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최대 지체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2초

통행시간 신뢰도를 고려한 통행수단선택모형에 관한 연구 (Modal Choice with Travel Time Reliability)

  • Nam, Doo-Hee;Park, Dong-Joo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16
    • /
    • 2004
  • 통행수단선택에 있어 여행자들은 여행수단의 통행시간 뿐만 아니라 해당 수단의 신뢰도를 함께 고려하게된다. 본 논문에서는 통행시간의 신뢰도는 삼각분포를 기반으로 하는 통행시간의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와 최대지체시간(Maximum Delay)으로 정의하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의 개발을 위해 Multinomial Logit(MNL)과 Nested Logit 모형이 구축되어 상대적으로 우수한 MNL을 이용한 모형의 결과 통행수단의 신뢰도는 중요한 요소임을 보였다. 모형의 개발을 위해 통행시간의 표준편차와 최대지체시간의 변수를 사용하여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최대지체시간이 보다 적절한 변수임을 보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통행시간의 신뢰도가 확보되는 수상교통수단을 중심으로 서비스 수준의 향상에 관계되는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개발된 모형의 민감도 분석이 이루어 졌으며, 이는 정책결정자와 교통계획가들로 하여금 대안선택의 분석에 유용한 도구로 쓰일 수 있다. 민감도 분석을 바탕으로 수상교통을 중심으로 통행시간의 신뢰도가 확보되는 수단의 서비스 향상을 위한 정책들을 제시하였다.

지체장애인을 위한 정보디자인에 관한 연구 - 지하철역 사인시스템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formation Design for the Disabled)

  • 권혁란;반경진;이주엽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245-250
    • /
    • 2008
  •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람이 해야 했던 상당 부분을 기계가 대신하거나 보조하게 되면서 사람들은 편리해지고 안전해졌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자연적인 위험을 줄이고, 생활의 편이를 돕기 위해 만들어진 기술에 의해서 인위적인 위험이 생겨나고 이는 돌이킬 수 없는 신체의 장애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지체장애인의 약 70%가 선천성 장애가 아닌 후천적인 이유라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 한다. 점차 자애인의 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장애인의 권익을 최대한 보호하고 그들이 장애를 겪지 않는 사람들과 동등한 혜택을 누리면서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 단체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장애인의 절반을 차지하는 지체장애인이 대중교통을 이용의 편의를 위한 이동에 관한 부분은 많이 개선되었으나 여러 부분에서 개선과 보완이 필요하며 정보디자인 부분도 예외는 아니다. 특정 정보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그 정보를 정확하게 쉽게 찾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실제 환경에서 사람들의 편의를 돕기 위해 존재하는 매체들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공공물 디자인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지체징인들의 대중교통의 대표적인 수단의 하나인 지하철 이용 편의를 위한 정보 전달 시스템의 중심인 사인시스템의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 PDF

회전교차로 우회전 별도차로 설치 효과 검토 (Effectiveness Analysis on the Installation of Right-Turn Bypass Lane in Roundabout)

  • 임진강;김경환;박병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29-37
    • /
    • 2010
  • 이 논문은 회전교차로 우회전 별도차로를 다루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회전교차로 기하구조의 설계요소 중 우회전 별도차로의 설치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VISSIM을 이용하여 우회전 별도차로의 설치 전 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우회전 별도차로 설치 방식인 양보에 의한 통제 형태와 합류에 의한 통제 형태의 운영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회전 별도차로 설치 후에는 우회전 교통량비의 증가에 따라 지체가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최대 평균 약 28%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보에 의한 통제 형태와 합류에 의한 통제 형태 모두 우회전 교통량이 증가할수록 지체가 감소하였다. 또한 합류에 의한 통제 형태가 양보에 의한 통제 형태보다 최대 평균 약 18% 지체감소 효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평균법과 교차상관계수를 이용한 제주도 표선유역 중산간지역의 강수량과 지하수위 간의 지체시간 추정 (Estimation of delay time between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 in the middle mountain area of Pyoseon watershed in Jeju Island using moving average method and cross correlation coefficient)

