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축성기법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166초

18세기 한양도성의 개축과 축성기법 (Repair and Construction Methods of Hanyangdoseong in 18th Century)

  • 송인호;김영수;문인식
    • 건축역사연구
    • /
    • 제30권4호
    • /
    • pp.79-90
    • /
    • 2021
  • Since its construction in the late 14th century, Hanyangdoseong had been carried out three major repairs and reconstructions during the 500 years of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o the large-scale construction, small-scale construction continued until King Gojong era. In particular, in the 18th century, systematic construction management was implemented by the craftsmen and the military participated in the renovation of Hanyangdoseong in earnest, and the construction methods also developed rapidly. In the early 18th century, new construction techniques were attempted in various sections of the reconstruction work, and gradually became a common technology for repairing Hanyangdoseong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period of changes in the 18th century's construction technique, when the rapid development of Hanyangdoseong took place. To this end, the excavation results related to Hanyangdoseong, the remaining city wall, and the inscribed stones were used to identify and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 of the construction method.

電算流體力學의 發達過程과 展望

  • Graves, Randolph A.
    • 기계저널
    • /
    • 제22권4호
    • /
    • pp.262-270
    • /
    • 1982
  • 머지않은 장래에는 이러한 초컴퓨터와 신기술들이 유체역학의 주요한 발전을 주도하고, 오랫동안 취급하지 못하였던 난류유통도 해석할 수 있을 것이며, 복잡한 비행기 형상의 외부 유통도 발 전된 형체막형화 기법과 격자발생법 및 그래픽 기술을 이용하여 손쉽게 계산될 것이다. 금세기 말까지의 공기역학의 발전은 주로 공기의 탄성효과를 고려한 비정상압축성 공기역학에서 이루 어질 것이다.

  • PDF

비정렬격자와 예조건화 기법을 이용한 저압축성 점성유동해석 (PRECONDITIONED NAVIER-STOKES COMPUTATION FOR WEAKLY COMPRESSIBLE FLOW ANALYSIS ON UNSTRUCTURED MESH)

  • 손상준;안형택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79-86
    • /
    • 2013
  • Preconditioned compressible Navier-Stokes equations are solved for almost incompressible flows. Unstructured meshes are utilized for spatial discretization of complex flow domain.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preconditioning algorithm, with respect to various Reynolds numbers and Mach numbers, is demonstrated by the solution of canonical problems for incompressible flows, e.g. driven cavity flows.

최근 조사된 경상도 지역 석축산성(石築山城)의 축성법 검토 (A Study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Stone-wall Fortresses in the Recently Surveyed Gyeongsang Province)

  • 박종익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4호
    • /
    • pp.126-143
    • /
    • 2013
  • 신라의 산성 중 정확한 축성시기와 주체를 밝힐 수 있는 것은 경주의 명활산성(明活山城)과 남산신성(南山新城) 등 몇 개소에 불과하다. 명활산성은 작성비와 발굴조사 결과 확인된 체성의 축조기법과 보축을 기준으로 7세기 이전의 산성으로 보았다. 그러나 남산신성의 경우 북서 골짜기에서 찾은 초축시기(591년)의 석축 성벽 한곳을 제외하면 증축시기(679년)로 추정하였다. 경주 왕도에 있는 이들 산성의 축성방법을 기준으로 최근 조사된 각종 산성의 축성모습을 검토하여 축조연대를 추정하여 보았다. 그 결과 명활산성의 축조와 비슷한 모습을 보이는 함안 성산산성(城山山城)은 축조방법과 보축 등에서 6세기 중반경으로 보았고, 이와 축조수법이 유사한 김해 양동산성(良洞山城)과 양산 신기산성(新基山城)을 비슷한 시기로 설정하였다. 다만, 고령의 주산성(主山城)을 살펴보면 축조수법이 이들과 비슷하지만, 보축의 축조기법과 제한적인 보축에서 다소 시기차가 떨어지는 것으로 보았다. 이들과는 별도로 남산신성에서 확인되는 잔존성벽 대부분을 증축시기의 것으로 보고 이와 유사한 축조수법을 보이는 함양 사근산성(沙斤山城)과 거제 다대산성(多大山城)을 동시기로 설정하였다. 체성에서 확인되는 치석된 장방형의 성돌로 바른층쌓기한 점과 형식적으로 남은 보축을 설정근거로 하였다. 또한 김해 양동산성과 함양 사근산성에서의 단면 삼각형 수구, 김해 신기산성에서는 보축이 있는 석성축조에 앞서 선축된 목책의 흔적이 확인되어 이 지역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조사성과를 확인하였다.

가압축성 기법을 이용한 비정렬 격자상에서의 비압축성 점성해석 (Incompressible Viscous Analysis on Unstructured Meshes using Artificial Compressibility Method)

  • 문영준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1995년도 추계 학술대회논문집
    • /
    • pp.113-117
    • /
    • 1995
  • Viscous analysis on incompressible flows is performed using unstructured triangular meshes. A two-dimensional and axisymmetric incompressible Navier-Stokes equations are solved in time-marching form by artificial compressibility method. The governing equations are discretized by a cell-centered based finite-volume method. and a centered scheme is used for inviscid and viscous fluxes with fourth order artificial dissipation. An explicit multi-stage Runge-Kutta method is used for the time integration with local time stepping and implicit residual smoothing. Convergence properties are examined and solution accuracies are also validated with benchmark solution and experiment.

