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축열물질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3초

지역난방용 축열조의 소개

  • 이건태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0권12호
    • /
    • pp.35-36
    • /
    • 2001
  • 지역난방 방식에 의한 열공급이 개별적 열이용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높고 환경유해 물질의 배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집단 거주 지역을 중심으로 이용도가 놓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지역난방 방식의 주요 설비중의 하나인 축열조의 역할, 운전, 종류 및 설계방법 등을 요약하였다.

  • PDF

첨가제를 첨가한 저온축열물질의 냉각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ooling Characteristics of Low Temperature Thermal Storage Material with Additives)

  • 정낙규;김진흥;정종헌;김창오;강승현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46-1750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percooling repression on the clathrate compound by adding additives. For this purpose, phase change temperature and supercooling were measured when additives added to TMA30wt% clathrate for heat source temperature of $-6^{\circ}C$.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hase change temperature with the chloroform of 0.1wt% is higher by $0.3^{\circ}C$ than TMA30wt% and the supercooling with the surfactant 0.1wt% is reduced by $9.2^{\circ}C$.

  • PDF

저온축열물질의 열물성에 미치는 첨가제의 영향 (The Effects of Additives on the Thermal Properties of a Low Temperature Thermal Storage Material)

  • 강승현;김진홍;정낙규;김창오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65-117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upercooling improvement of TMA30wt% clathrate when the chloroform is added to it. For this purpose, phase change temperature and supercooling are measured and evaluated experimentally in heat source of $-7^{/circ}C$. The results show that phase change temperature and supercooling are improved. From the results, this research can provide and important data for the low temperature thermal storage.

  • PDF

PCM 기술의 콘크리트 적용 II : 계면중합법에 의한 1-도데카놀 마이크로 캡슐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로 사용된 SSMA의 표면활성도가 마이크로 캡슐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Application of PCM Technology to Concrete II : Effects of SSMA(Sulfonated Styrene-Maleic Anhydride) on the Properties of the 1-Dodecanol Micro-Capsule)

  • 신세순;정재윤;임명관;최동욱;김영호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7-25
    • /
    • 2013
  • 축열재 이용 기술은 실내 냉난방을 위하여 사용된 에너지를 장시간 일정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사용 효율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이 중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잠열 축열재는 물질의 잠열성질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심물질로서 일정온도에서 녹는점을 갖는 물질을 캡슐화 하여 이를 건축자재에 적용하여 실내 및 외기의 온도에 따라서 심물질이 녹거나 어는 과정에서 축열과 방열로 인한 에너지 절감 및 차단 효과를 갖는다. 상변화 물질을 이용해 축열재를 만드는 방법은 마이크로 캡슐화의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크게 분류하면 화학적 방법, 물리 화학적 방법 및 물리적 기계적 방법의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물리 화학적 방법으로 습식공정에 의한 마이크로 캡슐화 공정을 이용했으며 이 공정은 심물질을 용매에서 에멀젼화한 다음 고분자모노머를 심물질인 에멀젼의 벽면에 코팅하여 경화 시키는 공정이다. 이 경우에 심물질의 에멀젼이나 벽재 모노머의 코팅 성능을 좋게 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가 사용된다. 또한 계면활성제의 특성에 따라서 마이크로 캡슐화의 성능이 좌우되고 특히 벽재물질의 코팅 두께 및 코팅의 균일성에 크게 좌우된다. 본 연구에서는 상변화를 이용한 축열재로서 심물질인 1-도데카놀을 멜라민수지로 계면중합법에 의하여 마이크로 캡슐화 하는데 있어서 계면활성제인 SSMA(sulfonated styrene-maleic anhydride)의 화학적 특성에 따른 마이크로 캡슐의 성능과 이에 따른 축열 성능을 비교하였다.

MgO를 사용한 고온축열탱크의 성능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High Temperature Heat Storage Tank using MgO Materials)

  • 조소앙;신창훈;이수상;윤석훈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13-418
    • /
    • 2011
  • 최근 화석에너지의 남용으로 인한 지구온난화문제가 인류가 해결해야 할 지상과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에너지문제의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고온축열탱크의 개발과 그 성능특성에 관한 내용이다. 지금까지 이에 관한 연구는 그다지 활발하지 않았으며, 특히 고온축열탱크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교적 열물성이 양호하며 가격이 저렴한 물질인 MgO를 현열축열재로 사용하는 고온축열탱크의 개발이다. 이를 위하여 분말 상태의 MgO를 이용하여 축열벽돌을 제작하고, 실험적 방법을 통하여 MgO를 축열재로 사용하는 고온축열탱크의 성능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열축열재인 MgO의 고온축열 및 방열성능을 확인하였다.

