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총 부유물질

Search Result 15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istribution and Particle Size of Total Suspended Materials in the northwestern Kwangyang Bay Korea (광양만 서북부 해역의 부유물질의 분포와 입도에 관한연구)

  • 박용안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11 no.1
    • /
    • pp.39-56
    • /
    • 1997
  • 한국남해에 위치한 광양만의 서북부 내만 해역에서 표층수와 저층수의 부유물질 (TSM)의 총함량과 분포의 계절적 변화양상 그리고 부유입자의 조지극성(입자의 크기)이 연 구되었다,. 연구기간중 부유물질 함량분포는 계절별로 매우 뚜렷한 특징을 보였다, 특히 여 름철 저층수의 부유물질 함량이 만조선 해역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계절별 부유물질 함량분포의 변화 원인은 얕은 수심, 해저의 표층 퇴적상 그리고 조류의 동력적 조건(최고속 도)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신천 수질조사에 관한 연구

  • 이상혁;김대원;박병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83-187
    • /
    • 2003
  • 신천에 금호강물을 혼합한 이후의 수질개선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질조사를 하였다. 3월부터 9 개월 동안 신천의 물을 측정한 결과 부유물질의 농도는 1.2mg/$\ell$~18.7mg/$\ell$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상동교 지점에서 금호강물 유입이 시작된 5월 말부터 측정한 부유물질의 농도는 2.8mg/$\ell$~8.6mg/$\ell$의 범위로 나타내었다. 생화학적산소요구량의 농도는 0.6mg/$\ell$~7.9mg/$\ell$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상동교 지점에서 5월 말부터 측정한 생화학적산소요구량의 농도는 2.9mg/$\ell$~7.2mg/$\ell$의 범위로 나타났다. 무태교 지점에서 생화학적산소요구량의 농도는 3.6mg/$\ell$~5.6mg/$\ell$의 범위로 높았다. 암모니아태 질소의 농도는 0.12mg/$\ell$~0.79mg/$\ell$~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상동교 지점에서 5월 말부터 측정한 암모니아태 질소는 0.15mg/$\ell$~0.67mg/$\ell$~의 범위로 나타났다. 무태교 지점에서의 암모니아태 질소의 농도는 0.43mg/$\ell$~0.79mg/$\ell$의 범위이었다. 총인의 농도는 0.16mg/$\ell$~l.12mg/$\ell$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상동교 지점에서 5월 말부터 측정한 암모니아태 질소의 농도는 0.33mg/$\ell$~0.88mg/$\ell$~의 범위로 나타났다. 무태교 지점에서의 총인의 농도는 0.52mg/$\ell$~0.99mg/$\ell$~의 범위이었다. 신천에 금호강물을 혼합한 이후에도 부유물질, 생화학적산소요구량, 암모니아태 질소, 총인 등의 농도가 개선되지 않았다. 즉 금호강물의 혼합은 신천수질환경사업소에서 배출되는 방류수에 함유되어 있을 2차 오염물질의 희석이라는 이점외의 수질개선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 PDF

Study on monitoring and prediction for the occurrence of red tide in the middle coastal area in the South Sea of Korea II: (원격탐사를 이용한 한국 남해 중부해역에서의 적조 예찰 연구 II: 적조발생과 해양인자간의 상관성 연구)

  • 윤홍주;김승철;김영섭;김상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2.11a
    • /
    • pp.505-509
    • /
    • 2002
  • 남해 중부해역에서 적조발생과 관련해서 적조 다발월인 여름과 초가을에 기온과 마찬가지로 높은 수온을 유지한다. 또한 많은 강수량에 의하여 부유물질 및 영양염류가 증가하고 염분이 대체로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적조의 bloom으로 인하여 대표적인 영양염류인 질소와 인의 값이 떨어진다. 그리고 적조생물의 사후 미생물 분해 작용이 활발하여 산소의 소모가 증가하여 용존산소가 급격히 떨어지고 화학적산소요구량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해양인자와의 상관성은 적조의 발생조건인 수온이 적당하며 저염분과 부유물질, 클로로필, 질소, 인이 높게 나타났고 용존산소는 적조생물의 인해 낮게 나타났음을 알수 있었다.

