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총페놀함량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6초

삼지구엽초의 부위별 추출물에 따른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Epimedium koreanum Nakai)

  • 이성현;장미란;김건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88-19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삼지구엽초의 뿌리, 줄기, 잎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부위를 70% 에탄올 용액을 이용하여 얻은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미오글로빈 보호 효과, FRAP를 추출 농도별(1, 2, 10, 20 mg/mL)로 측정하였다. 부위별 총페놀 함량의 경우 뿌리(2.468 mg), 잎(2.307 mg), 줄기(2.277 mg) 순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뿌리(2.071 mg), 잎(1.875 mg), 줄기(0.616 mg)로 순으로 측정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미오글로빈 보호 효과 그리고 FRAP 실험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적은 줄기에 비하여 잎과 뿌리의 추출물의 활성이 좋았고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의 경우 뿌리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이는 총페놀 함량과 총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항산화 활성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삼지구엽초는 주로 잎 부분이 식용으로 쓰이고 있으며 최근 지상부만을 제한적으로 식품원료로 허용하고 있는데 본 연구를 통하여 지상부 외에 지하부에서도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야관문 잎 페놀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미백 효과 (Effect of Phenolic Extract of Dry Leaves of Lespedeza cuneata G. Don on Antioxidant Capac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 조은정;주현미;정창호;엄석현;허호진;김대옥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4호
    • /
    • pp.358-365
    • /
    • 2011
  • 야관문은 당뇨병, 설사, 여러 염증성 질병의 치료에 널리 이용되어진 약초로서 아시아 지역에서 흔히 자라는 식물이다. 야관문의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능과 tyrosinase 활성 저해능 평가를 통한 미백효능을 연구하고자 80%(v/v) 수용성 메탄올을 이용한 페놀 추출물과 이 추출물로부터 극성이 서로 다른 5개 분획층(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물)의 기능성을 평가하고자 총페놀 함량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고, 아울러 항산화능을 ABTS와 DPPH radical 소거능을 이용하여 정량 평가하였다. 건조 야관문 잎 1g의 추출물은 총페놀 함량이 199.4mg GAE,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이 60.4mg CE, 항산화능은 416.6mg VCE(ABTS 분석)와 366.8mg VCE(DPPH 분석)을 보였다. 극성이 서로 다른 5개의 분획층에서 ethyl acetate 분획층이 총페놀 함량(240.8mg GAE), 총플라보노이드 함량(90.4mg CE), 그리고 항산화능(523.4mg VCE(ABTS 분석), 329.5mg VCE(DPPH 분석))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을 가졌다. 멜라닌 생성 초기 단계에서 가역적 산화반응에 관여하는 tyrosinase 활성 억제능을 평가하는 미백 실험에서는 야관문 페놀 추출물과 chloroform 분획층이 tyrosinase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본 연구는 야관문에 생리활성을 부여하는 페놀성 화합물의 항산화능 및 미백효과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겠다.

'청도반시' 과실의 성장 중 일반 및 폴리페놀 성분의 변화 (Change in the Polyphenol Content of Cheongdobansi Persimmon Fruit during Development)

  • 이윤래;정헌식;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3-17
    • /
    • 2011
  • 떫은감 품종인 '청도반시' 과실의 일반 성분, 총페놀 및 페놀산 함량과 DPPH유리기 소거능을 7월부터 10월까지 1개월 간격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성장 중 감의 수분, 조단백질 및 조섬유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조지방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조회분 함량은 9월 이후에 증가함을 각각 나타내었다. 총페놀 함량은 성장에 따라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페놀산으로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p-coumaric acid 및 salicylic acid 등이 확인되었고, 이들의 함량은 성장 중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DPPH유리기 소거능은 성장 시기가 길어짐에 따라 감소됨을 보였다. 이로써 '청도반시' 과실의 일반 및 페놀성 물질 함량과 항산화성은 성장 시기에 따라 달라지며, 미성숙 과실도 활용소재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다.

추출조건에 따른 삼백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성분의 변화 (Change of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oxidant Compounds in Saururus chinensis by Extraction Conditions)

  • 김숙경;반소연;김준성;정신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89-92
    • /
    • 2005
  • 삼백초 지상부의 추출조건을 설정하고자 추출용매 및 시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추출용매 조건은 4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할 때로 나타났으며, 이때, 총수율, 전자공여능, 총페놀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3.50%, 83.50%, 2.60 mg/ml 및 2.09 mg/ml으로 나타났다. 최적의 추출 시간은 4시간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총수율, 전자공여능,총폐놀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2.79%, 71.13%, 2.83 mg/ml 및 2.16 mg/ml으로 나타났다. 삼백초 지상부를 40% 에탄을 추출물로 4시간 추출하였을때, quercetin 함량은 360.13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quercetin 함량은 1379.54 mg/100 g으로 나타났다. 삼백초 지상부를 이용하여 추출조건을 설정한 결과 40% 에탄올을 이용하여 4시간 추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방법에 따른 복령의 색도 및 화학성분의 변화 (Changes in Color Value and Chemical Components of Hoelen by Various Drying Methods)

