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최대 차수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8초

최대 클릭 문제에 관한 최대차수 정점 기반 알고리즘 (Maximum Degree Vertex-Based Algorithm for Maximum Clique Problem)

  • 이상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27-235
    • /
    • 2015
  • 본 논문은 NP-완전으로 알려진 최대 클릭의 정확한 해를 선형시간으로 찾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먼저, 주어진 그래프 G=(V,E)에서 최대 차수 ${\Delta}(G)$ 정점 $v_i$를 클릭의 대표 정점으로 결정한다. $v_i$ 인접 정점 $N_G(v_i)$에서 ${\Delta}(G)$ 정점 $v_j$를 선택하여 $N_G(v_i){\cap}N_G(v_j)$를 후보 클릭 w와 $v_k$로 결정한다. $d_G(v_k)$ 내림차순으로 $w=w{\cap}N_G(v_k)$를 얻는다. 마지막으로, $G{\backslash}w$그래프에서 동일한 절차를 수행하여 얻은 클릭이 기존에 얻은 클릭과 동일하거나 크면 이 클릭을 선정하는 검증과정을 거쳤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독립된 다수의 클릭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다양한 정규와 비정규 그래프에 적용한 결과 모든 그래프에 대해 선형시간 O(n)으로 정확한 해를 구하였다.

Bzier 방법을 이용한 B-spline의 차수 감소 (The Degree Reduction of B-splines using Bzier Methods)

  • 김혁진;김태완;위영철;김하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6권8호
    • /
    • pp.875-883
    • /
    • 1999
  • 서로 다른 기하학적 모델링 시스템에 사용되는 곡선 및 곡면의 자료 교환에서, 시스템이 지원하는 그 곡선 및 곡면의 최대 차수에 제한이 있을 때, 낮은 차수로의 차수 감소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근사 변환에 의한 B-spline 곡선의 차수 감소 방법을 제시한다. 기존의 Bzier 곡선의 차수감소 방법들을 적용하고, 그 방법들을 비교 분석한다. B-spline 곡선의 knot 제거 알고리즘이 자료 감소를 위해 차수 감소 과정에 적용된다.Abstract The degree reduction of B-splines is required in exchanging parametric curves and surfaces of the different geometric modeling systems because some systems limit the supported maximal degree. We propose an approximate degree reduction method of B-spline curves using the existing Bzier degree reduction methods. Knot removal algorithm is used to reduce data in the degree reduction process.

EGM2008 지구중력장모델의 평가 (Evaluation of EGM2008 Earth Gravitational Model)

  • 이석배;김진수;김철영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8년도 공동추계학술대회
    • /
    • pp.203-204
    • /
    • 2008
  • EGM96 지구중력장모델을 개선시킨 EGM2008 지구중력장모델이 미국 NGA에 의해 발표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EGM2008지구중력장모델을 한반도 지역을 대상으로 최대차수 360으로 해석하여 기존의 지구중력장모델인 EGM96(360차수) 및 EIGEN-GL04C(360차수)와 비교하였다. 또한 EGM2008은 기존의 구면조화분석한계인 360차수를 뛰어넘고 있으므로 격자 간격 $30'{\times}30'$$15'{\times}15'$, 그리고 $10'{\times}10'$로 각각 해석하여 지오이드고를 계산하고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정확도 평가는 우리나라의 수준점에서 GPS측량을 실시한 464점의 GPS/leveling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평가결과 EGM2008(360차수)은 $-0.100{\pm}0.183m$를 나타내 EGM96(360차수)결과인 $0.156{\pm}0.238m$에 비해 상당한 정확도의 개선을 가져왔으며, 2190차수의 고차항으로 해석한 결과 $-0.069{\pm}0.140m$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B-spline에 대한 근사변환의 실험적 분석 (An Experimental Analysis of Approximate Conversions for B-splines)

  • 김혁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35-44
    • /
    • 2005
  • 서로 다른 기하학적 모델링 시스템을 사용하는 곡선 및 곡면의 자료 교환에서, 시스템이 지원하는 B-spline 곡선 및 곡면의 최대 차수에 제한이 있을 때, 주어진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낮은 차수로의 차수 감소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근사 변환의 한 방법인 B-spline 곡선의 차수 감소 방법을 적용한 실험적 결과를 제공한다. B-spline 곡선의 근사변환에서 기존의 $B\acute{e}zier$ 곡선의 차수감소 방법들을 차수 감소 과정에 적용하고. 그 방법들을 비교 분석한다 knot 제거 알고리즘도 자료 감소를 위하여 차수 감소과정에 적용한다

  • PDF

정규화된 등가음원법을 이용한 음장의 재구성 (On the Reconstruction of the Sound Field Using the Regularized Equivalent Source Method)

  • 전인열;이정권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3권 1호
    • /
    • pp.213-21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형상을 가진 음원으로부터 방사하는 음장을 등가음원법 (equivalent source method)을 이용하여 재구성한다. 일반적인 등가음원법의 기본 원리는 진동하는 물체의 표면 또는 내부에 등가음원을 분포시켜서 등가음원의 강도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각 등가음원의 강도는 음원의 경계 조건이나 측정된 음장 음압을 통해서 구할 수가 있으며 사용된 등가음원의 차수, 개수 그리고 위치 등은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변수들이다. 기존의 HELS (Helmholtz equation least square) 방법은 한 곳의 위치에 다양한 차수로 이루어진 등가음원을 사용하여 각 차수의 계수를 구하는 방법으로써 구형에 가까운 음원에 대해서 좋은 결과를 보이나 음장의 결과가 최대 차수의 선택에 따라서 큰 오차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정규화 기법을 사용하여 음장을 재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등가음원의 최적 차수를 구하고, 음원 내부에 최적 차수로 이루어진 등가음원을 여러 개의 점에 위치시켜서 재구성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정규화된 등가음원법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표면 일부가 진동하는 구에 대한 수치 해석 및 청소기 모델에 대한 음장 재구성 실험 을 수행하였다.

