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최적회전주기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4초

제습냉방시스템의 제습로터 회전주기변화에 따른 제습성능해석 (Performance Analysis of a Desiccant Rotor for Rotational Period in a Desiccant Cooling System)

  • 피창헌;강병하;장영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6권5호
    • /
    • pp.523-531
    • /
    • 2012
  • 제습냉방시스템에서 주요 구성부품인 제습로터의 성능을 극대화 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제습로터의 회전주기의 제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열과 물질전달의 과정을 모델화하여 얻은 수치해를 바탕으로 제습로터성능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재생공기 온습도, 풍량 등의 운전조건에 대하여 회전 주기에 따른 제습로터의 제습량을 구하였다. 성능 시뮬레이션 결과 검증을 위하여, 실험을 통해 측정된 값과 성능해석 모델을 이용하여 계산된 값을 비교함으로써 성능 시뮬레이션 모델의 타당성을 보였다. 각 운전조건에서 제습량이 최대가되는 제습로터의 회전주기를 최적 회전주기로 정의하였고, 회전주기를 고정(400s)할 때의 제습성능과 비교하여, 최적 회전주기제어가 제습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재생온도, 외기상대습도, 풍량을 변수로 하는 최적 회전주기의 예측상관식을 개발하고 시뮬레이션 값과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최적 회전 절차 설계를 위한 회전형 관성항법장치의 회전 동작별 항법 오차 분석 (Analysis of Navigation Error According to Rotational Motions of Rotational Inertial Navigation for Designing Optimal Rotation Sequence)

  • 차재혁;박찬국;조성윤;조민수;박찬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45-452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회전형 관성항법장치의 핵심 기술인 최적 회전 절차를 설계하기 위하여 회전 동작별 항법 오차를 분석하는 내용을 다룬다. 회전형 관성항법장치는 관성측정기를 주기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관성센서 오차가 유발하는 항법 오차가 자체적으로 상쇄되도록 고안되었다. 적절히 연이어진 회전 동작은 최대한의 항법 오차를 상쇄시키며, 이를 최적 회전 절차라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최적 회전 절차를 설계하기 위하여 회전형 관성항법장치에서 구현 가능한 회전 동작을 구분하고, 각 회전 동작 시 발생되는 항법 오차에 대해 분석한다. 또한 이를 조합하여 회전 절차를 수행할 때 발생되는 항법 오차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최적 회전 절차를 구성하기 위한 조건을 제시한다.

기계식 구동기를 이용한 선박진동의 능동제어장치 개발 (A Study to Develop an Active Control System of Ship Vibration Using a Mechanical Actuator)

  • 조대승;이수목;정균양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2권4호
    • /
    • pp.105-113
    • /
    • 1995
  • 동작중에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계식 구동기를 이용하여 주기관 회전수의 특정차수 진동을 능동제어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에 적용된 제어 알고리즘은 주기관과 구동기의 위상차에 따른 진동크기 변화를 이용하여 초기 작동시의 구동기 최적 위상 및 힘을 결정하는 알고리즘과 주기관 회전속도의 변화를 추종하여 지속적으로 최적제어를 수행하는 알고리즘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알고리즘은 제어대상 구조계에 대한 동특성 파악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제어 중에도 구조계의 변화를 추종하여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구동기 성능과 제어 알고리즘의 검증을 위하여 30만톤급 유조선과 2,200 TEU 콘테이너 운반선의 선체 상부구조 진동제어시험을 수행한 결과 본 제어시스템은 주기관의 전 회전속도구간에서 제어치수 성분의 선체 상부구조진동을 제어전 진동의 1/2∼1/6 수준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완충회전수문의 충격 완화장치 (An Alleviative Device of Smooth Rotating Gate)

  • 유동훈;이태희;백덕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46-550
    • /
    • 2007
  • 수중보는 하천, 하수관 또는 인공수로에 건기시 유지수량을 확보할 목적으로 설치되며 보통 10년 주기 내외의 평균 강우량에 맞추어 그 용량을 결정한다. 수처리를 위한 장치의 규모는 적정한 재현기간에 맞추어 설계하고, 재현기간을 초과하여 강우가 발생할 경우 강우 유입을 우회시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완충회전수문은 초과하는 수량을 우회 또는 통과시킬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기존 연구에서 실내 및 현장 실험 모형을 제작하여 여러 차례 실험을 토대로 한계수심 및 충격량을 이론적으로 산정하고 현장 적용성을 검증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문의 개 폐시 원형실린더에 부착되어 있는 날개의 길이 및 개수 변이에 따른 항력의 영향으로 충격량을 측정하여 현장에 보다 적합한 완충회전수문의 최적설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주기적 저주파 잡음제거를 위한 부밴드 능동잡음제어 (Sub-band Active Noise Control for Periodic Low-frequency Noise Cancellation)

  • 최훈;박봉수;윤병연;김대성;배현덕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제13회 신호처리 합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18
    • /
    • 2000
  • 회전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성 잡음의 경우 능동잡음 제어를 이용 진폭이 상대적으로 큰 주기성 저주파 잡음 제어로 상당한 감쇄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기적 저주파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부밴드 능동잡음제어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 구조에서는 QMF를 이용, 진폭이 큰 주기적 저주파신호를 분리하여 적응측엽제거 원리를 적용하여 저주파 신호를 제거한다. QMF에서 발생하는 지연은 각 필터를 통과한 신호경로에 적응필터를 사용하여 보상하였다. 그리고 적응필터 성능향상을 위해 최적 적응이득을 해석적으로 구하여 사용하였다.

