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축열조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5초

태양열이용 Baffle식 축열조를 갖는 급탕난방시스템의 열성능 해석 (Analysis of Thermal Performance of Solar Hot-Water and Heating System with Baffle Storage Tank)

  • 서정세;이중섭;윤지훈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2권11호
    • /
    • pp.805-811
    • /
    • 2010
  • A numerical study has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thermal performance of solar heating system with baffle type of storage tank by using the commercial code TRNSYS. As a result, the solar fraction depends strongly on the efficiency and heat loss coefficient of solar collector as well as the heating capacity of house and the water temperature supplied to the shower. In addition, the solar fraction has been basically ranked to higher level in baffle type of storage tank than typical type of single storage tank for the range of operation condition.

열펌프 온수기의 부하 대응 축열조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trol Method of Thermal Storage Tank for Varying Thermal Load in Heat Pump Water Heater)

  • 남현규;배철호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330-335
    • /
    • 2012
  • A characteristic behavior of the thermal storage tank for varying thermal load in heat pump water heater was studied. The control method was suggested and applied.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within the storage tank, the heat pump was ON/OFF controlled. The appropriate measuring position and the size of heat exchanger gives the minimized power consumption of heat pump. As the length of heat exchanger increases, the temperature measuring position goes down of the storage tank and the power consumption increases.

기상 조건과 축열조 용량에 따른 복합 포물형 집열기(CPC) 시스템의 열적 성능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rma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CPC System Depending on Weather Conditions and Capacity of Heat Storage Tank)

  • 임석규;정영관;김경훈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0권1호
    • /
    • pp.58-66
    • /
    • 2019
  • Static compound parabolic collectors (CPCs) have advantages such as ease for fabrication and lower cost compared with other concentrating collectors. In this study, thermal performance analysis of CPC employing heat storage tank was carried out. The clearness index and capacity of heat storage tank are taken as the main parameters for numerical simulation. The effects of the parameters on the hourly and daily system performances ncluding the useful energy, heat loss, and collector efficiency were numerically investigated. Results showed that the system has a potential for efficient recovery of solar thermal energy.

축열조를 채용한 복합 포물형 태양열 집열기(CPC) 시스템의 연중 열적 성능 해석 (Thermal Performance Analysis of Compound Parabolic Collector (CPC) System Employing Storage Tank Through a Year)

  • 임석규;정영관;김경훈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0권4호
    • /
    • pp.376-383
    • /
    • 2019
  • This paper presents of thermal performance analysis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for a compound parabolic collector (CPC) system employing heat storage tank. The thermal performance including insolation energy, heat loss from collector system, useful energy, collector efficiency, and temperature of storage tank were theoretically investigated through a year using monthly-average meteorological data at Seoul. The simulated results showed that the CPC systems are suitable for the applications of higher temperature than flat plate collector (FPC) systems.

소형 축열식 복사관 버너시스템용 축열기 설계 및 성능평가 (Design and Estimation of Performance of Heat Regenerator for Small-scale Regenerative Radiant Tube Burner)

  • 조한창;조길원;이용국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4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1-176
    • /
    • 2004
  • 열처리로에 적용되는 소형 축열식 복사관 버너시스템에 사용될 축열기를 설계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좁은 튜브간 간격을 갖는 U형 복사관에 축열기를 적용하기 위하여 상하단 단면적이 다른 축열기를 설계, 적용하였다. 구형축열체를 사용하는 2만kcal/hr급 축열기 설계에는 기존에 개발된 축열기 해석코드를 이용하였다. 실제 시스템에 적용하여 축열기 전후단의 온도 및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축열기 해석코드로부터 얻은 배가스의 배출온도와 공기의 예열온도를 비교하였다. 이론적으로 예상된 성능은 80%의 온도효율과 70%의 배열회수율이 얻어졌으나, 실험적 결과로부터는 온도효율이 80%, 배열회수율이69%가 얻어졌다. 가장 큰 성능 차이는 배가스의 배출온도였는데, 이는 실제 시스템에서 열손실에 의한 축열기로의 배가스 유입온도 하락과 실제 운전에서의 공기/배가스 유량의 증가에 의해 기인된다고 판단된다.

