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총 비용

Search Result 1,10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Estimating the Socioeconomic Costs of Child Abuse (아동학대의 사회경제적 비용 추계)

  • Kim, Soo Jung;Chung, Ick Jo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 /
    • no.53
    • /
    • pp.25-50
    • /
    • 2016
  • For child abuse prevention in Korea, this study estimated the socioeconomic costs of child abuse.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present study organized component categories for estimable direct and indirect costs of child abuse, and estimated the cost of each category in 2014 through the collection of existing data and through Delphi survey techniques among experts. The total socioeconomic costs of child abuse were compared to Korea's GD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oeconomic costs of child abuse in Korea in 2014 ranged from 389.9 billion KW(0.03 percent compared to GDP) to 76 trillion KW(5.1 percent compared to GDP). Second, the indirect socioeconomic costs of child abuse are much higher than the direct costs. Third, costs related to productivity loss and unemployment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total costs.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the child protection budget in Korea was very low compared to developed countr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increase Korea's child protection budget and to take urgent action to detect unrevealed child abuse cases. Furthermore, in order to reduce indirect costs, it is important to provide abused children with early professional treatment.

Chronic Physical Comorbidities and Total Medical Cost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조현병 환자의 동반 만성신체질환 현황 및 총 의료비용에 관한 연구)

  • Lee, Sang-Uk;Lee, Ye-rin;Oh, In-Hwan;Ryu, Vin;Goo, Ae-Jin;Kim, You-Seok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26 no.1
    • /
    • pp.26-34
    • /
    • 2018
  • Objectives :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prevalence of chronic physical disease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its effects on total medical costs. Methods :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data in 2014-2015 was employed. Only the injuries and diseases, identically diagnosed 3 times or more as a major or minor injury and disease, were classified into chronic physical diseases to improve data accuracy. Total medical costs included out-of-pocket and insurer's costs from health care system perspective. Results : It was shown that 24.5%, 17.3% and 23.4% of schizophrenia patients had one, two and three or more chronic physical diseases, respectively. There was a high prevalence of not only metabolic, but also musculoskeletal, diseases in those patients. The amount of 2015 total medical costs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in 2014 was about 1.08 trillion won. The factors affecting the costs included sex, age, number of chronic physical diseases, and health insurance status. Conclusions : It is considered that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based on personal diseases may not sufficiently solve the problems for comorbidities in schizophrenia patients. Accordingly, it should be required to develop models for new types of medical systems capable of treating and caring varied illnesses at the same time.

Cost-Effectiveness Analysis of Glimepiride or Pioglitazone in Combination with Metformin in Type-2 Diabetic Patients (제2형 당뇨병 환자에 대한 메트포르민-글리메피리드 병합요법과 메트포르민-피오글리타존 병합요법의 비용-효과분석)

  • Lim, Kyung-Hwa;Shin, Hyun-Taek;Sohn, Hyun-Soon;Oh, Jung-Mi;Lee, Young-Sook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 /
    • v.19 no.2
    • /
    • pp.96-104
    • /
    • 2009
  • 배경: 당뇨병 환자에게 관상동맥심질환은 생존률, 건강 상태 유지 및 삶의 질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합병증이며 적극적인 당뇨병 치료는 이러한 심혈관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으나 당뇨병의 적극적 치료와 관리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목적: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메트포르민과 글리메피리드 병합요법과 메트포르민과 피오글리타존 병합요법의 비용-효과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마르코프 코호트 프로세스(Markov Cohort Process Model) 모형을 이용하여 비용-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연장된 수명 (life years gained, LYG)과 삶의 질(quality)을 보정하여 증가된 QALYs를 주요 효과 지표로 측정하였고, 총비용으로는 직접의료비용과, 환자와 가족의 교통비를 직접비의료비용으로 고려하였고 환자와 가족의 시간비용을 간접비용으로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비용-효과분석 결과, 메트포르민과 글리메피리드 병합요법의 경우 총 비용은 5,962,288원, 효과는 7.94LYG, 6.43QALY이었다. 반면 메트포르민과 피오글리타존 병합요법은 총 비용 10,982,243원, 효과 8.62LYG, 6.99QALY으로, 점증적 비용-효과비(ICER)는 7,402,663원/LYG과 8,934,546원/QALY 이었다. 결론: 우리 사회의 연장된 수명(LYG)에 따른 지불의사가 700만원 이하인 경우는 메트포르민과 글리메피리드 병합요법이 비용-효과적인 대안이며 700만원 이상인 경우에는 메트포르민과 피오글리타존 병합요법이 비용-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 PDF

