technique using scanned maps. Twelve maps with a scale of 1:250, 000 were scanned and stored as raster images. The distortion factors of scanned maps were modelled by polynomials. The coefficients of the polynomials were determined by a least squre fit. This technique does not require a bulky and expensive digitizing table so that it is suitable for a low-cost pre-processing system. The GCP marking using this technique showed a sufficient accuracy for KITSAT1, 2 narrow camera images.

Using Detailed Soil Maps(1:5,000) to Estimate SCS Runoff Curve Number in a Small Watershed (SCS-CN 산정을 위한 수치세부정밀토양도의 활용)

  • Hong, Suk-Young;Jung, Kang-Ho;Choi, Chol-Uong;Jang, Min-Won;Kim, Yi-Hyun;Ha,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6-115
    • /
    • 2007
  • 농촌진흥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수치토양도는 수문 수자원 분야에서 SCS-CN법을 이용한 유효우량 및 유출곡선 산정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토양조사 국책사업 결과 전산화된 토양도 및 토양검정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한 토양정보 웹 시스템은 전국의 토양 전자지도와 토양 통계 자료를 주제별로 검색하거나 필지별 토양분석 성적에 따른 토양관리처방서를 조회하는데 사용되는 농업분야 이외의 사용자 그룹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활용 및 유통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다. 수치토양도가 수문학적 토양유형 정보를 포함하도록 제공하는 것이 먼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고 다음으로는 수문 수자원 분야 활용 측면에서 수치토양도가 제공하는 속성, 축척, 제공형태, 좌표체계, 서비스 방식 등에 대하여 활용정책을 마련하여 이에 따라 자료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앞으로 활용이 가능하게 될 수치세부정밀토양도와 토양유형을 이용하여 충북 괴산군 소수면의 소유역에 대해 SCS 삼각법에 따른 단위도 작성, 유효우량 산출 및 유출곡선을 작성한 결과 농업과학기술원의 정 등(2006)이 분류한 토양유형을 이용한 결과 정 등(1995)에 따른 토양유형을 이용한 결과에 비해 CN값과 유효우량이 더 높게 나타났고 삼각단위도로부터 유도한 정점의 유출량과 시간별 유량 관측값에 더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PS-Assisted Aerotriangulation (GPS를 이용한 항공삼각측량)

  • 김감래;김충평;윤종성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7 no.3
    • /
    • pp.283-292
    • /
    • 1999
  • Aerotriangulation for the large scale mapping(photo-scale l/5,000) was studied with the projection center determined by kinematic DGPS positioning. For the feasibility study, the accuracy and error was analyzed with the comparison between a projection center from the conventional model adjustment and the projection center determined by the kinematic DGPS positioning. Kinematic DGPS-supported Bundle adjustment was also performed. The accuracy of projection center, determined by L1 phase data observed within 30 km from base station, was stable, and the planimetric accuracy(RMS) is 13 cm and the vertical accuracy(RMS) is 15 cm with 4 ground control points, which satisfies the national standard of digital mapping. Thus, this study shows that GPS-assisted aerotriangulation can be used for economic digital mapping.

  • PDF

3D Visualization of Auto Pattern Maker Data for Eyeglass Lens Machining (안경렌즈 가공을 위한 취형기 데이터의 3D 시각화)

  • Kim, Dae-Yun;Kim, Sul-Ho;Kim, Gye-You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5.10a
    • /
    • pp.1459-1460
    • /
    • 2015
  • 안경을 제작하기 위하여 안경테 혹은 렌즈의 사이즈를 측정하는 기계를 취형기라 하며, 측정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렌즈를 절삭하는 기계를 옥습기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취형기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3D 시각화 하는 방법에 대하여 서술한다. 취형기의 탐침자에서 획득된 데이터는 1024개, 즉 데이터당 약 $0.352^{\circ}$에 해당하는 각도로 획득한 데이터로 구성되며, 각 데이터는 취형기 중심에서 경계까지의 거리와 렌즈 혹은 안경테의 높이 데이터를 포함한다. 해당 데이터는 취형기에서 얻은 원통좌표계 형식의 원시 데이터 형태에서 OpenGL에서 사용하기 좋은 3차원 데이터 형식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재가공하여 X, Y, Z 축 기반의 3차원 직교좌표계 형식으로 변환한다. 그 후, OpenGL을 사용하여 3D로 시각화하였다. 해당 데이터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쿼터니언 기반의 ArcBall을 사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였으며, 3D 시각화 된 결과를 확대/축소할 수 있게 하였다. 디스플레이에서 실제와 같은 크기로 출력하기 위하여 DPI를 활용한 축척 계산법을 사용하였고, 출력결과의 더 나은 시각화를 위하여 평균보간법을 사용하였다.

Application of Fuzzy Linear Programming to Estimate the Potentiality of Domestic Long-Term Wood Supply (국내 장기목재공급 잠재력 예측을 위한 퍼지선형계획법의 적용)

  • Won, Hyun-Kyu;Kim, Young-Hwan;Lee, Kyeong-Hak;Jang, Kwang-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9 no.6
    • /
    • pp.802-807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potential of domestic long-term wood supply by using fuzzy linear programming (FLP). In order to construct a numerical formula model, maximization of total timber production was used for the objective function. Size limit of harvesting and sustained yield were used as the constraints. The results of comparison between LP and FLP were shown that LP is more suitable than FLP in terms of the amount of timber production and final forest stock. However, as long-term sustained yield was limitedly achieved by using LP, FLP was more desirable for prediction of potential wood supp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tential of annual domestic wood supply was estimated about 10.5 million cubic meters. Gyeong buk, Jeon nam, Gangwon and Gyeong nam province were highly ranked in order of provincial potential of wood su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