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추간판 탈출증

검색결과 267건 처리시간 0.045초

한방 병원에 경추 통증으로 내원한 환자들의 흉추부 만곡 및 경추부 추간판탈출증의 상관 관계에 관한 보고 (Report for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ment of Thoracic Kyphosis and the Herniation of Cervical Intervertebral Disc of Neck Pain Patients who Visit Korean Medicine Hospital)

  • 최영준;유수빈;문병헌;정재현;윤영웅;김길환;남항우;이차로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3-74
    • /
    • 2015
  • Objectives : This study is planned to classify correlation between thoracic kyphosis angle and prevalence of cervical intervertebral disc. Methods : We Measured the thoracic kyphosis angel of the 110 men and 179 women patients with neck pain in 00 Korean Medicine Hospital. We use Cobb's angle method and Thoracic cage dimension method for measuring the thoracic kyphosis. And We use Magentic Resonance Imaging(MRI) for classifying the patient who has cervical intervertebral disc or not. Results : 1.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 on the thoracic cage dimension with gender(P<0.001), 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on Cobb's angle with gender(P=0.882). 2. Age and thoracic cage dimension(r=0.383) is statistically more correlative than age and cobb's angle(r=-0.59). Conclusions : 1. Thoracic cage dimension and gender, Thoracic cage dimension and age were statistically concerned on patient who has neck pain, while Cobb's angle had no statistical correlation with age and gender. 2.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on the Cobb's angle and Thoracic cage Dimension between patient who has one or more cervical disc herniation(Protrusion disc, Extrusion disc) segment and patient who didn't have cervical disc herniation(Protrusion disc, Extrusion disc) segment.

요추 추간판탈출증 입원환자 72례에 대한 한의학적 복합치료 효과의 관찰 연구 (The Effect of Korean Medical Combination Treatment on 72 Cases of Herniated Intervertebral Lumbar Disc Patients: An Observational Study)

  • 김상민;이순호;신유빈;최지훈;구자성;유형진;이동현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2권2호
    • /
    • pp.23-33
    • /
    • 2015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general distribution and clinical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al treatment on lumbar disc herniation. Methods : This is an observational study. 72 patients admitted to Daejeon Jaseng Hospital of Korean Medicine with a diagnosis of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HIVD) by lumbar-CT of lumbar-MRI were observed from July, 2014 to April, 2015. They were analyzed according to sex, age, the period of disease, causal factors, symptoms on admission, admission day, disc herniation type and treatment efficacy. All patients received a combination of treatments during hospitalization, including acupuncture, Chuna, herbal medicines and physical therapy. A zero to ten numerating rating scale(NRS) assessing pain, Oswestry disability index(ODI) and EuroQol-5 dimension(EQ-5D) was used before and after treatments. Results : Average admission duration was $28.00{\pm}12.85$ days in lumbar disc patients. For lumbar patients, lower back pain NRS decreased from $5.89{\pm}2.00$ to $3.42{\pm}1.87$(p<0.001) and radiating pain from $5.96{\pm}2.12$ to $3.38{\pm}1.83$(p<0.001). ODI decreased from $46.69{\pm}19.25$ to $35.69{\pm}16.67$(p<0.001), and EQ-5D index increased from $0.63{\pm}0.26$ to $0.71{\pm}0.20$(p<0.05) after treatment in lumbar disc patients. Conclusions : Korean medical combination treatment might be effective in reducing pain and improving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lumbar disc herniation. This study further confirmed the efficacy of Korean medical treatment on HIVD.