  • 지재형;이현동;정신교;최종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75-580
    • /
    • 1999
  • 복령은 온도와 풍속, 온도와 방사거리를 변화시켜 열풍건조와 원적외선건조방법으로 건조함으로써 건조조건에 따른 색도, 갈변도, 총페놀함량, 전자공여능 등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색도는 열풍건조시료에서 건조온도와 풍속이 증가할수록, 원적외선건조시료에서 건조온도는 증가하고 방사거리가 짧아질수록 ${\Delta}L$, ${\Delta}a$, ${\Delta}E\;value$는 증가하였고, ${\Delta}b\;value$는 감소하였으며 그 변화폭도 커졌다. 그리고, 갈변된 정도를 알 수 있는 추출물의 흡광도는 색도 변화와 같은 양상을 보였다. 복령의 총페놀함량은 원적외선 시료가 열풍건조시료보다 낮은 함량을 나타냈지만 전체적으로 시판품의 함량보다는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은 온도, 풍속과 방사거리에 따른 각 구간별 차이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원적외선건조보다는 열풍건조로, $50^{\circ}C$의 낮은 건조온도와 0.5 m/s의 느린 풍속으로 건조할 때 품질에 영향을 주는 색도변화와 화학성분함량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원적외선 열원을 고온, 장시간 사용할 경우 품질손실은 매우 크게 나타났다.

  • PDF

솔잎 분말 첨가 사료가 계육의 품질 및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Pine Needle Powder on Meat Qua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cken Meat)

  • 박창일;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47-254
    • /
    • 2011
  • 본 시험은 육계 사료에 솔잎 분말을 0, 0.3, 0.6 및 0.9%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계육의 pH, 총페놀함량, 전자공여능, TBARS, WHC, 전단력, 육색, 관능평가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솔잎 분말을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솔잎 분말 0.3% 급여구는 T1, 솔잎 분말 0.6% 급여구는 T2, 그리고 솔잎 분말 0.9% 급여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솔잎 분말을 급여한 계육의 pH, TBARS는 솔잎의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낮아지는 결과(P<0.05)를 보이므로 솔잎 분말의 급여는 지방산화 지연으로 계육의 저장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총페놀함량과 전자공여능은 대조구보다 솔잎 급여구에서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솔잎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P<0.05). 계육의 육색 중 CIE $L^*$값은 대조구보다 솔잎 분말 급여구에서 낮아졌으며(P<0.05), CIE $a^*$값은 솔잎 분말의 급여에 의해 증가되어 솔잎의 급여는 산화를 지연시키는 결과이었다. 지방산 조성 중 oleic acid는 솔잎 급여구에서 증가하였고(P<0.05), USFA/SFA는 증가하는 경향이나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솔잎 분말을 육계에 급여하면 pH와 TBARS가 낮아지고, 총페놀함량과 전자공여능이 증가되어 계육의 저장성 개선에 유익하게 활용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포도씨의 총페놀 성분, 항산화능 및 아질산염소거능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 예측 (Prediction of the Optimum Conditions for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of the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tive and Nitrite-scavenging Abilities of Grape Seed)

  • 이은진;김정숙;김현구;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46-551
    • /
    • 2011
  • 포도씨에 함유된 항산화 및 아질산염소거성분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 최적 추출조건을 예측하고자, 추출조건(microwave power 0~120 W, 에탄올 농도 0~100%, 추출시간 1~5 min)을 독립변수로 하고 조건별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 항산화능 및 아질산염소거능을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 분석함으로써 최적 추출조건을 예측하였다. 도출된 회귀식의 $R^2$는 0.8024-0.9498 범위로 나타났다. 추출물 기능성분들의 최대 예측값과 최적 추출조건은 총페놀 함량의 경우 3.19%(microwave power 142.32W, 에탄올농도 44.30%, 추출시간 4.23 min)와 항산화능의 경우 1.22(84.44W, 56.60%, 3.28 min)로 나타났다. 그리고 pH 1.2~3.0에서 99.5% 이상의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보인 추출물의 최적 추출조건 범위는 microwave power 30.80~106.58W, 에탄올 농도 49.32~55.18%, 추출시간 3.72-4.58 min으로 예측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총페놀 함량과 항산화능은 높은 상관성을 보이면서 microwave power에, 아질산염소거능은 에탄올 농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른 배 과실의 최소가공 특성 (Minimal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Asian Pears in Relation to Storage Duration)

  • 성종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72-277
    • /
    • 2003
  • ‘신고’ 배의 저장기간에 따른 최소가공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원형 과실의 저장 전과 $0^{\circ}C$에서 4개월 저장 후에 슬라이스를 제조하여 1$0^{\circ}C$에서 보관하면서 호흡량, 전해질 유출량, 총페놀 함량, 갈변도, 비타민C 함량 및 총균수를 각각 조사하였다 배 슬라이스의 제조 직후 무저장 과실보다 저장 과실로 만든 슬라이스에서 전해질 유출량, 총페놀 함량 및 갈변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비타민C 함량은 낮았다. 배 슬라이스의 보관 중에는 무저장 과실에 비해 저장과실로 제조한 슬라이스에서 호흡량이 높았으며 전해질 유출량, 갈변도 및 총균수가 보다 빠르게 증가하였고 총페놀함량은 보다 빠르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원형배의 저장기간이 최소가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최소가공품의 제조 및 품질관리 인자로 원형 과실의 저장기간도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