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축산부산물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42초

열처리 및 오존산화처리를 이용한 축산폐수처리장 폐활성오니의 재활용 (Reuse of Waste Activated Sludge from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using Thermal and Ozone Oxidation Treatment Method)

  • 김영기;남세용;김경섭
    • 공업화학
    • /
    • 제17권1호
    • /
    • pp.22-27
    • /
    • 2006
  • 축산폐수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폐활성오니를 농업용으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유효성분을 분석하고, 재활용을 위한 처리기법으로 열처리와 오존산화처리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폐활성오니의 성상분석 결과로부터 고형분의 질량백분율로 탄소 44.25%, 질소 8.43%, 인 1.35%로 농업용 비료로서의 가치를 확인하였다. 잠재 병원성균의 정량분석결과로부터 적절한 처리방법에 의한 병원성균 비활성화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열처리방법의 TSS, COD, SCOD, 병원성균 처리효율을 분석하여 최적 운전조건으로 $70^{\circ}C$, 10 min으로 결정하였다. 오존산화 처리후의 TSS, COD, SCOD, 병원성균 처리효율을 분석한 결과 최적 운전조건으로 $0.6L\;O_3/L\;solution{\cdot}min$, 60 min을 결정하였다. 최적 운전조건의 열처리방법과 오존산화방법의 처리효율 비교분석으로 열처리방법의 우수한 병원성균 비활성화 효과와 오존산화방법의 상대적으로 우수한 고형분 감량 및 유기물 용해효과를 검증하였다. 하지만 두 방법이 가지는 단점으로 인하여 폐활성오니 재활용을 위한 효과적 처리를 위해서는 다른 처리방법과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양파 껍질 성분이 Press Ham의 지방산패도와 육색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nion Peel Components on Lipid Oxidation and the Changes of Color in Press Ham)

  • 박구부;허선진;이제룡;이정일;김영환;하영래;주선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3-100
    • /
    • 2000
  • Effects of onion peel (OP) components (quercetin and rutin) in press ham on TBARS, pH, redness (a*) and flavor (panel test) were investigated during cold storage. TBARS in OP samples of high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control during cold storage. This result suggests that OP components have an antioxidant activity in press ham. Also, redness of OP samples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control after three weeks of cold storage. Cured ham redness could be improved through lower pH of OP sample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However, flavor score of OP samples was not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with control during cold storage. It could be possible that OP components plays role as an antioxidant without any negative effects on plavor of press ham. 양파 껍질을 급여한 돼지로부터 quercetin 및 rutin을 축적시킨 돈육을 원료육으로 하여 제조한 햄을 4주 동안 냉장 저장하면서 지방산패도(TBARS), pH, 육색(적색도) 및 향미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TBARS의 경우 저장 3주부터 양파부산물 급여량이 높은 처리구가 유의적으로(P〈0.05) 낮은 수치를 보여 양파 껍질 성분의 항상화 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저당 3주이후 대조구와 비교해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P〈0.05) 높은 적색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양파 껍질 성분이 육제품의 변색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처리구의 염지 육색이 증진된 것은 처리구의 pH가 대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설명되었다. 한편, 향미의 관능검사 결과 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는데(P〉0.05), 이는 양파 껍질 성분의 항상화제로서의 역할과 향미에 미치는 영향이 다소 미미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 PDF

돼지혈액 및 간을 이용한 사료용 효모배양과 효모배양물이 육계성장에 미치는 영향 (Utilization of Porcine Blood and Liver in Yeast Culture for Animal Diets and Effects of Yeast Culture on the Growth of Broiler Chicks)

