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추진체계

Search Result 2,44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인공위성의 추진체계 현황 및 전망

  • 이상희;이성태;이용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5.11a
    • /
    • pp.59-66
    • /
    • 1995
  • 인공위성의 궤도진입, 궤도수정 및 자세제어를 담당하는 추진체계는 위성의 용도와 궤도위치, 자세/궤도제어 방식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현재까지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인공위성 추진체계는 AKM(Apogee Kick Motor)과 단일 추진제 추력기로 구성된 "통상 추진체계"이나 최근에는 AKE(Apogee Kick Engine)과 이원 추진제추력기로 구성된 "통합 추진체계" 그리고 이와 유사한 "완전통합 추진체계", "이중 추진체계" 등이 기술적 선택방안으로 제안되어 일부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추진체계의 효과적 실용화를 위해서 단일 추진제(하이드라진) 추력기의 성능향상 및 이원 추진제 엔진과 이원 추진제 추력기의 기술개선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원 추진제 엔진과 이원 추진제 추력기의 기술개선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 PDF

잠수함 및 어뢰의 추진체계 현황 2

  • 공영경
    • 전기의세계
    • /
    • v.43 no.9
    • /
    • pp.24-30
    • /
    • 1994
  • 전기학회 제43권 7월호에 이어서 최근의 어뢰 추진 경향, 추진체계 종류 및 발전추세, 전기추진 체계 그리고 열 추진 체계에 대하여 논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Desirable Model of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Policy Promotion System (국가공간정보정책 추진체계의 바람직한 모형구축에 대한 연구)

  • Kim, Tae Ji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0 no.6
    • /
    • pp.91-98
    • /
    • 2012
  • In order to efficiently promote a nation's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NSDI) vision, it is important that a rational NSDI promo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r such a NSDI promotion system, cooperation among the related organizations and the consistency of policies are crucial. In these regard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 desirable model for the NSDI promotion system. Also, this study attempts to demonstrate problems and provide solutions in Korea NSDI promotion system.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literature reviews and content analysis were used. Following are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First, a desirable NSDI promotion system should be consisted of the upper system (at the planning level) and the lower system (at the executive or implementing level). Second, the upper and lower system in NSDI promotion system should both be vertically connected and be horizontally connected. Third, the upper system should consist of the NSDI promotion committee, civil advisory committee, and sub-committee. Fourth, the lower system for the execution purposes of NSDI projects should consist of the NSDI top manager, in each central/local government, and professional support institute.

The State of the Art on Propulsion System for Submarine (잠수함 추진체계 기술현황)

  • 공영경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8 no.2
    • /
    • pp.1-17
    • /
    • 1994
  • 잠수함추진방식은 크게 원자력 추진과 재래식 추진으로 나눌수 있다. 최근에는 재래식 추진방식과 하이브리드 개념으로 운용될 수 있는 AIP(Air Independent Propulsion)방식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AIP추진으로는 폐회로 디젤기관추진(Closed Cycle Diesel Engine Propulsion), 연료전지추진(Fuel Cell Propulsion), 스터링기관추진(Stirling Engine Propulsion) 및 폐회로터빈추진(Closed Cycle Turbin Propulsion) 등이 있다. 이러한 잠수함 추진체계에 대해 앞으로 크게 세부분으로 나누어 그 현황과 발전추세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초기의 순수전기추진방식으로 불리는 재래식 추진체계, 재래식 추진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외기와 무관한 추진장치인 폐회로 추진체계,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에너지의 문제로 귀착되어 거의 무한대의 에너지원을 가지고 있는 원자력 추진체계로 구분하여 그 현황과 발전내용을 살펴 봄으로써 잠수함추진체계의 국내연구 개발방향정립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합니다. 또한 차세대 추진장치로 불리는 전자유체 추진방식에 대해서는 한국박용기관 학회지 1993년 4월호 "박용전자유체(MHD) 추진장치"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조하시기 바랍니다.

  • PDF

The State of the Art on Propulsion System for Torpedo (어뢰 추진체계 기술현황)

  • 공영경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8 no.2
    • /
    • pp.18-24
    • /
    • 1994
  • 거의 모든 무기체계에서의 추진이 차지하는 비중은 다른 어떤 분야보다도 기본적이고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특히 어뢰의 경우는 추진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기추진식의 경우 공간적, 중량적인 측면에서 거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볼때 그 중요성은 더욱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여기에서는 어뢰 추진체계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추진체계를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연구, 운용되고 있는 추진체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거래비용 개념을 사용한 다부처연구개발사업의 추진체계 효율성 평가방법 연구