임의 점검 모형의 최적 관리

  • 이지연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5 no.2
    • /
    • pp.383-389
    • /
    • 1998
  • 시스템에 대한 예방 관리 모형을 고려한다. 시스템이 고장을 일으키면 즉시 최소 수리가 이루어지고 임의로 방문하는 전문 관리인에 의해 시스템을 점검했을 때 연속하는 고장의 수가 적정 개수이상이거나 또는 시스템의 총 작동 시간이 적정 시간이상이면 시스템을 동일한 것으로 교체한다고 한다. 적절한 비용을 부과한 다음 시스템의 단위 시간당 평균 비용을 계산하고 그 비용을 최소화하는 최적의 점검 속도를 찾는다.

  • PDF

Calculation of Total Benefit by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for Cost-Benefit Analysis: Focusing on Income and Distance-Decay Effects (비용편익분석을 위한 조건부가치측정법에서의 총편익 산정: 소득효과 및 거리-소멸 효과를 중심으로)

  • Lee, Jongyear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36 no.1
    • /
    • pp.43-80
    • /
    • 2014
  • This study suggests a model for calculating total benefit rigorously to use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in cost-benefit analysis (CBA). Estimating households' willingness to pay through survey method, the study attempts to demonstrate if a respondent's income and the distance between a respondent's residence and the location of a target facility affect her willingness to pay. The estimation results from a structural model show that income and distance-decay effects exist and that the calculated total benefit varies largely when these effects are ignored. The study emphasizes the effects of income and distance-decay on the total benefit must be carefully considered in using CVM for CBA. Even though the total project cost is precisely estimated, the benefit/cost (B/C) ratio may differ largely when the total benefit is not correctly calculated. Also, an ad hoc model generates significantly different estimates from the utility difference model this study adopted. The difference in estimates suggests that the total benefit has to be estimated by a structural model. Finally, simulations are performed to check the validity of the model as well as to predict consequences when income and distance-decay effects are not properly treated. The results from simulations reveal it is not desirable to ignore those effects considering the perspectives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 PDF

내륙 운송 체계 하에서 공 컨테이너의 최적 재고관리에 관한 연구

  • Yun, Won-Yeong;Lee, Yu-Mi;Jeong, Il-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210-212
    • /
    • 2007
  • 본 논문은 내륙 운송 체계 하에서 공 컨테이너의 효율적인 재고관리 문제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그리고 실제 컨테이너 선사가 공 컨테이너 운영 관리에 있어서 예측하기 힘든 고객의 수요 및 공급 등의 불확실한 요소들을 고려하기 위하여 공 컨테이너의 수요와 공급을 확률변수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재고유지비용, 임대비용 및 총 기대 비용을 추정하고 (R, s, S) 재고 정책을 기본 재고정책으로 한 가정 하에 GA (Genetic Algorithm)를 사용하여 총 기대 비용을 최소화 하는 주문, 발주 정책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버스 운영 최적화에 관한 연구 -운행간격, 정차시간, 정류장 간격 및 버스 보유대수 등을 중심으로-

  • 이승헌;전경수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465-465
    • /
    • 1998
  • 버스운영에 관한 최적화 모형에는 총 시스템 비용의 최소화 모형과 사회적 편익의 극대화 모형이 있다. 이들 모형들은 해석적 방법에 의해서 특정 이상화된 문제를 연구했다. 특정 필요조건들을 충족시키면서 최적 버스크기, 서비스 빈도, 보유대수를 결정하려고 애썼다. 그러나 실제 버스의 운행시간은 정류장의 지체시간과 승객의 수요에 따라 변화하고 승객의 비용추정시 접근시간을 현실적으로 고려하지 못해 버스 운영의 비효율성을 초래하기 쉽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대별로 이용자와 운영자의 비용의 합으로 구성된 총 교통 모형을 최소화는 모형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문헌에서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정류장 간격에 따른 이용자의 접근시간과 버스가 정류장에 들어가고 나올 때의 감·가속으로 인한 지체와 승객의 승·하차로 인한 지체를 고려한 버스의 정류장 정차시간을 기존의 모형에 추가시켜서 운행간격, 버스정류장의 정차시간, 정류장 간격 및 보유대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아울러 실제 서울시에서 운행되고 있는 시내버스 노선에 대해 사례분석을 통해서 본 모형을 실제 적용해보고 기존의 운영비용과 비교하고 본 모형의 유효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 PDF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Cost-Effective and Fast Inter-Domain NEMO Scheme with Multicasting Support (멀티캐스팅 지원의 비용효과적인 도메인간 빠른 NEMO 기법의 설계 및 성능분석)