  • PDF

선체-프로펠러-주기관 사이의 맞춤에 의한 선박 추진 계통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Ship Propulsion System by Hull-Propeller-Engine Interaction)

  • 안성수;이창섭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0권1호
    • /
    • pp.20-29
    • /
    • 1993
  • 본 논문에서는 선체-프로펠러-주기관 사이의 상호 작용을 해석함으로써, 선박의 추진 계통을 최적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프로펠러의 직경과 전개 면적비를 체계적으로 변화시켜 가면서, 캐비테이션을 고려하여, 주어진 선속에서의 최적의 회전수-소요 마력의 조합을 선정한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주기관 후보를 찾아내어, 각 후보의 연료 소비율을 비교함으로써, 연료 소비율이 최소가 되는 주기관을 결정하고, 동시에 프로펠러의 주요 요목을 결정하는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을 설명하였다.

  • PDF

정지궤도위성에서의 다중머리 별추적기 최적 배치에 관한 연구

  • 박영웅;임조령;박종석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166.1-166.1
    • /
    • 2012
  • 최근에는 정지궤도위성에도 지구센서 대신 별추적기를 탑재하는 추세이다. 별추적기의 경우 태양이나 지구와 같은 밝은 물체가 시야각에 들어올 경우 자세결정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별추적기 최적 배치를 위한 해석이 요구된다. 그런데, 정지궤도위성의 경우 24시간을 주기로 태양이 적도면을 회전하고 또한 동지와 하지를 최대로 하여 적도면과 23.5도의 기울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별추적기 배치에 많은 제한이 발생한다. 별추적기 성능을 최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탑재되는 광학계가 서로 직각이 되어야 하지만 태양 위치에 따른 제한으로 인해 직각이 될 수 없으며 이 경우 성능은 약간의 손실을 감수하면서 항상 태양을 회피하기 위한 최적 각을 적용하거나 태양이 들어올 경우만 성능 손실을 감수하면서 이외의 경우에 별추적기 최적의 성능을 얻고자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법들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여 최적 각을 소개하였고, 다중머리 별추적기를 대상으로 해석을 수행하였다. 다중머리 별추적기는 하나의 전장품에 광학계가 여러 개 장착되는 제품으로 최근에 우주이력(heritage)를 갖기 시작하였다.

  • PDF

가스터빈 리제너레이토 내부유동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Investigation of Flowing Process for Regenerative Beat Exchanger of a Gas Turbine Engine)

  • 김수용;코발레프스키;골든베르크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09-121
    • /
    • 2004
  • 본 논문에는 열교환기로서의 재색기내부에서 발생하는 주기적 및 연속적 유동을 조사하기 위한 분산, 비선형 수학적 모델이 제시되어 있다. 일차원 유동 및 2차원 격벽 내 비정상 열교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 반복적 수치적분 방법이 개발되었다. 제안된 방법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회전 세라믹 매트릭스 재생기에 대한 예가 제시되었으며 재생기가 최고의 열역학적 효율을 각기 위한 최적의 회전수를 계산하였다.

회전기계 계통을 가동시키는 직류전동기의 데드비트제어시스템 연구 (A Study on Deadbeat Control Systme of DC Motro Driving a Rotational Mechanical System)

  • 송자윤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1999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21세기지식경영과 정보기술
    • /
    • pp.477-483
    • /
    • 1999
  • 이 연구는 인쇄기제어와 같은 기어를 포함한 직류전동기로 가동되는 회전계통 플랜트의 제어에 관해서 적분제어기와 전차수 상태관측기 및 영차홀드로 구성되는 데드비트제어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샘플링된 연속데이터시스템의 응답은 샘플링사이에 리플이 발생치 않도록 보장할 수 없지만, 제안된 데드비트제어시스템의 응답은 MATLAB시뮬레이션을 통한 사례연구의 결과, 상태귀환형 최적제어나 출력귀환형 제어시스템응답 등에 비하여 정정시간이 횔씬 빠르고, 주어진 샘플링주기 후에 리플없는 출력응답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회전기계 계통을 가동시키는 직류전동기를 위한 데드비트제어기 설계 (Design of Deadbeat Controller for DC Motor Driving a Rotational Mechanical System)

  • 이흥재;송자윤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31-3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적분제어기와 전차수 상태관측기로 구성되는 데드비트제어기의 설계방법을 제안하고, 기어를 포함한 직류전동기로 가동되는 회전계통 플랜트에 적용하였다. 샘플링된 연속 데이터 프로세스의 제어시스템은 샘플링사이에 리플이 없음을 보장하지 않지만, 제안된 데드비트제어시스템의 응답은 MATLAB시뮬레이션을 통한 사례연구의 결과, 상태귀환형 최적제어나 출력귀환형 제어시스템응답 등에 비하여 정정시간이 훨씬 빠름을 나타내었다. 또한 플랜트가 연속시스템이므로 시뮬레이션의 정확도를 기하기 위하여 영차홀드를 제어입력측에 삽입하여 실행하였고, 그 결과 주어진 샘플링주기 후에 오차와 리플이 없는 안정상태에 이르는 것을 보여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