  • 마정숙;심관섭;박강희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1-28
    • /
    • 2001
  • 도축 후 생산되는 돼지 혈액과 간을 이용한 효모의 최적 배양조건과 효모배양물이 육계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0% 돼지 혈액 상등액에 Glucose 5%를 첨가 한 BSG 배지와 20% 간 상등액에 Glucose 5%를 첨가한 LSG배지에서 24시간 동안 효로를 배양한 결과 YEPD(Yeast Exract(DIFCO) 1%, Bacto Pepton(DIFCO) 2%, Glucose 4%)배지에서 자란 효모의 수보다 각각 4%, 10% 증가하였다. 효모수를 증가하기 위해 BSG 배지에 첨가한 Ammonium sulfate 최적 농도는 각각 24시간 배양하였을 때 100mM(1.3%)이었으며, 48시간 배양하였을 때에는 50mM(0.65%)로 나타났다. BSG 배지에서 효모배양의 최적 pH는 약 6에서 7 정도였다. LSG 배지에서 Ammonium sulfate와 Taurine을 1%씩 첨가하였을 때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 비해 효모수가 각각 18%와 9% 증가하였을 때 체중이 무첨가구에 비해 4주령에서 10%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도축부산물인 혈액과 간을 가축사료를 위한 효모배양 배지 원료로서 재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Xanthophylls과 해조 부산물 첨가 급여가 육계의 사양성적, 육색 및 항산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Xanthophylls and See Weed By-Products on Growth Performance, Color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Broiler Chicks)

  • 김창혁;이성기;이규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8-134
    • /
    • 2004
  • 본 시험은 천연 및 합성착색제와 해조부산물의 첨가가 육계의 육성 성적, 착색도, 항산화도 및 색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사료는 단백질과 에너지를 동일 수준으로 배합하였고, 사료내 xanthophylls 함량은 총 30 ppm이 되도록 하였다. 시험처리구로는 대조구(무첨가구, T1), Oro Glo 첨가구(천연황색소, T2), Kem Glo 첨가구 (천연적색소, T3), canthaxanthin 첨가구(합성적색소, T4), asthaxanthine 첨가구(천연적색소, T5)와 해조부산물 첨가구(T6)로 나누어 5주간 사양시험을 수행하였다.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T6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나(p<0.05), 착색제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사율은 대조구에 비해 T2, T3 및 T4에서 낮았고, T5 및 T6구에서는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도체율과 복강내지방은 처리구간 착색제에 따른 차이는 볼 수 없었으나, 근위무게는 T6구에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다리 착색도는 대조구와 T6구에서 가장 낮았고(p<0.05), 착색효과에 있어서는 황색 착색제보다 적색 착색제에서, 그리고 합성착색제보다는 천연착색제에 의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닭고기의 POV, TBARS 및 pH는 저장 12일 이후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p<0.05), 처리 간 차이는 대조구보다 착색제 첨가구가 높게 나타났다(p<0.05). 육색에서 CIE L$^{*}$ (명도)값과 b$^{*}$ (황색도)값은 저장기간 및 착색제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a$^{*}$ (적색도)값은 저장 12일 후 모든 처리구가 감소(p<0.05)하였으나. T4와 T5구의 a$^{*}$ 값이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xanthophylls 종류에 따라 육색에 영향을 미치고, 저장 중 지방산화가 억제되었다.

잉어 사료에 있어 축산 가공 부산 혼합물의 어분 대체 가능성 (Possible Use of the Animal By-product Mixture as n Dietary Fish meal Relpacer in Growing Common Carp (Cyprinus carpio))

