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총함량

검색결과 6,390건 처리시간 0.03초

어린이 치약의 총 불소 함량과 용해성 불소 함량의 평가 (Evaluation of Total and Soluble Fluoride Concentrations in Ten Toothpastes for Children)

  • 박나경;송지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35-24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판매되는 어린이 치약의 총 불소 함량을 측정하여 이를 제조사에서 표기한 불소 함량과 비교하였으며, 총 용해성 불소 함량을 측정하여 총 불소 함량과 비교하였다. 치약들은 맹검 시험을 위해 알파벳을 이용하여 암호화 되었다(A-J). 총 불소 함량의 측정을 위해 각 치약들은 증류수에 희석되었다. 총 용해성 불소 함량은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채득하여 측정되었다. 각 치약들의 불소함량은 불소이온전극이 연결된 이온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10개의 제품 중, 9개는 제조사에서 표기한 불소 함량과 유사한 총 불소 함량을 보였다. 한 개의 제품은 제조사에서 표기한 불소 함량보다 적은 양의 총 불소 함량을 보였다. 모든 제품들은 총 불소 함량과 비슷한 정도의 총 용해성 불소 함량을 보였다.

김치재료 및 김치의 식이섬유와 조섬유 함량연구 (A Study ion the Contents of Dietary Fibers and Crude Fiber in Kimchi Ingredients and Kimchi)

  • 박건영;하정옥;이숙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9-75
    • /
    • 1996
  • 배추김치 재료 및 김치의 총 식이 섬유(수용성 및 불용성) 함량 측정과 조섬유 함량을 측정하여 김치의 실제 이용 식이섬유 함량을 섬유소로 알려진 조섬유 함량과 비교확인하였다. 김치재료 중 $마늘(22.3\pm1.3%)이$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가장 높았고 $고춧가루(31.7\pm0.1)는$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가장 많았다. 김치 재료의 총 식이섬유 함량은 건조물단 19.1~39.1%로 $고춧가로(39.1\pm0.6%)가$ 가장 높았다. 김치는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수용성 식이섬유 보다 2배 정도 많았고 생김치와 $5^{\circ}C에서$ 3주 발효한 김치의 총 식이섬유 함량은 각각 $20.7\pm0.1%와$ $24.0\pm0.1%로$ 적당히 익은 김치의 식이섬유 함량이 높았다. 김치재료의 조섬유 함량은 총 식이섬유 함량과 크게 차이가 있었는데 마늘은 $1.3\pm0.1%로$ 가장 낮았고 고춧가루는 $20.5\pm0.7%를$ 나타내었다. 김치의 조섬유 함량은 식품성분표에서의 함량과 비숫하여 신선물당 생김치는 $0.7\pm01%,$ 3주 김치는 $0.9\pm0.1%였으나$ 건조물당은 생김치 $8.2\pm0.5%,$ 3주 김치는 $9.3\pm0.2%로$ 총 식이섬유 함량의 1/2~1/3 정도이었다.

  • PDF

건조 고등어 섭취가 마우스의 간 및 신경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ake of dried mackerel on fatty acid compositions in liver and nervous tissue)

  • 최형주;김경근;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46-55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n-3계 지방산이 풍부하게 함유된 고등어를 기존의 열풍건조기의 단점을 보완하고 높은 온도에서 손실되는 영양소를 막기 위해 저온진공건조기를 도입하여 건조시킨 후, 건조고등어의 섭취에 의한 간 및 신경조직에서의 지방산 조성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간 지방산 조성의 경우, 고등어군의 총 n-6 지방산 함량은 두 군에서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고등어군에서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 N-3 계열 지방산 중에서 특히 DHA의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229% 증가하였다(p<0.05). 대뇌 피질의 지방산 조성의 경우, 고등어군의 총 monounsaturated 지방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총 n-6 지방산의 함량은 감소하였다(p<0.05). 반면 총 n-3 지방산은 대조군에 비해 12%로 증가하였고 그 중에서 22:5n-3와 DHA의 함량은 고등어군에서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p<0.05). 소뇌의 지방산 조성의 경우, 총 지방산 함량과 총 n-6 지방산의 함량이 고등어군에서 대조군보다 감소하였고,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두 군 간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n-3계 지방산중 22:5n-3의 함량은 200%로 증가하였다(p<0.05). 망막의 지방산 조성의 경우, 고등어군의 총 n-6 지방산의 함량은 대조군보다 감소하였으나,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n-3계 지방산 중에서 20:5n-3과 22:5n-3이 각각 200%, 67%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n-3 지방산을 많이 함유한 건조 고등어 식이는 간 및 신경조직의 총 n-3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켰고, 특히 간, 대뇌 피질에서의 DHA의 함량을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건조 고등어 섭취는 뇌의 DHA 함량을 증가시켰으므로 향후 공간 기억력 테스트를 행하여 고등어 섭취에 의한 뇌 기능 개선 효과와 뇌의 DHA 함량 증가와의 상호 연관성에 대하여 검토할 예정이다.

