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최적 맞춤

Search Result 12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Multimodal Context-aware Service (멀티모달 상황인지 서비스)

  • Jeong, Yeong-Joon;Park, Seong-Soo;Ahn, Se-Yeol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400-406
    • /
    • 2006
  • 다양한 서비스와의 서비스간 융합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유비쿼터스 서비스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게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입출력 수단을 통해 상황에 따라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멀티모달 상황인지 기술은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상황정보를 인지하여 적절한 입출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는 UI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별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본 고에서는 멀티모달 및 상황인지 기술에 대한 개요와 KT에서 개발하고 있는 멀티모달 상황인지 플랫폼 및 이를 기반으로 한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Design of a Patient-specific Medical Service Support System on Mobile SmartPhone Environment (Mobile SmartPhone 환경에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지원 시스템 설계)

  • Jung, Hoi-Jong;Park, Seok-Chun;Kim, Eung-Hwan;Han, Wo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410-413
    • /
    • 2012
  • 최근 네트워크를 이용한 온라인 원격 진료 서비스가 논의 되고 있는 시점에서 원격 진료 서비스에서도 특정 환자에게 맞는 의료 서비스 매칭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핫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Mobile SmartPhone 환경에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지원 시스템을 설계하고 온라인상에서 환자에게 맞는 의료 기관을 매칭하여 특정 환자에게 맞는 최적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계 하고자 한다.

A Study on Optimized Emergency Alert Broadcasting Message based Terrestrial UHDTV for Disaster Vulnerable Populations (지상파 UHDTV 기반 취약계층 맞춤형 재난경보 방송메시지 확장 방안 연구)

  • Kim, Nayeon;Bae, By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127-128
    • /
    • 2019
  • 우리나라는 현재 지상파 UHDTV 재난경보 방송서비스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한편, 노인, 장애인 등 재난취약계층은 재난 발생 시 최초 상황의 인지와 대응에 어려움을 겪어 일반 대중과의 재난 대응 격차는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가 진행중인 지상파 UHDTV 재난경보 방송서비스를 기반으로 재난약자 그룹의 재난 상황 판단, 피난에 도움이 되는 맞춤형 미디어 전달이 가능한 재난메시지 확장 방안을 제안하며, 재난약자의 최적대피 및 대피형평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User Profile Management Method for User Preference based Home Network Service (사용자 선호도 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프로파일 관리 기법)

  • Lee, Eun-Seo;Jang, Jong-Hyun;Han, D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305-30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홈네트워크 서비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맞춤형 디바이스 제어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디바이스 제어와 관련된 사용자 선호도 스키마를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프로파일 관리 기법을 제시하였다. 나이, 성별, 직업 등과 같은 사용자 개인정보에 대한 스키마와 향기, 온도, 조명, 바람 등에 대한 선호도 스키마를 포함하는 가전 디바이스 제어와 관련된 다양한 요소들에 대한 스키마를 XML로 정의하였으며, 사용자의 인터랙션이나 프로파일 정보 입력을 통해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획득하여, 단방향의 수동적인 단일 디바이스 제어가 아닌 여러 개의 디바이스를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홈서비스 환경을 제시하였다.

A Mobile System Development which has Function of Vietnam Hotel Recommendation based on Deep Learning (딥러닝 기반 베트남 호텔 맞춤 추천 모바일 시스템 개발)

  • Oh, Jong-Hyun;Seo, Young-Soo;Kang, Hyun-Kyu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408-413
    • /
    • 2020
  • 본 논문은 아고다 사이트의 호텔 정보를 크롤링하여 사용자의 선호 호텔을 구글에서 제공하는 Tensorflow로 인공신경망 딥러닝 학습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호텔을 맞춤 추천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하여 서술한다. 본 애플리케이션은 해외(베트남) 호텔을 취향에 맞게 추천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애플리케이션으로 기존의 필터링 방식으로 추천하는 방식의 애플리케이션들과 달리 사용자의 취향을 딥러닝 학습을 통해 파악하고 최적의 호텔 정보를 추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 선호 호텔 예측 모델은 약 84%의 정확도를 보이며 추천 별점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각 호텔에 대해 얼마만큼 선호도를 갖는지 알 수 있다.

  • PDF

A mobile system development which has function of movie success prediction and recommendation based on deep learning (딥러닝 기반 영화 흥행 예측 및 영화 추천 모바일 시스템 개발)

  • Kim, Kyeong-Seok;Jang, Jae-Jun;Kang, Hyun-Kyu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443-448
    • /
    • 2019
  • 본 논문은 공공 데이터 Open API와 TMDB(The Movie Database) API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 영화를 Google에서 제공해주는 Tensoflow로 인공신경망 딥러닝 학습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영화를 맞춤 추천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하여 서술한다. 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쉽게 영화를 추천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애플리케이션으로 기존의 필터링 방식으로 추천하는 방식의 애플리케이션들과 달리 사용자의 취향을 딥러닝 학습을 통해 최적의 영화 Contents를 추천함과 아울러 기존 영화의 특성을 학습하여 흥행할 신규 영화를 예측하는 기능 또한 제공한다. 본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 신규 영화 흥행 예측 모델은 약 85%의 정확도를 보이며 사용자 맞춤추천의 경우 기존 장르 추천이나 협업 필터링 추천보다 딥러닝을 통한 장르, 감독, 배우 등의 보다 세밀한 학습 추천이 가능하다.