  • 신문주;문수형;고기원;문덕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7호
    • /
    • pp.533-543
    • /
    • 2020
  • 지하수자원의 적절한 관리를 위한 정보제공을 위해서는 강수량과 지하수위 시계열자료 간의 지체시간 계산을 통한 지하수위 상승시기 추정 및 지하수위 변동특성 파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남동쪽 표선유역 중산간지역에 위치한 9개 지하수위 관측정 지점을 대상으로 선행강수를 고려하기 위해 이동평균법을 활용하여 생성한 이동평균 강수량 시계열자료와 지하수위 시계열자료 간의 일단위 총 지체시간 및 교차상관계수를 계산하고 추정결과를 비교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이동평균 강수량 시계열자료를 사용시 원시 강수량 시계열자료를 사용한 경우보다 모든 관측정에서 지하수위 시계열자료와의 상관성이 증가함으로써 보다 명확한 강수량-지하수위 지체시간 추정이 가능하였다. 이동평균 강수량 시계열자료 사용시 지하수위 시계열자료와 최대 0.57~0.58까지의 교차상관계수를 보였으며 평균적으로 약 24일의 선행강수를 고려할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총 지체시간은 평균적으로 약 32일 이었으며 이동평균 강수일이 총 지체시간 계산에 큰 영향을 미침으로써 선행강수의 고려가 총 지체시간 추정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동 평균 강수량 시계열자료 사용을 통해 원시 강수량 시계열자료 사용에 의한 총 지체시간 추정오류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총 지체시간 추정방법과 본 논문의 부록에 제시된 총 지체시간 추정용 R 코드의 활용을 통해 향후 다른 지역에 대한 총 지체시간을 비교적 쉽게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철도시설 현대화 방안

  • 이창호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5-95
    • /
    • 2002
  • 1899년 9월 18일 경인선 철도가 개통된 이래 우리철도는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70년대 경부선 최고속도를 140km/h로 향상시킨데 이어 현재 우리나라는 건국이래 최대규모의 사회기반시설인 경부고속전철 사업을 추진중이며, 2004년에 300km/h급 고속철도 서비스가 개시될 예정으로 경부축의 상대적 거리는 더욱 가까워지면서 발전이 촉진되지만, 타 지역의 개발은 상대적으로 지체됨에 따라 국토의 편중개발로 인한 지역적 불만을 초래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중략)

  • PDF

관측자료를 이용한 제주도 한천 유역의 침투 특성 파악 (Comprehension of the in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Han stream basin in Jeju Island using the flow observation data)

  • 강민석;송성욱;정진웅;유철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08-10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제주도 한천 유역의 침투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19년까지 제주도 한천 유역의 주요 호우사상을 선정하고 한천 하류부의 위치한 제2동산교 지점의 유출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먼저 호우사상별 유출량 자료를 이용하여 유효우량(또는 유출고) 산정하고 초기손실을 결정하였다. 다음으로 유효우량과 초기손실을 NRCS CN 방법에 적용하여 최대잠재보유수량과 CN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호우사상별 CN 및 초기손실을 검토하기 위해 선행일수에 따른 선행강우량과 유출량과의 관계와 강우-유출 과정의 각 요소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초기손실, 최대잠재보유수량, CN 등 각 요소들의 분포와 이상치를 확인하여 제주도 한천 유역의 적절한 CN 및 초기손실의 규모를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제주도 한천 유역의 적절한 초기손실, 최대잠재보유수량, α, 지체시간의 규모는 각각 30 mm~40 mm, 170 mm~190 mm, 0.20~0.23, 50~60, 60 min~90 min으로 나타났다.

  • PDF

광폭교차로에서 2단 횡단보도 설치 효과분석 (The Effect of Staggered Pedestrian Crossings at Wide Width Intersections)

  • 김동녕;홍유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3-35
    • /
    • 2011
  • 광폭의 도로에서는 횡단거리가 길어 보행자의 녹색시간이 길게 할당된다. 부도로의 교통량이 적을 때에도 보행자의 최소녹색시간으로 인해 일정시간 이상의 녹색신호시간을 보장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신호주기가 길어지고 주도로의 g/C 비율이 감소하게 되어 교차로 전체의 지체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2단 횡단보도의 설치 효과를 차량 측면과 보행자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차량당 제어지체를 TRANSYT-7F와 VISSIM을 활용하여 산출하였고 그 결과 2단 횡단보도의 차량당 제어지체가 일반 횡단보도에 비해 최소 14.9%에서 최대 85.6%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행자 측면에서는 해석적 방법으로 두 횡단보도의 보행자 평균 횡단시간을 비교하였으며, 또한 VISSIM을 통한 평균 보행자지체를 산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해석적 방법으로 보행자 평균 횡단시간을 산출한 결과, 두 횡단보도의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VISSIM을 활용하여 보행자 지체시간을 산출한 결과, 일반 횡단보도에 비해 2단 횡단보도의 평균 보행자 지체가 13.4%~22.3%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교통 및 기하조건이 연구결과와 유사한 경우에는 일반 횡단보도에 비해 2단 횡단보도가 차량 및 보행자측면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ier 3 방법을 이용한 회전교차로 도입에 따른 $CO_2$ 감축효과 (Analysis of the Effect of Carbon Dioxide Reduction by Changing from Signalized Intersection to Roundabout using Tier 3 Method)