곰취(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와 곤달비(L. stenocephala (Maxim.) Matsum. & Koidz.) 온수추출물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warm water extract from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and L. stenocephala (Maxim.) Matsum. & Koidz.)

  • 황교정;변지희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9-119
    • /
    • 2018
  • 국화과(Compositae) 다년생 초본인 곰취속(Ligularia)은 국내에 약 9종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중 곰취 (L. fischeri (Ledeb.) Turcz.)와 곤달비 (L. stenocephala (Maxim.) Matsum. & Koidz.)는 잎을 생체로 식용하는 대표적인 산채자원으로 최근 웰빙 채소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곰취와 곤달비를 비롯한 다양한 산채자원에 대한 생리활성 연구가 다수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 기간에 수확한 국내 각 지역에서 재배 생산되는 곰취와 곤달비의 온수추출물($45^{\circ}C$)을 대상으로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 비교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Folin-Ciocalteu법으로 측정하였고, 8.08-19.06 mg gallic acid equivalent (GAE)/g dry weight의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Aluminum chloride법으로 측정하였으며, 4.01-18.91 mg quercetin equivalent(QE)/g dry weight 범위에서 값이 확인되었다. 통계 분석 결과, 총 페놀함량은 곰취와 곤달비 종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폴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며 곤달비의 평균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총 페놀함량에서는 곰취와 곤달비 모두 재배 지역 간에 차이를 보였으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곰취 개체(지역) 간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곰취와 곤달비 외 기타 산채자원들을 활용한 건강기능식품 개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추후 구체적인 생리활성 연구와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한 두 종간 명확한 기원정립 연구가 함께 이루어진다면 재배 생산 유통 안전성을 높여 농가 소득 증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만감류 5종(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카라향)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5 Types of Late Maturing Citrus (Citrus hybrid 'Shiranuhi', Citrus hybrid 'Setoka', Citrus hybrid 'Blanco', Citrus hybrid 'Kanpei', Citrus 'Kara'))

  • 서지원;장미경;송원섭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66-66
    • /
    • 2023
  • 만감류 5종(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카라향)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관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DPPH radical 소거 활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만감류 5종(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카라향)의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레드향 과피 처리구(93.97mg/g)에서 가장 높았으며, 천혜향을 제외한 모든 만감류 품종 부위들 가운데, 과피 처리구에서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만감류 5종(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카라향)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한라봉 전체 처리구(23.65mg/g)에서 가장 높았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30mg/g 함량보다 낮은 결과를 나타내어 총 폴리페놀 함량 대비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현상은 만감류 5종(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카라향) 가운데 과피 두께의 비율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만감류 5종(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카라향)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의 경우, 한라봉 전체(81.01%)를 시작으로 한라봉 중피(73.13%), 한라봉 외피(63.94%) 처리구에서만 DPPH radical 함량이 EDA 50% 이상 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총 폴리페놀 함량(mg/g)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g) 모두에서 높은 수치를 기록했던 처리구들 가운데 한라봉 중피(79.75, 23.16), 한라봉 전체(75.51, 23.65) 처리구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인 반면, 레드향 과피(93.97, 20.59)의 활성은 49.26%로 DPPH radical EDA 50%에 미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과피와 과육의 에센셜 오일과 성분의 차이에서 기인된 것으로 추측된다.