한방병원에 입원한 수족냉증을 동반한 추간판탈출증 환자에 대한 한방 치료 1례 (A Case of Cold Hypersensitivity of Hands and Feet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Including Gyejifabuja-tang-gmibang and Acupuncture in a Patient with Lumbar Spinal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 A Case Report)

  • 윤상훈;김상윤;왕연민;백길근;이유진;이형철;강만호;박성환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1071-1082
    • /
    • 202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icacy of using Korean medicine treatment with cold hypersensitivity of the hands and feet with lumbar spinal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Case presentation: We used Korean medicine treatment (Gyejigabuja-tang, acupuncture) to treat a hospitalized patient with cold hypersensitivity of the hands and feet with lumbar spinal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To evaluate the treatment, we used the Numerical Rating Scale (NRS). The degree of cold hypersensitivity of the hands and feet was also evaluated using evaluation paper. The generic health status was measured using the European Quality of Life-5 Dimensions (EQ-5D) scale. The 31-year-old female underwent 13 days of inpatient treatment. Her pattern identification was that both hands and feet are cold (BiYangHeo) types. The treatments were herbal medicine and acupuncture. She took Gyejigabuja-tang for 13 days. She also received acupuncture for 20 minutes twice a day at LI11 (曲池), L14 (合谷), TE5 (外關) on her hands, LR3 (太衝), SP6 (三陰交), SP9 (陰陵泉) ST36 (足三里), GB41 (足臨泣) on Feet, GV4 (命門), GV3 (腰陽關), BL23 (腎兪), BL24 (氣海兪), BL25 (大腸兪), and BL26 (關元兪) on the low back. After 2 weeks of treatment, the NRS scale of her cold hypersensitivity of hands and feet symptoms dropped from NRS 7 to NRS 3, and her low back pain dropped from NRS 6 to NRS 3. Her cold hypersensitivity of hands and feet evaluation paper score decreased from 64 to 32, and her EQ-5D increased from 0.487 to 0.681. After the end of treatment, continued symptom improvements and no significant side effects were confirmed. Resul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Korean medical treatment (Gyejigabuja-tang, acupuncture) may be effective for treating cold hypersensitivity of hands and feet with lumbar spinal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The NRS, evaluation paper, and EQ-5D scores improved after treatment, with no side effects.

고관절 주위에 발생한 유골 골종 (Osteoid Osteoma Around the Hip Joint)

  • 김태승;김종헌;이봉근;김순명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8-174
    • /
    • 2005
  • 목적: 저자들은 고관절 주위에 발생한 8예의 유골 골종의 진단과정 및 임상양상에 있어 장관골의 간부에 발생한 유골 골종과의 차이점이 있어 이를 분석하고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5년부터 2004년까지 병리학적으로 유골 유종이라고 진단된 20예중 고관절 주위에 발생한 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6예, 여자 2예로 진단당시 평균연령은 17세(8~29세)이었다. 전자간에 발생한 경우는 4예, 전자하 2예, 대퇴경부 1예, 비구 1예에 발생하였다. 진단을 위해 단층촬영 및 골주사검사, 자기공명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모든 예에서 적혈구침강속도 및 C -반응단백검사를 시행하였다. 모든 예에서 소파술을 이용하여 치료하였고, 3예에서 골이식을 시행하였다. 결과: 환자들이 증상을 호소한 부위로 고관절부위 6예, 슬관절부위 3예, 요추부위 3예이었으며, 2예에서는 슬관절 질환에 대한 검사 및 수술을 시행한 바 있었다. 2예에서 파행을 주증상으로 호소하였고, aspirin 등의 소염제에 동통이 완화된 예는 3예이었다. 병리학적으로 진단되기까지 추정진단으로 감염과 감별하지 못한 예는 2예, 반월상연골판파열 1예, 슬내장증 1예, Legg-Calve-Perthes disease 1예, 요추부 추간판 탈출의증 1예였다. 컴퓨터단층촬영을 시행한 6예중 5예에서 유골 골종으로 진단하였으며, 자기공명검사에서 고관절 활액막염으로 1예, 감염성 질환으로 1예를 진단하였다. 적혈구 침강 속도 및 C-반응 단백 검사에 이상소견은 없었다. 결론: 고관절 주위에 발생한 유골 골종은 주증상으로 파행을 호소할 수 있으며, 고관절 부위 통증뿐만 아니라 슬관절 부위 통증을 나타내며, 이중 슬관절 부위 통증이 고관절부위 통증보다 더 심한 예가 있어 진단에 주의해야 될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만성 염증질환과 감별해야 되지만, 적혈구 침강 속도 및 C-반응 단백 검사가 정상으로 나타나므로 감별진단에 도움이 될수 있으며, 그리고 다양한 영상진단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 중 컴퓨터단층촬영이 더 추천된다.