  • PDF

ESCO 기술연구-1-슬래브축열 공조시스템

  • 정재훈
    • ESCO지
    • /
    • 통권54호
    • /
    • pp.64-69
    • /
    • 2008
  • 야간의 잉여전력으로 열을 저장해두었다 주간에 이용하는 축열공조에는 50여년에 걸친 긴 역사가 있었다. 이 방식이 가지는 효용에 일찍부터 눈뜬 선각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당초 보급은 늦어져 그다지 진전이 없었다고 한다. 이러한 정세가 일변한 것은 전력공급에 병목현상이 생겨 부하 평준화가 안정공급에 있어 필요불가결의 과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공조는 피크성이 강한 수요이므로 공조용 전력을 야간으로 옮기는 작업의 이점이 큰 것은 당연하다. 비 수요시간대의 요금이 큰 폭으로 떨어짐으로써 수요자측에서 보아도 야간의 전력을 어떻게 활용할까하는 것은 매력적인 연구테마였다. 이리하여 축열공조가 관심을 불러 보급이 기도에 놓인 지 2O년 가까이 되었다. 처음에는 물을 사용한 축열이 대부분이었으나, 축열조 용량의 제약으로 얼음을 만들어 저장하는 빙축열방식이 도입되어 현재의 표준적인 축열방식이되었다. 그러나 빙축열에도 비용상의 문제가 있어 전면적인 보급에 이르기까지는 아직 연구의 여지가 더 남아있는 듯하다. 한편, 교토의정서의 발효 등에 의해 지구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이 같은 배경 속에 건물및 건축설비의 에너지절약 기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특히 창 주변의 공조방식, 조광제어, 축열 공조시스템 등, 건물부하의 직접적인 저감과 전력부하 평준화에 의한 환경부하저감 및 운영비용의 저감을 목적으로 한 건물일체형 설비시스템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기에 이르렀다. 환경을 배려한 건축구조.설비시스템의 채택 사례가 증가하며 건축물 종합환경성능 평가시스템과 성능검증 등 건물설비의 평가.검증 수법도 연구되어 건물에 적합한 운용면에서의 사고가 중요함이 인식되었다. 이와 같이 건축구조와 설비시스템의 양면에서 에너지절약성 및 환경성, 쾌적성, 편리성의 추구가 적극적으로 도입되는 가운데, 슬래브축열시스템은 건축구조와 공조설비가 균형있게 융합됨으로써 초기비용의 삭감과 부하 평준화에 의한 경제성 향상, 복사에의한 실내환경의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있는 시스템으로 추목받고 있다.

  • PDF

수직관형(垂直管形) 축열조(蓄熱槽)에서의 수화염류(水化塩類)의 상변화(相変化)를 이용(利用)한 열저장(熱貯藏)에 관(関) 연구(硏究) (A Study on the Heat Storage Utilizing Phase Change of Salt Hydrates in Vertical Piped-Storage System)

  • 연광석;차균도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9권2호
    • /
    • pp.74-80
    • /
    • 1984
  • 시설규모(施設規模)가 작은 축소형(縮少型) 열저장장치(熱貯藏裝置)를 개발(開發)하기 위한 기초적(基礎的)인 연구(硏究)로 비교적(比較的) 열흡수능력(熱吸收能力)이 큰 염화칼슘, 황산(黃酸) 나트륨, 산성인산(酸性燐酸)나트륨 등(等)의 수화염류를 축열매체로 한 수직관형축열조(垂直管形蓄熱槽)를 제작(製作)하고 이들 축열장치(蓄熱裝置)를 이용(利用)한 축열매체의 열저장특성(熱貯藏特性)을 실험(實驗)을 통(通)하여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수행(遂行)되었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가. 수직관형축열조(垂直管形蓄熱槽)에서 반경방향 온도분포를 검토한 결과(結果), 본(本) 실험(實驗)에 사용(使用)된 모든 열매체는 가열과정(加熱過程)에서는 결정수(結晶水)의 감소(減少)로 인(因)한 발열현상(發熱現象)때문에 잠열현상(潛熱現象)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냉각시(冷却時)에는 이들 축열매체중 염화칼슘이 가장 뚜렷한 잠열현상(潛熱現象)을 보였으므로 상변화를 이용(利用)한 축열매체로서 가장 적합(適合)하다고 사료(思料)되었다. 나. 가열(加熱) 및 냉각시(冷却時) 축열매체에 전달된 열량(熱量)은 같은 조건하(條件下)에서 염화칼슘의 경우(境遇)가 가장 많았다.