  • PDF

재래귤 5종(당유자, 유자, 청견, 하귤, 팔삭)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5 Types of Conventional Citrus (Citrus grandis Osbeck, Citus junos, Citrus unshiu × sinensis, Citrus natsudaidai, Citrus × hassaku))

  • 서지원;장미경;송원섭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65-65
    • /
    • 2023
  • 제주도에서 재배되어 온 재래귤 5종(당유자, 유자, 청견, 하귤, 팔삭)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DPPH radical 소거 활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5종 재래귤(당유자, 유자, 청견, 하귤, 팔삭)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 가운데 당유자의 외피(244.84mg/g)와 중피(200.70mg/g) 처리구에서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총 폴리페놀의 함량 측정에서와 마찬가지로 5종 재래귤(당유자, 유자, 청견, 하귤, 팔삭)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 가운데 당유자의 외피에서 102.12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청견과 하귤, 팔삭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폴리페놀 처리구와 같이 당유자 처리구보다 적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의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의 결과에 같은 경향으로 5종 재래귤(당유자, 유자, 청견, 하귤, 팔삭)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 가운데 당유자의 외피(79.39%)와 중피(70.73%)에서 가장 양호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당유자의 두꺼운 과피 구조인 외피와 중피에 에센셜 성분인 limonene, myrcene, β-ocimenes 등과 같은 향기성분들의 영향으로 생각되어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검정곰팡이의 분화(分化)에 따른 총탄수화물(總炭水化物) 및 트레하로즈량(量)의 변동(變勳)에 대한 연구(硏究) (Studies on Carbohydrate Accumulation in Aspergillus niger During the Differentiation)

  • 김신숙;김종협
    • 한국균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93-202
    • /
    • 1982
  • 검정 공팡이의 분화에 따른 균체내의 총 탄수화물 및 trehalose의 함량변화를 연구하였다. 검정 곰팡이를 Czapeck-Dox액체배지로서 진탕배양과 정치배양법에 의해 배양하여 검정 곰팡이의 각 분화과정에서의 균체내의 총 탄수화물 및 trehalose함량을 Trevelyan및 Harison(1955)의 탄수화물분화 및 정량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검정 곰팡이가 포자를 형성할 때에 총 탄수화물의 양이 증가하였고 trehalose는 특히 포자형성 직전에 극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배지내의 성분함량의 결핍에 따른 탄수화물량의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본 실험에 사용된 Czapeck-Dox 배지내의 질소원, 인산원, glucose 등의 함량의 제한시 검정 곰팡이 분화과정의 각 단체에서의 탄수화물 및 trehalose함량 변화를 실험하였다. 질소원의 함량을 제한할 때, 총 탄수화물과 trehalose양이 기본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보다 증가하였다. 인산원 제한시도 총 탄수화물과 trehalose양이 증가하였으나, 질소원 제한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보다는 뚜렷하지 못했다. 굴루코즈 함량제한시는 총 탄수화물 및 trehalose양의 변동을 관찰할 수 없었다. 이들 총 탄수화물 및 trehalose의 함량변동은 검정 곰팡이의 분화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국내 야생수집 버섯의 아미노산 함량 분석 (The amino acid contents of wild mushrooms in Korea)

  • 안기홍;조재한;한재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7-114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집한 15종의 야생버섯류를 식용가능 및 약용가능, 식독불명 또는 독버섯으로 분류하여 아미노산 성분함량을 분석하였다. 식용가능한 야생버섯들의 총 아미노산 성분함량의 범위는 866.4 ~ 1,220.5 mg/kg이었으며, 필수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301.4 ~ 490.2 mg/kg이었다. 그 중 흰우단버섯(OK811)에서 다량의 류신(Leu), 페닐알라닌(Phe), 시스테인(Cys), 글루탐산(Glu) 함량을 보이며 식용가능한 야생버섯류 중에서 총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가장 높았다. 약용가능한 버섯류의 총 아미노산 성분함량의 범위는 802.6 ~ 1,233.7 mg/kg이었으며 필수 아미노산 총 함량의 범위는 263.5 ~ 412.8 mg/kg이었다. 그 중 간버섯속(OK1071)의 총 아미노산 및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약용가능한 야생버섯류 중에서 가장 높았다. 특히 비필수 아미노산 성분인 시스테인(Cys)은 204.1 mg/kg가 검출되어 약용가능 야생버섯 뿐만 아니라 식용가능 야생버섯류에 비하여 훨씬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독버섯 또는 식독불명 버섯류의 총 아미노산 함량 범위는 681.8 ~ 1223.4 mg/kg 이었으며,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의 범위는 229.1 ~ 442.8 mg/kg이다. 독버섯으로 알려진 노랑다발(OK826)은 이들 버섯류 중에서 가장 높은 총 아미노산 함량을 보였으며, 알기닌(Arg)은 109.2 mg/kg로 식용 또는 약용가능한 버섯류들에 비하여 높게 검출되었고 페닐알라닌(Phe)은 120.6 mg/kg로 약용가능한 야생 버섯류들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야생버섯을 이용한 신품종 또는 산업적 이용 등을 위한 우수 버섯자원 선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66품종 나물콩과 콩나물의 isoflavone 분석 (Analysis of Isoflavones for 66 Varieties of Sprout Beans and Bean Sprouts)