  • 배승철;장혜경;조은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80-385
    • /
    • 1998
  • 본 연구는 성장기 잉어 사료의 어분 대체사료원으로서 축산가공혼합부산물 (Animal by-product mixture. ABPM)의 이용 가능성과 어분단백질 대체 범위를 결정하고 잉어용 어분대체품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실험사료의 동물성 단백질원으로는 북양어분(White Fish Meal, WFM)과 수지박 (Leather Meal. LM). 육골분 (Meat&Bone Meal, MBM). 혈분 (Blood Meal, BM). 오징어내 장분 (Squid Liver Powder, SLP)의 혼합물인 축산가공부산혼합물 (Animal by-product mixture. ABPM)을 사용하였고. 식물성 단백질원으로는 대두박 (Soybean Meal, SM)과 콘글루텐밀 (Corn Gluten Meal, CGM)을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사료는 조단백질함량 $40\%$. 가용성 에너지 15.3 KJ/g (protein. carbohyd-rate and lipid; 16.7, 16.7 and 37.7 J/g)으로 동일하게 맞추었고 각 사료의 성분조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diet 1, $100\%$ WFM+$0\%$ ABPM ($0\%$ ABPM. control); dict 2, $75\%$ WFM+$25\%$ ABPM ($25\%$ ABPM); diet 3, $50\%$ WFM+$50\%$ ABPM ($50\%$ ABPM): diet 4, $25\%$ WFM+$75\%$ ABPM ($75\%$ ABPM), diet 5, $0\%$ WFM+$100\%$ ABPM ($100\%$ ABPM). 각 사료내 단백질원으로서, 동물성 단백질은 어분과 ABPM을 사용하여 총단백질의 $34.7\%$를, 식물성 단백질은 $65.3\%$를 공급하였다. 일주간의 먹이붙임후에 잉어는 각 실험군별 평균어체중 10g 되도록하여 3반복으로 무작위 배치하였고, 전반기 첫 번째와 두번째 4주간의 사육기간이 끝난 8주후에는 평균어체중이 28g 되도록 재배치하여 추가로 후반기 세번째 4주간 총 12주동안 사육하였다. 사료는 1일 3회 어체중의 $2.7\~4\%$로 12주간 공급하였다. 매 2주마다 체중을 측정하였고 전반기 8주, 12주후 체장, hemoglobin, hematocrit 및 일반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반기 첫 번째 4주후 증체율 및 사료전환효율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전반기 두번째 4주후 사료 3, 4 및 5는 사료 I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이와는 달리 후반기 세번째 4주후의 모든 사료구의 증체율 및 사료전환효율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P>0.05). 또한, 전어체 일반성분 분석 결과 전$\cdot$후반기동안 모든 사료구의 일반성분치 (수분,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P>0.05). 본 실험 결과, 사료내 동물성 단백질원으로 ABPM은 충분한 먹이붙임 후에 어분단백질의 $100\%$까지 대체 가능함을 보여 주었다.

  • PDF

무지개송어 사료에 있어 산화크롬의 첨가효과와 축산 가공 부산혼합물의 어분대체 가능성 (Effects of dietary Chromic Oxide and Possible Use of the Animal By-product Mixture as a Dietary Fish meal Replacer)