PCM 함유된 축열석고보드의 열환경특성 (Thermal Environment Characteristic of the Heat Storage Gypsum Board Included with Phase Change Material)

  • 권오훈;윤희관;한성국;안대현;심명진;조성운;박종순;김재용
    • 공업화학
    • /
    • 제21권5호
    • /
    • pp.570-574
    • /
    • 2010
  • 기존 단열재의 주된 기능은 단지 열전달을 차단하는 기능과 건물로부터 열손실을 줄여주는 기능만을 수행했다. 반면, 축열재는 특정온도 범위 내에서 열에너지를 저장 또는 방출함으로써 건물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축열 건자재는 실내 공기온도 변화주기를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일정하게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냉난방시스템 기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건축자재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석고보드에 상변화잠열물질을 축열재로 첨가하여 그 물성과 열환경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축열 건자재를 활용할 때 발생가능한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TVOC와 HCHO 함량 분석으로부터 오염물질의 배출가능성을 조사하여 축열 건자재의 환경 친화도를 검토하였다.

캡슐화된 PCM을 이용한 유동층 축열조에서 열전달 특성 연구 (Heat Transfer Chracteristics in a Fluidized bed Heat Storage System Using Encapsulated PCM)

  • 윤영호;한귀영;강용혁;곽희열;이태규;전명석
    • 태양에너지
    • /
    • 제18권3호
    • /
    • pp.89-94
    • /
    • 1998
  • 태양열 응용을 위한 한 방편으로 캡슐화된 PCM을 이용한 유동층 축열조에서 축열 및 방열과정에서 열전달 특성을 살펴보았다. 유동층 축열조는 원통형으로 높이는 40cm, 직경은 5.0cm 이었다. 축열물질은 무기염의 일종인 sodium acetate 였으며, 이것은 파라핀 왁스와 PMMA 로 코팅되었다. 캡슐화된 PCM의 크기는 약 $2{\sim}3mm$였으며, 용융점은 $58^{\circ}C$였다. 축열 및 방열과정시 유동층 축열조의 시간에 따른 온도분포, 순간 열저장 및 방출 속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로부터 유동층 축열조의 체적 열전달 계수를 도출하였다. 또한 유동층 축열조의 조업변수인 열전달 유체의 유속, 유입온도에 대한 열전달 계수의 영향도 관찰하였다.

  • PDF

금속스크랩이 혼합된 상변화물질의 유효열전도율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phase change material with metal scrap)

  • 김시범;노승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923-928
    • /
    • 1986
  • 본 논문에서는 열전도율이 큰 금속의 스크랩과 파라핀을 혼합한 축열 매질에 있어서 스크랩의 체적 혼합율에 따르는 열전도율의 변화를 모델링과 실험으로 구해서 축열 계산에 필요한 열전도율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상변화형 미세캡슐을 함유한 축열블럭의 열성능 특성 (Thermal Performance of the Storage Brick Containing Microencapsulated PCM)

  • 이동규;천원기;강용혁;곽희열
    • 태양에너지
    • /
    • 제19권3호
    • /
    • pp.23-28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난방용 축열보드에 응용하기 위해서 미세캡슐을 함유한 축열블럭의 열성능 특성을 조사하였다. 상변화 물질인 $CH_3COONa{\cdot}3H_2O$를 미세캡슐 형태로 제조하였고 미세캡슐 함유량이 각각 10%, 20%가 되도록 시멘트 몰타르와 혼합하여 축열블럭을 제작하였다. 축열블럭의 축열 및 방열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량과 유입 냉각 온도를 변화시켰다. 실험결과를 보면 미세캡슐 함유량이 증가할 수록 블럭에 축열되는 축열량은 증가를 하였고 방열시간도 증가를 하였다. 그리고 방열과정시 유량이 증가하고 유입 냉각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방열시간은 감소하였다. 순수블럭(0% 미세캡슐 함유량)은 방열과정시 총괄 열전달 계수는 시간에 따라서 일정하게 유지를 하지만 축열블럭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를 하였다.

  • PDF

축열조 내 패킹 모듈의 방열 성능에 대한 수치해석 (A Numerical Study on the Discharging Performance of a Packing Module in a Thermal Storage Tank)

  • 이용태;정재동;박형준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9권7호
    • /
    • pp.625-631
    • /
    • 2015
  • 이번 연구는 패킹 모듈로 채워진 축열조의 방열 성능을 수치해석 하였다. 해석에는 PCM의 상변화 현상을 계산하기 위해 엔탈피-공극률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 방법을 통해서 방열 시 축열조 상부로부터 열전달유체가 흐를 때 모듈에서의 녹는 현상을 계산하였다. 축열조 디자인에 모듈 배치, 모듈 수 등의 다양한 인자가 있지만, 본 해석에서는 유량의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축열조 출구온도, 전체 PCM의 시간에 따른 녹은 양 및 축열밀도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유량이 증가할수록 출구온도가 높게 형성되었으며, 전체 PCM이 녹는데 필요한 시간이 짧아지고 축열 밀도 역시 증가하여 목표치의 93% 수준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