  • 김연희;황영현;이혜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68-575
    • /
    • 2003
  • Isoflavone함량이 높은 우량나물콩 품종과 우량 콩나물을 선별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나물콩 66품종과 이들로 재배한 30종 콩나물의 isoflavone함량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66종 나물콩의 총 isoflavone의 평균 함량은 $1209.0{\pm}470\;mg/kg$, 함량범위는 $247{\sim}2,256\;mg/kg$이었고 daidzein과 genistein이 약 1:1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었다. 66개 나물콩 품종 중 총 isoflavone 함량이 높은 상위 10개 품종은 KLG10618(2256 mg/kg), KLG11118(2233 mg/kg), KLG10600(1984 mg/kg), KLG10022(1982 mg/kg), KLG10855(1903 mg/kg), 소호콩(1843 mg/kg), KLG11078(1809 mg/kg), KLG11051(1792 mg/kg), KLG10783(1781 mg/kg) 그리고 KLG10873(1762 mg/kg)이었다. 시료 나물콩의 종피색별 총 isoflavone평균 함량은 녹색종에서 가장 높았고 종자크기별 층 isoflavone 평균 함량은 중립종($16{\sim}24\;g$/100립)에서 높은 편이었다. 30종 콩나물의 총 isoflavone 평균 함량은 1898.3 mg/kg이었고, 함량범위는 $768{\sim}3,343\;mg/kg$이었으며, 소호콩(3343 mg/kg), 명주나물콩(2943 mg/kg), KLG11051(2676 mg/kg), KLG11118(2650 mg/kg), KLG10650(2562 mg/kg) 순으로 높았다. 콩에서 콩나물로 재배시 총 isoflavone함량은 평균 1.4배 증가하였다. 콩나물의 총 isoflavone의 함량은 재배일수에 따라 증가하여 5일째에 가장 높은 함량 나타내었다. 콩나물의 부위별 총 isoflavone 함량은 뿌리, 자엽, 배축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daidzein의 함량은 뿌리에서 가장 높았고 genistein의 함량은 자엽에서 가장 높았다.

송충이 단백질의 아미노산과 지방산 조성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Compositions of Amino acid and Fatty acid of Pine caterpillar(Dendrolimus spectabilis))

  • 차월석;신주연김연순
    • KSBB Journal
    • /
    • 제7권3호
    • /
    • pp.186-190
    • /
    • 1992
  • 송충이의 유리 아미노산, 총 아미노산 조성과 총 지방산 조성을 규명하기 위해 Gas chromarography와 HPLC를 사용하여 분리 정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지방 함량은 21.00%이고, 조단백질 함량은 58.47%로 조성되어 있다. 유리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3.65g/100g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유리 아미노산 중에서 필수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1.31g/100g으로 35.89%를 차지하고 있다. 총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41.20g/100g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총 아미노산 중에서 필수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14.75g/100g으로 35.80%를 차지하고 있다. 총 지방산 조성은 $C_{18}$=26.81%로 제일 많이 함유되어 있고, $C_{16}$=19.09%, $C_{18:1}$=18.74%, $C_{18:3}$=15.33%, $C_{16:1}$=7.29%, $C_{20}$=5.21%순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불포화 지방산이 45.88%이고, 필수 지방산은 19.73%를 차지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