  • Han, Sunghee;Jeong, Jongpil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1 no.2
    • /
    • pp.87-98
    • /
    • 2012
  • In recent years, there are many data and multimedia services that are supported by WiFi-enabled mobile devices. As a result, the demand for the ability to connect to the Internet anywhere is rapidly increasing and network infrastructure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e design of cost-efficient network mobility (NEMO) protocol is intended to reduce the demand for limited wired/wireless network bandwidth at the signaling of mobility support and packet delivery oper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st-effective inter-LMA domain mobility management scheme which provides fast handover with multicasting support in NEMO environments. And our Fast PR-NEMO scheme is compared with N-PMIPv6, rNEMO, and PR-NEMO. In conclusion, our proposed scheme shows the best performance in terms of location updating cost, and packet tunneling cost.

Improvement of Optimal Bus Scheduling Model Reflecting Bus Passenger's Degree of Satisfaction (이용자 만족도를 반영한 최적 버스 배차 간격 설정 모형의 개발)

  • Bae, Sang-Hoon;Kim, Tag-Young;Ryu, Byung-Y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6 no.3
    • /
    • pp.12-2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γ if to understand problem of present bus scheduling system and to develop optimal bus scheduling model which improve bus passenger's degree of satisfaction(DOS) and bus company's operation efficiency at the same time. This study developed optimal bus scheduling model, which reflected bus passenger's degree of satisfaction(DOS), applied to existing model that summery of bus operation cost($C_o$), passenger queuing time cost($C_{pw}$) and passenger travel time cost($C_{pl}$). And optimal bus scheduling model which developed in this study is optimized that using LINGO program based on linear program. Also by using the general case in Busan, compare total cost of present bus scheduling system and existing scheduling model with total cost of optimal bus scheduling model which reflected bus passenger's degree of satisfaction(DOS).

  • PDF

환경기초시설(環境基礎施設)의 적정규모(適正規模)와 정책적(政策的) 시사점(示唆點)

  • Kim, Dong-Seok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9 no.2
    • /
    • pp.159-211
    • /
    • 1997
  • 환경기초시설에 대한 투자가 우리나라 총 환경관련 예산의 8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듯이, 수질 폐기물의 관리를 위한 기초시설의 건립과 운영은 환경정책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동시에 대규모의 재원을 필요로 하는 사업이며, 따라서 비용극소화를 위한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환경기초시설의 설치 운영에 소용되는 비용은 크게 두 부류로 나누어지는데, 설치비와 운영비에는 규모의 경제가 있어서 규모가 큰 시설일수록 평균비용이 감소하는 반면, 수거운반비와 보상비는 규모가 큰 시설일수록 평균비용이 증가한다. 따라서 총비용은 시설규모의 U자형 함수가 될 것이며, 이 논문의 목적은 각 비용요소를 계량화하여 환경기초시설의 적정규모, 즉 총비용을 극소화시키는 시설규모를 도출하기 위한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모형은 수학적으로 단순하여 현실 문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간단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하여 적정규모를 계산하고 비용분석을 할 수 있다. 이 모형을 우리나라의 소각시설에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들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생활폐기물의 수거운반비가 1,500원/톤/km이고 가구들이 폐기물 관리지역내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에 총소각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약 23만 가구당 처리용량이 830톤/일인 소각장을 설치 운영하여야 하며, 이때에 폐기물 단위당 처리비용은 약 100원/kg이다. 둘째, 가구당 폐기물발생량과 인구밀도의 지역간 차이로 인하여 적정규모 역시 지역간 차이가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도시지역일수록 규모가 큰 시설이 효율적이다. 셋째, 폐기물 처리사업은 오염의 원인과 수익의 주체가 분명하므로 처리에 소요되는 비용은 가계가 부담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현재의 쓰레기봉투가격을 인상하여야 한다. 넷째, 현재 폐기물 처리시설의 설치 운영이 공공부문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어 이를 민영화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환경기초시설의 적정규모를 도출함에 있어 핵심사항인 비용에 관한 정보를 관련 분야의 민간부문이 더 많이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입찰을 통하여 사업자를 선정할 경우 가장 효율적인 기업에 의한 설치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쓰레기봉투가격의 인상과 함께, 폐기물의 처리가 행정구역에 연계되어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의 제도 역시 폐지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