  • PDF

Recommender system for web search based on NLP to improve user search environment (검색환경 개선을 위한 자연어 처리 기반 맞춤형 추천 검색시스템)

  • Seung, Hyeon-Su;Park, Ji-Yun;Woo, Da-Hyun;Oh, Se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1168-1171
    • /
    • 2021
  • 일반적인 검색엔진을 가진 포털 환경에서 정보검색 시 사용자가 원치 않는 수많은 검색결과가 동반되기도 하고 자신의 취향에 맞는 글을 검색하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원하는 정보를 놓치는 상황도 일어난다. 이러한 검색환경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들의 검색환경 개선을 위한 맞춤형 검색결과 정렬, 검색어 추천, 게시글 추천의 추천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작한다. 이러한 추천 시스템은 워드 임베딩 모델과 추천 시스템 모델을 포함한다. 기존에 존재하던 워드 임베딩 모델의 성능을 실험을 통해 비교 및 분석하고, 크롤링을 통해 모은 데이터로 성능을 24.98%P 개선하였다. 추천 시스템 모델은 RMSE 비교를 통해 최적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해당 기술을 통해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검색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이 시스템의 목표이다.

A Deep Reinforcement Learning Framework for Optimal Path Planning of Industrial Robotic Arm (산업용 로봇 팔 최적 경로 계획을 위한 심층강화학습 프레임워크)

  • Kwon, Junhyung;Cho, Deun-Sol;Kim, W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75-76
    • /
    • 2022
  • 현재 산업용 로봇 팔의 경로 계획을 생성할 때, 로봇 팔 경로 계획은 로봇 엔지니어가 수동으로 로봇을 제어하며 최적 경로 계획을 탐색한다. 미래에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공정을 유연하게 변경하는 대량 맞춤 시대에는 기존의 경로 계획 수립 방식은 부적합하다. 심층강화학습 프레임워크는 가상 환경에서 로봇 팔 경로 계획 수립을 학습해 새로운 공정으로 변경될 때, 최적 경로 계획을 자동으로 수립해 로봇 팔에 전달하여 빠르고 유연한 공정 변경을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심층강화학습 에이전트를 위한 학습 환경 구축과 인공지능 모델과 학습 환경의 연동을 중심으로, 로봇 팔 경로 계획 수립을 위한 심층강화학습 프레임워크 구조를 설계한다.

A Study on the Advancement of the Competitive Power of Korean Electronics and Automobile Industries from a Product-Architectural Point of View (제품구조 관점으로부터의 한국 전자 및 자동차 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Rho, Hyung-Ji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2
    • /
    • pp.179-18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advancement of the competitive power of Korean electronics and automobile industries from a product-architectural point of view. There are two types for the characteristics of parts. They are the modular type and the integral type. The former is very independent between one subsystem and another, whereas the other is very dependent. The distinction of product architecture makes them different for the ability to organize developing products suited for the product manufacturing. The organizing ability is generally divided into the abilities of 'modulation integration' and 'selection assembly'. For the integral products such as cars, the integration ability is important between an enterprise and another, as well as between a part and another. However, the modular products such as a PC need the ability to select and effectively organize optimal parts or enterprises. The strategy raising product competitiveness is pursued by synthesizing 'design manufactu-turing strategy' for the product architecture and 'customer value strategy' for the customer values.

A Study on Smart Aging System for the Elderly based on Metaverse (고령자를 위한 메타버스 기반의 Smart Aging 시스템의 연구)

  • Cho, Myeon-Gy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2
    • /
    • pp.261-268
    • /
    • 2022
  • Recently, the number of elderly living alone suffering from loneliness and depression is also increasing significantly due to the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and nuclear famil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mart aging system that increases life satisfaction by providing the elderly with the optimal service tailored to the elderly with the help of IT according to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and health statu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vanced customized support system for the elderly by fully utilizing IoT, AI, and Metaverse techniques not only for the elderly who want to live an active life in society but also for the elderly who need care in a nursing hospital. The proposed system provides human satisfaction by providing social connection in real space and virtual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health status to the elderly suffering from loneliness in hospital (hospital care) facilities and at home. This paper proposes a new path for future-oriented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by providing a user-customized smart aging system by combining AI and Metaverse technology with a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