  • 장혜경;옥임호;배승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70-475
    • /
    • 1999
  • 본 연구는 무지개송어 사료의 어분 대체사료원으로서 육골분(MBM), 우모분(FM), 오징어내장분 (SLP), 가금부산물 (PBP) 및 혈분 (BM)을 특정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어분대체품(ABPM)을 제작하여 사료내 어분의 대체가능성을 조사하고 사료내 소화율 측정에 이용하는 지표물질인 $Cr_2O_3$ 첨가가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본 실험사료의 주단백질원으로는 동물성단백 질원으로 북양어분 (White fish meal, WFM)과 축산가공부 산혼합물 (ABPM)을 식물성으로 대두박과 콘글루텐밀을 사용하였다. 사료 1과 사료 2의 사료는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1993)자료에 근거하여 조단백질 함량은 $46.5\%$, 가용성 에너지는 16.7 KJ/g (protein, carbohydrate and lipid: 16.7, 16.7 and 37.7 KJ/g)으로 동일하게 맞추어 주었다. 실험사료는 사료 1 (WFM 100), 사료2(ABPM 40), 사료3(상업사료(-Cr)), 사료 4(상업사료+$0.5\%$ $Cr_2O_3$(+Cr))로 4가지를 사용하였다. 일주일간의 예비사육 후 평균무게 2.1g$\pm$0.2인 치어를 30마리씩 3반복으로 무작위 배치하여 4주간 사육한후, 성장속도가 비슷한 평균무게 6.8$\pm$0.3g의 어류를 동일한 사료군내에서 선택하여 20마리씩 2 반복 재배치하여 4주간 사육하였다. 8 주간 사료 공급후 사료 2는 다른 모든 사료구에 비해 증체율 (WG, $\%$)과 사료효율 (FE, $\%$)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어체의 혈액분석결과 헤마토크리트t는 전사료구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P>0.05). 전어체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및 조단백질 함량은 모든 사료구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P>0.05), 사료 1의 조지방 함량은 다른 사료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어체의 비만도는 사료 2가 다른 사료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혈액, 뼈 및 전어체의 인 함량 및 뼈의 회분 함량은 모든 사료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P>0.05). 상업사료내 산화크롬을 첨가하거나 혹은 첨가하지 않고 8주간 사육한 결과 산화크롬 $0.5\%$의 8주간 첨가는 성장에 영향을 주지 않았을 뿐 아니라 전어체의 일반성분, 혈장 및 뼈 조직 중의 인과 회분 함량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 무지개 송어 사료내 어분단백질 대체원으로 본축산가공부산혼합물의 이용은 $40\%$ 수준 이하에서 가능하다고 판단되고 산화크롬은 성장 및 전어체의 일반성분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므로 사료내 영양소의 소화율 측정에 $0.5\%$ 의 산화크롬 첨가는 별다른 문제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 PDF

흑미강으로부터 유용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추출효율 증진을 위한 아임계수의 효과 (Effect of Subcritical Water for the Enhanced Extraction Efficiency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from Black Rice Bran)

  • 최찬익;정은영;고민정;조상우;장판식;박영서;이경아;백현동;김기태;홍석인;정명수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4호
    • /
    • pp.335-34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흑미의 가공부산물인 흑미강으로부터 기능성 polyphenol 및 flavonoid가 새로운 추출방법인 아임계 추출법을 통해 추출되었고, 열수($80^{\circ}C$), 에탄올, 설탕용액을 이용한 기존 추출법과의 추출효율이 비교 분석되었다. 건조된 흑미강 시료로부터 polyphenols(35.06${\pm}$1.28 mg QE/g dried material) 및 flavonoids(7.08${\pm}$0.31 mg QE/g dried material)에 대한 최대 수율이 아임계 추출법($190^{\circ}C$, 1300 psi, 10 min)을 통해 획득되었으며, 이것은 기존 추출법 가운데 가장 높은 수율을 보인 에탄올 추출법을 통한 polyphenols(2.98${\pm}$0.74mg QE/g dried material) 및 flavonoids (0.58${\pm}$0.21mg QE/g dried material) 수율 대비 11.77배와 12.21배 이상 더 높은 것이었다. 추출방법에 따른 흑미강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그러나 흑미강 시료 1g 당 획득된 추출물의 건조중량 차이 비교를 통해서 얻어진 건조 흑미강 1g 당 함유된 항산화 성분의 상대수율(relative yield, %)은 최적조건($190^{\circ}C$, 1,300 psi, 10 min)의 아임계 추출법을 통해 획득된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것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상대수율에 비해 대략 11.53배 이상 더 높은 것이다. 이상의 결과들은 아임계 추출법이 흑미강으로부터 기능성 polyphenols 및 flavonoids를 추출하는데 매우 적합한 방법임을 설명하고 있으며, 유기용매 추출법을 포함한 기존의 전통적 추출법에 대한 매우 효과적인 대안임을 제시하고 있다.