  • PDF

NURBS의 차수 감소 방법을 이용한 근사변환 (Approximate conversion using the degree reduction of NURBS)

  • 김혁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7-12
    • /
    • 2003
  • 시스템이 지원하는 곡선 및 곡면의 최대 차수에 제한이 있을 때, 낮은 차수로의 차수 감소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근사 변환의 한 방법으로써 NURBS 곡선의 차수 감소 방법을 소개한다. 이 방법은 기존 Eck의 B$\'{e}$zier 차수 감소 방법과 자료 감소를 위해 knot 제거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제시하는 방법은 안정적일 뿐만 아니라 수학적으로도 단순하므로 이해와 구현이 용이하다.

  • PDF

간선 색칠 문제의 다항시간 알고리즘 (A Polynomial Time Algorithm for Edge Coloring Problem)

  • 이상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59-165
    • /
    • 2013
  • 본 논문은 NP-완전 문제인 간선 색칠과 그래프 부류 결정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O(E)의 다항시간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최대차수-최소차수 정점 쌍 간선을 단순히 선택하는 방법으로 간선 채색수 ${\chi}^{\prime}(G)$를 결정하였다. 결정된 ${\chi}^{\prime}(G)$${\Delta}(G)$ 또는 ${\Delta}(G)+1$을 얻는다. 결국, 알고리즘 수행 결과 얻은 ${\chi}^{\prime}(G)$로부터 ${\chi}^{\prime}(G)={\Delta}(G)$이면 부류 1, ${\chi}^{\prime}(G)={\Delta}(G)+1$이면 부류 2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미해결 문제로 알려진 "최대차수가 6인 단순, 평면 그래프는 부류 1이다."라는 Vizing의 평면 그래프 추정도 증명하였다.

적응 등화기를 이용한 Feedforward 선형증폭기에서의 등화기 차수 결정 (The Order Selection of Equalizer in Feedforward Power Amplifier Linearizer using Adaptive Equalizer)

  • 정지성;유경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B
    • /
    • pp.715-717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feedforward 선형 증폭기에서의 지연 불일치에 의한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등화기의 차수 결정에 관하여 수학적 접근과 모의실험을 하였다. 현재 feedforward 선형 증폭기에서 주로 사용하는 vector modulator는 지연 불일치에 확실한 개선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이것을 극복하고자 vector modulator를 등화기로 대체하고 증폭기와 시지연선의 최대시간불일치와 sampling frequency와의 관계로 등화기의 차수를 결정하여 지연 불일치에 의한 오류 제거능력을 향상시켰다.

  • PDF

B$\'{e}$zier 곡선의 차수감소와 최대오차의 계산 (Degree Reduction and Computation of the Maximum Error of B$\'{e}$zier Curves)

  • 김혁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25-33
    • /
    • 1999
  • 서로 다른 기하학적 모델링 시스템을 사용하는 곡선 및 곡면의 자료 교환에서, 주어진 허용 오차 내에서 시스템이 지원하는 차수로 근사하는 차수감소를 종종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하학적 표현이 서로 다른 시스템간의 곡선 및 곡면의 교환에서 $\'{e}$의 차수감소에 의한 근사 변환 문제를 다룬다. 여러 가지 n차 $\'{e}$ 곡선을 n-1차 $\'{e}$ 곡선으로 감소하는 차수감소 방법들을 구현하고 각 방법들의 근사 변환한 실험적인 결과를 제공한다.

  • PDF

포화 사질토에서 전방 차수층이 쉴드터널 초과 이수압에 미치는영향 (Effect of a frontal impermeable layer on the excess slurry pressure during the shield tunnelling in the saturated sand)

  • 이용준;이상덕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347-370
    • /
    • 2011
  • 이수가압식 쉴드공법은 이수압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면 특히 사질토에서 적용성이 우수하지만, 이수압이 낮으면 이수 유출 및 지반변형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수가압식 쉴드공법에서는 초기 막장압보다 큰 초과 이수압을 가하여 막장의 안정을 유지한다. 그러나 이수압이 너무 높으면 전방 지반의 수동 파괴를 유발하므로 전방 지반의 수동 파괴 위험성을 배제하고 이수압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막장 전방에 수평 차수층을 설치하는 방안이 있으나 그 위치와 규모 및 효과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화된 사질토에서 막장 전방에 차수 그라우팅을 적용할 경우에 발생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서는 차수층의 위치와 길이를 변화시거면서 이수의 유출이나 지반 파괴 이전까지 이수압을 가하여 최대 이수압과 지반 변위 및 이수의 유출로 인한 파괴 형상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전방 차수층이 없는 경우에 최대 이수압과 초과 이수압은 토피고에 선형비례 하였으며, 차수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차수층이 없는 경우보다 이수압을 크게 가할 수 있어서 전방 차수층이 막장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막장 안정성 증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적정 차수층의 규격은 길이 1.0 ~ 1.5D, 설치높이 1.0D로 나타났다. 초기 막장압 대비 최대 이수압의 비로 막장의 자립 안전율(F)을 제안할 수 있으며, 전방 차수층을 적정 위치에 설치할 경우 초기 막장압보다 3.5~4.0배 크게 이수압을 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