  • PDF

전방경추융합술 후 발생한 역설상기도폐쇄 및 중추성 수면 무호흡 (Paradoxical Upper Airway Obstruction and Central Sleep Apnea Developed After Anterior Cervical Spine Fusion)

  • 이상학;최영미;박예리;강지호;김영균;김관형;송정섭;박성학;문화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3호
    • /
    • pp.295-298
    • /
    • 2005
  • 전방경추융합술을 시행한 후 역설상기도폐쇄와 중추성 무호흡이 발생하였던 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48세 남자로 본원으로 전원되기 9개월 전에 5번과 6번 경추사이의 추간판탈출증으로 수술을 시행받았으며, 내원 2개월 전에는 가성관절증이 발생하여 자가골이식과 함께 전방접근법으로 5번과 6번 경추의 경추융합술을 시행받았다. 이 수술을 시행 후 환자는 코골이와 과도한 주간 졸음증, 불면증 등의 증세가 생겼으며 호흡시에 상기도부위에서 이상한 소리가 발생하였다. 코인두경 및 자기공명영상으로 호기시 코인두부위의 역설적 협착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고, 철야 수면다원검사에서 무호흡지수는 8.7/시간 (중추성 무호흡, 7.0/시간; 폐쇄성 무호흡, 1.7/시간)이었다. 경비적 지속성 기도양압치료를 시작하였으나 환자가 압력을 못견뎌하여 레이저목젖입천장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2개월 경과 후 무호흡과 더불어 임상증세는 현격히 호전되었다. 저자들은 이러한 역설상기도폐쇄가 비록 그 기전이 명확하지는 않지만 전방경추융합술과 관련되어 있다고 추정한다. 또한 이러한 상기도 폐쇄가 중추성 수면 무호흡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례라고 생각한다.

전신마취동안에 복와위시 자유로운 복근 움직임이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Cardiovascular Effects of Free Movement of Abdominal Muscle in Prone Positioning during General Anesthesia)