  • 이정범;이승훈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05-112
    • /
    • 2011
  • 교차로에서의 잘못된 신호운영은 신호위반이나 교통지체를 유발하며, 이러한 혼잡에 의한 지체는 대기에 $CO_2$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회전교차로는 이러한 불필요한 지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운영방법중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교차로 운영방법을 신호교차로에서 회전교차로로 전환하였을때 $CO_2$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는 차량으로 부터의 온실가스 측정을 위해서는 Tier 1 방법을 쓰도록 권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차량별 평균주행거리의 데이터를 구하기 힘들기 때문으로 국내에서는 AVI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이러한 데이터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차량별 평균주행거리의 데이터를 고려한 Tier 3 방법을 이용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두개의 신호교차로를 선택하여 현재의 운영상태와 회전교차로로 변환하였을 때의 지체를 VISSIM을 이용하여 결과값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복수네거리는 28.6초에서 4.4초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앞 삼거리는 156.4초에서 23.6초로 지체가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O_2$의 경우 두개의 교차로에서 총 646.5 톤/년의 양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는 한개의 교차로가 아닌 네트웍에서의 테스트와 다양한 교차로에서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구간검지체계의 통행시간정보를 이용한 신호제어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The Signal Control Algorithm Using Travel Time Informations of Sectional Detection Systems)

  • 정영제;김영찬;백현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81-19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구간통행시간과 같은 링크의 속성정보를 수집 가능한 검지체계를 구간검지체계로 정의하여 이러한 검지체계를 기반으로 실시간 신호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신호제어를 위한 변수는 공간적 개념을 가지는 대기행렬길이를 제안하였다. 개별차량에 대해 검지기 통과 시 차량의 ID와 통과시각이 수집 가능한 DSRC와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링크 통행시간을 수집하며, 한 주기 동안 수집된 개별차량 통행시간은 지체를 경험한 차량과 그렇지 않은 차량으로 구분된다. 이를 이용하여 대기행렬 해소시간을 산출가능하며, 결정적 지체모형을 기반으로 주기별 최대대기행렬을 산출하였다. 실시간 신호제어의 목표는 접근로별 대기행렬의 균형화로서 각 접근로의 대기행렬이 사전에 정의된 임계대기행렬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균등화될 수 있도록 대기행렬의 비율에 따라 신호시간을 배분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다인승차량의 중앙버스전용차로 이용에 따른 영향분석 (Analyzing the Changes in Speed Due to High Occupancy Vehicles Using Median Bus Lane)

  • 이정범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87-94
    • /
    • 2013
  • 본 연구는 버스전용차로 설치로 인한 일반차로의 지체증가를 완화하기 위해 다인승차량이 버스전용차로를 운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지는 버스전용차로에는 버스통행량이 적고 일반 차로의 지체가 심각한 대전의 두 지역(도안동로, 도안대로)을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Synchro를 이용하여 신호를 최적화 시키고 VISSIM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분석을 시행하였다. 현황을 정확히 모의실험 하기 위하여 운전자 행태를 반영할 수 있는 파라메터를 Simultaneous Perturbation Stochastic Approximation(SPSA)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화 한 후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두 지역 모두 현재의 다인승차량의 진입을 허용하여도 버스전용차로의 정시성에는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안대로의 경우 다인승차량이 버스전용차로를 운행하면 전체 지체가 떨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래, 교통량이 증가하였을 경우 다인승차량이 10%정도 증가하여도 버스전용차로의 정시성은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규제 위주의 교통수요관리 보다는 주어진 도로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노력도 중요하다. 향후 가로변 구간에 있는 버스전용차로의 다인승차량 허용에 대한 연구 및 다양한 교통량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