  • Bang, Soohyun;Jin, Young-Hyun;Park, Chang-dae;Kim, Hyeonoh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209-228
    • /
    • 2017
  • 사회의 글로벌화와 다원화로 인한 행정수요가 다양화 되고 정책문제가 복잡해지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부처 간의 협력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부처연구개발사업(이하 다부처사업)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실무적 측면의 다부처사업 추진체계 설계 및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개발사업의 목적 및 내용에 따른 추진체계 평가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추진체계의 효율성 평가를 위해 거래비용 개념을 도입한 평가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추진체계를 도입함으로써 절감할 수 있는 거래비용과 발생하는 조직비용의 값을 비교하여 추진체계의 효율성을 분석할 수 있는 평가방법을 설계하였고, Williamson과 Coase의 이론을 도입하여 각 비용을 측정할 수 있는 대리지표를 도출하고 설문을 설계하였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여 도출된 대리지표의 기획 평가 관점에 따른 가중치를 설정하였다. 제안한 평가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보완사항을 도출하고자 현재 추진되고 있는 4개의 다부처사업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다부처사업의 추진체계의 효율성을 사전적 및 사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National ITS Standardization System (국가 ITS표준화추진체계 운영효율화방안 (한국.미국.일본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이용택;이상건;이승환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2
    • /
    • pp.171-181
    • /
    • 2002
  • 본 연구는 한국, 미국, 일본의 ITS 표준추진체계 비교분석(Comparative Analysis)을 통해, 국가 ITS표준 추진체계의 운영효율화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ITS표준추진체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국외사례분석을 통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대응방안을 제언하였다. 미국, 일본사례 비교분석결과, 국가ITS표준화추진체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관.민협력적, 범부처적 국가ITS표준추진체계 모델을 정립하고, 국제표준과 연계하여 국가표준, 부처표준, 단체표준을 추진하되, 해당표준이 표준의 기능과 역할에 부합하도록 개발.제정되어야한다. 사업자와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Need)를 신속히 표준화할 수 있도록 단체표준화육성을 통해 국가 표준화하고, 특히 교통안전과 공공성에 관련된 ITS기술은 정부부터가 강력히 규제할 수 있는 기술기준(Technical Regulation)을 도입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표준제정 뿐만 아니라 데이터등록소(Data Registry) 및 웹기반의 표준화활동 등 표준화구축사업을 통해 표준화의 활동을 활성화하도록 제언하였다.

Analyzing the Implement System Shift of Land Policies (토지정책 추진체계 변화 연구)

  • Kim, Mi-Suk;Yun, Jeong-Ran;Park, Sang-Hak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2 no.4
    • /
    • pp.439-452
    • /
    • 2011
  •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s of the land policies implement system based on analysis of existing those of Korea with the paradigm shift of land policies. We classify the land policies into land ownership, land use, land development and land management ones, and then analyze their implement system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follows : firstly, the land policies implement systems have been set to large scale and rapid development. Secondly, although the systems have been specialized by their areas, the comprehensive manage systems for the harmony between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are lacking. Thirdly, the parts of the central government powers related to land use has been hand covered to local governments. And the participations of residences private companies have enlarged in the land development. Fourthly, the purposes of the information management on land use have been changed from tax collection into planned land use, but the information management has not met the need of planned land use. This study shows that firstly, the implement system focusing on large development projects might be no longer effective because of high possibility of the property prices stabilization, so moderately small ones must be found. Secondly, the system cope with the climate change and to realize the efficient utility of land is needed. Thirdly, it is necessary to take the actual measures to participate a variety of subjects. Fourthly, the system modification of the land information manage system as land policies infra is also needed to establish integral land policies.

Development of Naval Ship Propulsion System Simulator for CODLOG based ECS Verification (CODLOG 기반 ECS 검증용 함정 추진 시뮬레이터 개발)

  • Jang, Jae-hee;Kim, Dong-jin;Kim, Min-gon;Oh, Jin-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9
    • /
    • pp.1796-1807
    • /
    • 2017
  • The domestic warship propulsion system is at the stage of a hybrid propulsion system changing from a mechanical propulsion system and the propulsion system becomes complicated so it is expected that the function of ECS(Engineering Control System) that controls and monitors the warship propulsion system becomes important. Recently the development of ECS has progressed domestically, so that verification of reliability and stability is required in the process of ECS development. The simulator to be proposed is composed of HILS, it can be divided into a shaft-line dynamics model of the simulating power transmission, a controller model of the simulating the control of the equipment, and a communication model communicating with the ECS. In this paper, we developed simulator for ECS verification for CODLOG hybrid propulsion system, set scenario, and conducted simulation.

Comparison and Analysis of Fuel Consumption by CODAD, CODLOD and CODLAD System for Combat Support Ship (군수지원함의 CODAD, CODLOD 및 CODLAD 추진체계에 따른 연료 소비량 비교 및 분석)

  • Kim, Min-wook;Oh, Jin-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5
    • /
    • pp.1049-1059
    • /
    • 2017
  • After patrol corvett Cheonan was hit and sank on duty, the Republic of Korea Navy has tried to install hybrid propulsion system on naval ship to reduce vibration and noise problems during navigation. The hybrid propulsion system has advantage that propulsion motor can be propelled in low speed operation of the vessel. This can be a better quietness than a mechanical propulsion system which consists of a conven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more economical operation is possible by using a propulsion motor in a low speed operation where a fuel efficiency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poor. In this paper, we set up virtual ship on the basis of a combat support ship in the Republic of Korea Navy, economically compared and analyzed fuel consumption between conventional and hybrid propulsion system.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fuel efficiency of hybrid propulsion system which use electric motor had been relatively impro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