  • PDF

Evaluation of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in Environmentally Friendly Full-scale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Domestic Sewage during Long-term Monitoring (장기 모니터링을 통한 환경친화형 인공습지 하수처리장의 수질정화효율 평가)

  • Seo, Dong-Cheol;Jo, In-Seong;Lim, Seok-Cheon;Lee, Byeong-Ju;Park, Seong-Kyu;Cheon, Yeong-Seok;Park, Jong-Hwan;Lee, Hong-Jae;Cho, Ju-Sik;Heo, Jong-So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8 no.2
    • /
    • pp.97-105
    • /
    • 2009
  • A constructed wetland which was composed of aerobic and anaerobic areas was evaluated for 3 years to effectively treat the sewage produced in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For 3 years in a constructed wetland, biochemical oxygen demand(BOD), chemical oxygen demand(COD), suspended solids(SS), total nitrogen(T-N), and total phosphorus(T-P) in effluent were 0.2${\sim}$11.8, 1.0${\sim}$41.9, 1.1${\sim}$6.5, 4${\sim}$60 and 0.02${\sim}$3.51 mg/L, respectively. Removal rate of BOD, COD and SS in effluent were 97, 92 and 99%, respectively, in the third year. As time goes by, removal rate of T-N and T-P in treated water in aerobic area and effluent were gradually increased in a constructed wetland. In the third year, removal rate in effluent were 62 and 73%, respectively. By the seasons, removal rate of BOD, COD, SS, T-N and T-P were 97${\sim}$98, 87${\sim}$91, 99, 43${\sim}$61 and 76${\sim}$86%, respectively. Removal rate of BOD, COD, SS and T-P were not affected by the seasons, but that of T-N in winter and spring were decreased than the other seasons.

Removal Efficiency and Applicability Analysis of Suspended Solids in Nonpoint Source Reduction Equipment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부유물질 제거효율 및 적용성 분석)

  • Jang, Suk-Hwan;Lee, Jae-Gyeong;Lee, Hae-Gwang;Oh, Ji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45-245
    • /
    • 2018
  • 최근 도시화 및 산업화의 발달로 불투수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건기 시 토지 표면에 축적된 오염물질이 강우유출수와 함께 하천으로 유출되는 등 수질오염의 가중과 불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의 집중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우리나라는 환경기초시설 등의 건설로 점오염원 관리는 강화되었지만, 비점오염원의 부하량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환경부 및 관계부처에서는 비점오염관리를 위한 여러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비점오염저감장치는 자연형 시설과 장치형 시설로 구분되는데, 이 중 장치형 시설은 필터를 사용하여 비점오염저감의 효율성을 증가시키지만,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유지관리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필터가 없는 장치형 시설을 고안하여 자연 순환기능을 최대한 유지하고, 오염물질을 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수리실험을 통해 비점오염원의 제거효율을 분석하였다. 수리학적 상사법칙에 따라 원형대비 1/3축소모형과 2가지의 원형모형에 대해 총 3가지 모형에 대해 환경부에서 고시한 비점오염저감장치 기준을 뛰어넘는 유역면적, 강우강도 및 부유물질의 양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는 유입수 농도에 대한 유출수의 농도로 계산하였으며, 장치에서 유출 직후 5분 간격으로 채취한 후, 수질공정시험법을 참고하여 부유물질에 대한 실험 중 하나인 유리섬유여과방법을 이용해 실험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고안한 장치형 시설은 필터를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환경부 기준인 부유물질 제거효율 80%이상을 만족한 것으로 나타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장치형 시설보다 유지관리 및 경제성 등이 우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환경기술코너-방류수 수징 원격감시체계(TMS) 시범운영

  • Lee, Gyeong-Jin;Jo, Jae-Won;Hyeon, Mun-Sik;Gwon, Bong-Gyeong;Choe, Jun-Chang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v.29 s.367
    • /
    • pp.42-46
    • /
    • 2007
  • 최근 수질환경보전법의 개정법률(안)에 의거하여 폐.하수종말처리장에 수온, pH,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총질소(TN), 총인(TP) 및 부유물질(SS)의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질자동측정기의 부착이 의무화될 예정에 있다. 그러나, 현재 전국적으로 화학적산소요구량 측정장비와 같이 일부 항목에 대한 자동측정장치는 설치.운영 중인 곳이 많이 있으나, 수질 TMS 설치 규정에 나와 있는 전 항목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가 설치되어 운영하는 곳은 극히 일부에 불과한 실정이다. 따라서, 수온, pH,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총질소(TN), 총인(TP), 부유물질(SS) 자동측정 장치를 설치하고, 무선통신(CDMA) 방식을 이용하여 '방류수 수질 원격감시체계(TMS) 시범 운영'을 통하여, 측정 장비들에 대한 자료의 정확성, 신뢰성을 파악하여 설치될 장비들에 대한 성능을 사전에 평가하고, 수질 TMS 시스템에 대한 현장 적응 능력 및 안정성을 파악하여 실질적으로 운영되는 시점에 좀 더 정확하고 실용적인 시스템을 적용하고자 한다.