동물성 부산물 사료 세 종류에 대한 열처리가 조단백질의 반추위내 분해특성 및 하부장기내 이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t Treatment of Three Animal by-products on Ruminal Degradation Characteristics and Intestinal Availability of Crude Protein)

  • 문여황;이상철;김병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105-112
    • /
    • 2002
  • 동물성 부산물 사료(우모분, 우지박, 내장분)단백질의 반추위내 분해특성과 하부장기내 이용성에 대한 열처리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반추위와 십이지장에 누관이 장착된 Holstein 건유우 3두를 공시하였다. 시험사료에 대한 열처리는 149$^{\circ}C$가 유지되는 oven에서 4시간동안 처리한 후, 1 mm체를 통과시켰다. 시험사료의 반추위내 분해특성은 발효시간별 분해율에서 비선형회귀식을 유도하여 구하였고, 사료단백질의 하부장기내 이용성은 mobile nylon bag기법으로 추정되었다. 농후사료와 orchard grass를 60:40의 비율로 급여하였으며, 물과 mineral block은 자유섭취토록 하였다. 조단백질의 반추위내 유효분해도(k=0.05) 및 하부장기내 소실율에 있어서 우모분은 각각 30.2% 및 56.2%, 우지박은 75.0% 및 18.6% 그리고 내장분은 56.4% 및 37.9%였다. 시험사료에 대한 열처리효과에 있어서 조단백질의 반추위내 유효분해도는 우모분과 내장분은 증가하였으나 우지박은 감소되었고(P$<$0.05), 하부장기내 조단백질 소실율에서는 우지박은 증가된 반면, 우모분과 내장분은 감소되어(P$<$0.05) 상반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추위 미분해 사료단백질의 하부장기내 이용율은 우모분, 우지박 및 내장분에 대해서 각각 80.4%, 83.8% 및 86.9%였으며, 열처리를 함으로써 우모분과 우지박은 각각 94.0% 및 91.3%로 향상되었으나, 내장분은 76.5%로 낮아졌다(P$<$0.05).

Condensed Molasses Solubles(CMS) / 당밀 혼합물이 반추위 미생물 단백질 합성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densed Molasses Solubles(CMS) / Molasses Mixtures on Ruminal Microbial Protein Synthesis)

  • 여준모;정석근;김현섭;안병석;김창현;신형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61-68
    • /
    • 2004
  • 본 연구는 monosodium glutamate의 생산 후 발생되는 부산물인 condensed molasses solubles(CMS)가 반추가축의 질소 공급원으로서 반추위 미생물 단백질 합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반추위 canulae가 부착된 4마리의 비착유소를 4 ${\times}$ 4 라틴 방각법에 적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4개의 처리구는 다음과 같다. (1) 기초사료(앞착된 보리 3kg/일과 보리짚의 자유채식), (2) 기초사료에 당밀 200g/일 그리고 물 300g/일 첨가, (3) 기초사료에 당밀 200g/일, CMS 100g/일 그리고 물 200g/일 첨가 (4) 기초 사료에 당밀 200g/일, CMS 200g/일, 그리고 물 100g/일 첨가. CMS의 첨가수준에 따른 반추위내 발효양상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CMS를 200g/일을 첨가한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반추위내 미생물 단백질 합성량의 표시로서 이용된 allantoin/creatinine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나타났다(P < 0.10).

도축되는 한우 혈액에서 회수한 혈청의 생물학적 안전성 분석 (Assessing Biological Safety of the Hanwoo Serum Obtained During Slaughtering Process)

  • 김민수;유지은;민경호;김지회;최인호;남상섭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1호
    • /
    • pp.59-6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성체 한우의 도축과정 중에 채혈된 혈액으로부터 분리 정제한 혈청의 생물학적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세균, 마이코플라즈마 및 바이러스의 검출과 동정을 실시하였다. 검사를 실시한 대부분의 혈청에서 전염성 병원체가 검출되지 않았고 두 개의 혈청에서 토양 유래의 것으로 추정되는 Bacillus thuringiensis가 검출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에서 도축되는 한우는 생물학적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본적인 안전장치를 통해 도축된다는 사실을 보여주며 한우의 도축과정에서 부산물로 얻을 수 있는 혈액을 안전한 생물학적 제제로 개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