  • PDF

상변화 물질을 사용한 축열조에서의 열전달 -수직원관내에서의 내향용융실험 및 수치해석- (Heat Transfer in Heat Storage System with P.C.M. -Experimental and Numerical Investigation during Inward Melting in a Vertical Tube-)

  • 임장순;최국광;이채문;김준근;송하진;조남철
    • 태양에너지
    • /
    • 제10권1호
    • /
    • pp.5-13
    • /
    • 1990
  • 온도가 일정한 외벽을 열원으로 하는 수직원통형 축열조 내에 채워진 상변화물질의 내향용융 과정에서 자연대류에 의한 열전달현상을 유한차분법을 이용하여 수치해석하였고, 그 결과를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상변화물질로는 용융점온포가 $42.5%^{\circ}C$ n-docosane paraffin($C_{22}H_{46}$)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상변화물질의 용융속도는 액상영역의 자연대류로 인하여 축열조 상부로 갈수록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변화물질의 초기온도는 액상영역 속도분포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며, 상변화물질의 초기온도가 낮을수록 용융속도는 늦어지고 축열조의 형상비($H/r_w$)가 커질수록 자연대류는 활발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해석의 결과는 실험 결과와 잘 일치하였으나, 수치해석시 상변화물질의 용융에 따르는 체적팽창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용융이 진행 됨에 따라 오차가 발생하였다.

  • PDF

태양열 난방 일체형 복합시스템의 축열조 효율개선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Efficiency Improvement of Thermal Storage Tank for Solar Combined Heating System)

  • 류남진;고광수;한유리;박윤철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8-192
    • /
    • 2006
  • This study is conducted to improve efficiency of thermal storage tank. The thermal storage tank was designed to store heat energy that obtained from solar or the others heat sources. However, it has difficulties in storing heat with uniform temperature through the entire tank with respect to vertical direction. This kind of maldistribution of the supplied heat to the storage tank effects on the system performance. In this study is focused on utilization of the thermal stratification to improve thermal comfort for people in the house. To enhance temperature stratification of the tank, a distributor was designed and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tank. The distributor is supplies hottest water to the top side of the tank which is very close to inlet of the supply line to the heating load. The hottest water that is accumulated on top side of the tank is firstly supplied to the load with higher temperature. Reminder water takes a little time to warming up until desired supply temperature reached. This kind alternating selection of the supply temperature is improve thermal comfort with moderated system performance.

  • PDF

열처리로용 소형 축열식 복사관 버너의 축열기 설계 기술평가 (Design and Performance Estimation of Heat Regenerator for Small-scale Regenerative Radiant Tube Burner)

  • 조한창;조길원;이용국
    • 에너지공학
    • /
    • 제13권4호
    • /
    • pp.291-295
    • /
    • 2004
  • 열처리로에 적용되는 소형 축열식 복사관 버너시스템에 사용될 축열기를 설계, 제작하고 그 성능을 실제 축열식 복사관 버너시스템에서 평가하였다. 좁은 튜브간 간격을 갖는 U형 복사관에 축열기를 적용하기 위하여 상하단 단면적이 다른 축열기를 설계, 적용하였다. 구형축열체를 사용하는 2만 ㎉/hr급 축열기를 기존에 개발된 축열기 해석코드를 이용하여 설계, 제작하였으며, 축열기 전후단의 온도 및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를 축열기 해석코드로부터 얻은 배가스의 배출온도와 공기의 예열온도를 비교하여 해석코드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이론적으로 예상된 성능은 80%의 온도효율과 70%의 배열회수율이 얻어졌으나, 실험적 결과로부터는 온도효율이 80%, 배열회수율이 69%가 얻어졌다. 가장 큰 성능차이는 배가스의 배출온도였는데, 이는 실제 시스템에서 열손실에 의한 축열기로의 배가스 유입온도 하락과 실제 운전에서의 공기/배가스 유량의 증가에 의해 기인된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