  • PDF

방류수 수질 원격감시체계'TMS' 시범 운영

  • Lee, Gyeong-Jin;Jo, Jae-Won;Gwon, Bong-Gyeong;Choe, Jun-Chang
    • Environmental engineer
    • /
    • v.23 s.244
    • /
    • pp.56-60
    • /
    • 2006
  • 최근 수질환경보전법의 개정법률(안)에 의거하여 폐 · 하수종말처리장에 수온, pH,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총질소(TN), 총인(TP) 및 부유물질(SS)의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질 자동측정기의 부착이 의무화될 예정에 있다. 그러나, 현재 전국적으로 화학적산소요구량 측정장비와 같이 일부 항목에 대한 자동측정장치는 설치 · 운영 중인 곳이 많이 있으나, 수질 TMS 설치 규정에 나와 있는 전 항목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가 설치되어 운영하는 곳은 극히 일부에 불과한 실정이다. 따라서, 수온, ph,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총질소(TN), 총인(TP), 부유물질(SS) 자동측정 장치를 설치하고, 무선통신(CDMA)방식을 이용하여 ‘방류수 수질 원격감시체계(TMS) 시범 운영'을 통하여, 측정 장비들에 대한 자료의 정확성, 신뢰성을 파악하여 설치된 장비들에 대한 성능을 사전에 평가하고, 수질 TMS 시스템에 대한 현장 적응 능력 및 안정성을 파악하여 실질적으로 운영되는 시점에 좀 더 정확하고 실용적인 시스템의 적용하고자 한다.

  • PDF

Southward Transport of Suspended Sediments during Summer Season in the Coastal Zone off Tae-An Peninsula, West Coast of Korea (하계동안 한국 서해 태안반도 연근해에서 부유퇴적물의 운반양상)

  • Choi, Jin-Yung;Park, Yong-Ahn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3 no.1
    • /
    • pp.45-52
    • /
    • 1998
  • The transport of suspended matter was interpreted in the coastal zone off Taean Peninsula during the summer (June) in 1996. Coastal waters were homogenous in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hereas offshore waters were characterzed by the strong thermocline. Mixing between coastal and offshore waters are negligeable, largely lessened, due to the existence of strong tidal front between the two water masses. In the offshore area, less saline coastal waters from the Kyunggi Bay are considered to be transported southward along the mid-depth layer of thermocline. Concentration of suspended matters was higher than 5 mg/l in the northern coastal area near the Kyunggi Bay, but generally less than 2 mg/l in the offshore area. Less saline waters along the mid-depth layer in the offshore area sustain maximum turbidities throughout the water column. Therefore suspended matters supplied from the coastal area of Kyunggi Bay are considered to be transported southward by the advective movement of less saline coastal waters. Mean particle size of the suspended matters shows 2~9 ${\mu}m$. Coarse grains (mean size larger than 7 ${\mu}m$) are predominant in the less saline coastal waters extending to the offshore mid-depth waters. Such size distributions of suspended matters togethe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are considered to be an indicator for the southward movement of suspended matters derived from Kyunggi Bay.

  • PDF

The Effect of Geosynthetic Mulching Mat on Surficial Soil Slope Stabilization (토목섬유 식생매트를 이용한 흙사면의 포토안정화)

  • 안태봉;조삼덕;한운우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7 no.3
    • /
    • pp.51-5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종자와 비료, 부직포 지오텍스타일, 마 네트로 구성된 토목섬유 식생매트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식생매트를 흙 사면에 설치한 결과 사면의 식생성장과 사면안정에 긍정적인 효과를 얻었으며 이것은 실물시험을 통하여 강우와 사면에서의 유출수량, 부유물질, 토사침식량 등을 8개의 시험구에 식생매트를 분석하였다. 유출수량은 모든 시험구에서 강우량이 클수록 증가하였으며 식생매트를 설치한 곳이 안한 곳보다 유출수량이 작았으며 총부유물질은 유출수량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식생매트는 흙 침식과 부유물질의 이동을 감소시켜 흙사면의 안정에 매우 유익하다. 또한 식생성장환경을 개선하며 특히 가뭄시에 성장에 매우 효과적이다.

  • PDF

Sediment Material Contents and Settling Velocity of Particle Material in the Constructed Wetland in Sookcheon in the Cachment of Daecheong Reservoir (대청호 유역 소옥천 인공습지에서 부유물질 침강속도 및 퇴적물의 물질함량)

  • Je-Chul Park;Dong-Sup Kim;Kwang-Soon Choi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5 no.3
    • /
    • pp.244-250
    • /
    • 2022
  • The changes in COD, TOC, T-P, and T-N concentrations were investigated for 2 years in the constructed wetland of Sookcheon, which was installed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Daecheong reservoir in South Korea. In order to evaluate the pollution level of sediments in the wetland, settling velocity of particulate material (4 times) and sedimet material contents (6 times) were measured. COD and TOC concentrations increased slightly as they passed through wetlands, and T-N and T-P concentration tended to decrease. The material content (COD, T-P, T-N) of aquatic plants was higher in floating-leaved and free-floating macrophytes than emergent macrophytes.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sedimentation rate of suspended materials, most of the suspended materials introduced into constructed wetlands were sedimented at a rapid rate in the first sedimentation site. In addition, sediment pollution of T-P and T-N in constructed wetland was in severe pollution. The sediments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T-P and T-N were eluted by physical and chemical environmental changes, which is likely to act as internal pollution sources in wetl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