  • PDF

A Study of Three 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on Vacuum Consolidation

  • Chung, Youn ln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3권3호
    • /
    • pp.5-20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유한변형률 이론에 근거하여 3차원 압밀 지배 방정식을 유도하였다. 이 방정식은 비교적 압밀층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비선형 물성치, 공극비에 따른 비선형 투수계수를 갖는 지반에 적합하다. 기존의 유한차분 수치해석 기법(FTCS)은 지배 방정식이 비선형 이며 복잡한 경우 안정된 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특수 유한 차분 기법을 도입하였다. 이 수치해석 기법을 지배 방정식에 적용하면 시간에 따른 압밀량을 예측할 수 있다. 본 해석기법에 의해 구해진 값들을 윅드레인을 설치한 여러 가지 고압축성 토질에서의 실험 결과와 비교한 결과, 최종 압밀량과 시간에 따른 압말량이 잘 일치하고 있다.

  • PDF

연안 대수층에서 해수침투 축성 해석 (Numerical Modeling of Seawater Intrusion in Coastal Aquifer)

  • 이연규;이희석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4권3호
    • /
    • pp.229-240
    • /
    • 2004
  • 연안대수층은 주요한 지하수 공급원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연안대수층의 개발은 해수침투에 의한 대수층 오염을 야기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개발과정에서는 적절한 양수량과 양수정의 배치가 매우 중요하고, 이 들의 영향은 용질이동과 유동해석이 가능한 수치해석적 기법들을 적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연안 자유면 대수층 모델에 대해 양수량 및 수리지질학적 변수들이 해수침투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SWICHA 코드를 이용하여 수치해석적으로 검토하였다. 수치해석과정에서는 유동 및 용질의 상호작용이 고려되었다. 경계 조건, 수리지질변수 등의 변화에 따른 해수담수 경계부에서의 염수 확산대 분포, 양수정 부근에서의 수두변화 등이 분석되었다.

NACA0015익형을 가지는 로터 깃 끝와류의 후류유동구조 (Wake Structure of Tip Vortex Generated by a Model Rotor Blade of NACA0015 Airfoil Section)

  • 손용준;김정현;한용운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10-217
    • /
    • 2011
  • 대칭익형 단면을 가지는 모형 깃 끝와류의 후류유동구조의 전개과정을 관찰하기 위하여 2차원 LDV 시스템을 이용하여 끝와류의 회전성분과 축성분을 상평균 기법으로 측정하였다. 비대칭익 로터 깃의 특징에 비하여 대칭익 로터깃의 끝와류는 $27^{\circ}$ 부근까지 성장 과정이 진행되어 다소 늦게 형성되었으며 그 이후부터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확산모드가 진행되었다. 회전성분은 실험이 진행된 $360^{\circ}$ 까지 Vatistas의 n=2모델에 우수한 접근성을 보이면서 자기상사성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축방향성분은 비대칭익에 비하여 훨씬 강한 세기로 나타나면서 정규분포 성향을 나타내었다. 이들의 결과들은 대칭익의 경우 로터의 추력 발생면에서 끝단손실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실내압밀시험과 GIS 기법을 이용한 대규모 매립지역의 장기침하량 예측 (A Prediction of Long-Term Settlement in Large Reclamated Sites Using Laboratory Consolidation Tests and GIS Techniques)

  • 박사원;김홍택;박성원;백승철;박상권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5-19
    • /
    • 2006
  • 연약 점토지반에서의 2차 압밀침하량은 일반적으로 전체 압밀침하량에 비해 미소하고 2차 압밀까지의 종료시간도 상당히 길기 때문에 이를 무시하는 경우가 많으나 유기질 또는 고압축성의 점토에서는 비교적 큰 침하량이 발생하기 때문에 중요한 공학적 요소로 간주된다. 이러한, 준설매립지반의 잔류침하량을 저감시키기 위해선 선행재하공법(preloading)이 주로 적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매립지역의 장기침하량을 보다 합리적으로 결정하기 위하여 실내에서 단계재하 압밀시험 및 surcharging 압밀시험 등을 수행하였다. 서해안(인천) 및 남해안(광양) 일대의 대규모 준설매립지역에서 시료를 채취했으며, 이 지역내 준설점토의 2차 압밀특성치들을 실험으로 규명하여 장기침하량 예측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지리정보체계(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이하 GIS)의 위치정보(수치지도)에 지반정보(속성자료)를 접목시켜 해당지역의 자료를 D/B화 한 후, GIS의 연산기능 및 공간추정 기능 등을 활용함으로써 대규모 준설매립지역의 2차 압밀침하량을 예측하였다.

  • PDF

초연약 준설 매립지반의 비선형 유한변형 압밀해석기법 -Part I: 해석 물성치 평가 (Analysis Method for Non-Linear Finite Strain Consolidation for Soft Dredged Soil Deposit -Part I: Parameter Estimation for Analysis)

  • 곽태훈;이철호;임지희;안용훈;최항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9호
    • /
    • pp.13-24
    • /
    • 2011
  • Terzaghi의 1차원 압밀이론은 준설 매립지반과 같이 고함수비, 고압축성을 갖는 점토지반의 압밀해석에는 적합하지 않다. 준설 매립지반의 자중압밀과 재하하중에 의한 추가압밀을 적절히 고려하기 위해서는 비선형, 유한변형 압밀이론을 도입해야 한다. 준설 매립지반의 비선형 유한변형 압밀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침강과정이 종료되고 자중압밀이 시작되는 시점의 간극비인 초기간극비($e_{00}$)와 비선형성을 갖는 준설토의 간극비-유효응력 관계와 간극비-투수계수의 관계 규명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시험을 통해 비선형 유한변형 압밀해석에 필요한 인자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적용하여 인천지역 준설토와 카올리나이트의 압밀 물성치를 평가하였고, 이를 동반논문에서 다룰 비선형 유한변형 압밀해석에 적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