  • 김지윤;이동원;서일숙;김세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206-215
    • /
    • 2007
  • 복와위는 신체 후부 노출이 필요한 척추 수술을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수술부위로의 접근이 용이하고 수술 도중에 척추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주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전신마취하에 있는 환자를 앙와위에서 복와위로의 전환은 여러 가지 부작용을 동반하며 특히 순환기계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복와위 전용 수술대들이 연구 개발되어 임상에 사용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앙와위에서 복와위로의 체위 변환 시에 Jackson spinal surgery table의 이용이 체위에 의한 압박 때문에 생기는 환자의 순환기계 변화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줄여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추간판탈출증, 퇴행성척추전방전위증, 척추협착증의 진단 하에 본원 정형외과와 신경외과에서 수술을 받기로 예정된 환자 중 미국 마취과학회 신체등급 분류 1급 또는 2급에 해당하는 성인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 환자의 성별은 남자가 15명, 여자가 15명이었고, 심혈관계나 호흡기계 질환이 있는 환자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모든 환자는 마취전투약으로 수술 시작 1시간 전에 glycopyrrolate 0.2 mg, fentanyl $1{\mu}g/kg$을 근주하였으며 수술실에 도착한 후 비침습적 자동 혈압 측정기, 심전도 및 맥박산소 계측기를 거치하였다. Thiopental sodium과 vecuronium으로 마취를 유도하였으며 환자의 의식소실과 충분한 근이완을 확인한 후 기관내 삽관을 시행하였다. Enflurane 1.5-2.0 vol%와 $O_2$, $N_2O$ 각각 2 L/min을 사용하여 마취유지를 하였으며 급격한 활력 징후의 변동으로 마취유지가 용의치 않은 경우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환자의 활력 징후 안정 후 요골 동맥에 카테터를 거치하여 지속적으로 동맥압을 측정하였고, 우측 쇄골하 정맥에 중심정맥 카테터를 거치하여 중심정맥압을 측정하였다. 부분재호흡 심박출량 감시기 ($NICO^{(R)}$, Novametrix Medical Systems INC., USA)를 통해 비침습적으로 환자의 심박출량을 측정하였다. 앙와위에서 복와위로 체위변경 직전에 심박출 계수, 심박출량, 평균동맥압, 심박수, 중심정맥압을 측정하여 앙와위의 값으로 삼았으며, 척추 수술 전용 수술대인 Jackson spinal surgery table을 사용하여 복와위를 취하였다. 복와위로 체위 변경 뒤 심박출 계수, 심박출량, 평균동맥압, 심박수, 중심정맥압을 측정하여 복와위의 값으로 기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앙와위와 복와위의 혈역학적 지수의 비교시 심박수와 평균동맥압은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중심정맥압은 유의한 정도는 아니지만 감소 소견을 보여 수술시 출혈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심박출량과 심박출 계수도 유의한 감소 소견을 보였으나 convex saddle table을 이용한 경우와 kneechest position을 취한 경우보다 적은 변화를 보여 Jackson spinal surgery table의 사용은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Jackson spinal surgery table을 사용하여 복부와 흉부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유의한 심박출량 감소가 있을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특히 심폐여력이 부족한 환자들에 있어서는 심박출량의 감소는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복와위에 의한 생리적 변화에 관한 충분한 이해와 함께 마취 시 보다 적극적인 감시와 관리가 요구된다고 여겨진다.

  • PDF

일부지역 근로자의 요통으로 인한 의료보험 이용 조사 (A Study on the Medical Insurance Utilization of Workers Suffering from Low Back Pain in an Area)

  • 이철갑;안현옥;류소연;박종;김기순;김양옥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4호
    • /
    • pp.764-778
    • /
    • 1997
  • 근로자의 요통으로 인한 의료보험 이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1993년부터 1995년까지 광주의 한 직장 의료보험조합에 소속된 남자 8,783명, 여자 1,400명계 10,153명의 의료보험 급여자료로부터 한국표준질병사인 분류코드상 요통과 관련된 변형성 배병증, 기타 배병증, 요추염좌에 해당되는 질환군의 치료시 이용한 의료보험 급여자료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결합시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993년부터 1995년까지 3개년간 연구대상자의 요통으로 인한 수진율은 남자 17.1%, 여자가 19.4%였으며, 요통의 원인중 남녀 모두 '기타 배병증'이 가장 많은 비율 차지하였다. 2. 남녀 모두에서 연령 및 입사시 연령이 높을수록 요통으로 인한 수진율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p<0.001). 남녀 모두 근무기간이 길수록 수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남자에서는 시멘트 콘크리트제품 제조업 종사자가 유의하게 수진율이 높았으며(p<0.01), 여자에서는 생산직이 사무직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3. 1993년부터 1995년까지 3개년간 요통의 수진율과 요통으로 인한 새로운 수진자의 발생율은 비슷하였지만, 세부적으로 남녀 모두에서 기타 배병증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4. 수진량에 있어서는 연령별, 근무기간별, 산업별, 소득수준에 따라 수진자 1인당 평균외래수진건수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근무기간별로 수진자 1인당 평균외래방문회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상을 종합해보면 매년 요통으로 인한 의료보험 이용자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만성적인 장애를 유발하는 추간판탈출증을 포함하고 있는 '기타 배병증'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볼 때 산업장에서 효과적인 요통예방 및 관리 사업이 요구된다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