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점 위치 파악

Search Result 5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텔레매틱스 산업발전을 위한 표준화 추진 방안

  • 이상건
    •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Review
    • /
    • v.11 no.4
    • /
    • pp.56-62
    • /
    • 2004
  • 현재 각광받고 있는 텔레매틱스 서비스는 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자동차 내 공간을 대상으로 다양한 정보제공서비스를 구현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핵심적인 정보는 실시간 교통정보로서 이를 통해 현재의 위치와 앞으로의 모바일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실제 텔레매틱스 서비스 수요자를 대상으로 한 수요조사에서도 가장 높은 만족도와 선호도를 나타내고 있다. (중략)

  • PDF

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beam path visualization using ultrasound imaging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고강도 집중 초음파 빔 시각화)

  • Song, Jae Hee;Chang, Jin Ho;Yoo, Yang Mo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9 no.1
    • /
    • pp.16-23
    • /
    • 2020
  • In 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HIFU) treatment, effective localization of HIFU focus is important for developing a safe treatment plan. While Magnetic Resonance Imaging guided HIFU (MRIgHIFU) can visualize the ultrasound path during the treatment for localizing HIFU focus, it is challenging in ultrasound imaging guided HIFU (USIgHIFU). In the present study, a real-time ultrasound beam visualization technique capable of localizing HIFU focus is presented for USIgHIFU. In the proposed method, a short pulse, with the same center frequency of an imaging ultrasound transducer below the regulated acoustic intensity (i.e., Ispta < 720 mW/㎠), was transmitted through a HIFU transducer whereupon backscattered signals were received by the imaging transducer. To visualize the HIFU beam path, the backscattered signals underwent dynamic receive focusing and subsequent echo processing. From in vitro experiments with bovine serum albumin gel phantoms, the HIFU beam path was clearly depicted with low acoustic intensity (i.e., Ispta of 94.8 mW/㎠) and the HIFU focus was successfully localized before any damages were produced.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proposed ultrasound beam path visualization method can be used for localizing the HIFU focus in real time while minimizing unwanted tissue damage in USIgHIFU treatment.

An ambient display for hearing impaired people (청각 장애인을 위한 소리 시각화 시스템)

  • Kim, Dae-Seok;Lee, Tae-Wha;Lee, Dong-Man;Park, Jin-Ah;Hahn, Min-S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46-51
    • /
    • 2006
  • 청각 장애인은 집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소리나 가전 제품의 신호를 감지하지 못하므로 생활의 불편을 상당히 느끼고 있다. 이러한 사람들을 위해 소리 정보를 시각 정보로 변경하여, 사용자들의 시야에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집이라는 환경에서 사용자의 위치와 오리엔테이션 정보를 습득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시야에 들어오는 범위에 방해되거나 불편하지 않게 표시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프로젝터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하고, 사용자를 따라다니며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기존 방법의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위치 센서로 사람의 위치와 방향을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가 현재 바라보는 곳에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3D 모델로 제작된 집의 구조를 이용하여, 프로젝터의 방향과 초점 제어를 사전에 계산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에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의 PDA 나 PC 모니터를 이용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보다 사용자들이 정보를 인지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좀더 빠르고 이 방법을 선호하기 때문에, 청각 장애인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적합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al-time Augmented Reality Building Information System Combined with 3D Map (3D 지도와 결합된 실시간 증강현실 건물 안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im, Sang-Joon;Bae, Yoon-Min;Choi, Yoo-Joo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4 no.4
    • /
    • pp.39-54
    • /
    • 2018
  • Recently, augmented reality(AR) based building information applications using a smart phone provide information in the static form irrespective of the distance between a user and a target building. If many target buildings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discrimination of information is reduced due to overlapping information objects.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intuitively grasp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in the previous AR-based applications. In this paper, to solve these limitations, we have designed and implemented a novel building information system in which the location and size of information objects are adaptively displayed according to locations of a user and target buildings, and which allows users to intuitively understand their location by providing a 3D map that displays the user's location and all target buildings within a given distance in real-time. The AR-based building information application proposed in this paper focuses on the building guide in Deoksu Palace in Jung-gu, Seoul.

Effect of Discharge Systems on the Transport of Suspended Sediment Particles (방류형태에 따른 부유사 거동 특성)

  • Oh, Jungsun;Choi, Su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9-62
    • /
    • 2015
  • 하천에서 유사이동 분석이 중요한 이유는, 지속가능한 하천관리의 관점에서 하도, 구조물, 생물 서식처와 수질에 이르기까지 하천 내 유사이동이 미치는 영향이 광범위하기 때문이다. 특히, 유사가 어느 지점에서 유실되며 어느 지점에 쌓이는지와 같은 이슈는 하천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핵심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부유사 입자의 이동은 일상적인 하천의 흐름에서도 대부분 관찰되기 때문에, 그 이동패턴을 파악하는 것이 하천의 효율적 관리에 밑바탕이 된다. 기존연구들에서 주로 연구되었던 부유사 농도 또는 플럭스 산정은 유사에 의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좋은 지표임은 분명하지만, 유사 입자가 움직이기 시작하는 지점이나 침전하는 지점 등 공간적 분석을 위해서는 입자의 움직임에 초점을 맞춘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유사 입자를 추적하는 모의 방법을 이용하여, 개수로에서 부유사 입자를 방류하는 형태가 바뀌었을 때, 입자의 공간적 분포가 어떤 식으로 영향을 받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모의결과와 실험결과를 비교하여 연구의 접근방법이 부유사 이동의 공간적 분석을 위한 타당한 방법을 검증하였으며, 나아가 실험으로 측정하기 어려운 부유사 이동 패턴을 제시하였다. 입자의 방류 위치나 방류 간격 등 부유사 입자의 분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또한 함께 분석하였다.

  • PDF

Gaze Detection System using Real-time Active Vision Camera (실시간 능동 비전 카메라를 이용한 시선 위치 추적 시스템)

  • 박강령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0 no.12
    • /
    • pp.1228-1238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a new and practical method based on computer vision for detecting the monitor position where the user is looking. In general, the user tends to move both his face and eyes in order to gaze at certain monitor position. Previous researches use only one wide view camera, which can capture a whole user's face. In such a case, the image resolution is too low and the fine movements of user's eye cannot be exactly detected. So, we implement the gaze detection system with dual camera systems(a wide and a narrow view camera). In order to locate the user's eye position accurately, the narrow view camera has the functionalities of auto focusing and auto panning/tilting based on the detected 3D facial feature positions from the wide view camera. In addition, we use dual R-LED illuminators in order to detect facial features and especially eye features. As experimental results, we can implement the real-time gaze detection system and the gaze position accuracy between the computed positions and the real ones is about 3.44 cm of RMS error.

Gaze Detection System by Wide and Narrow View Camera (광각 및 협각 카메라를 이용한 시선 위치 추적 시스템)

  • 박강령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8 no.12C
    • /
    • pp.1239-1249
    • /
    • 2003
  • Gaze detection is to locate the position on a monitor screen where a user is looking by computer vision. Previous gaze detection system uses a wide view camera, which can capture the whole face of user. However, the image resolution is too low with such a camera and the fine movements of user's eye cannot be exactly detected. So, we implement the gaze detection system with a wide view camera and a narrow view camera. In order to detect the position of user's eye changed by facial movements, the narrow view camera has the functionalities of auto focusing and auto pan/tilt based on the detected 3D facial feature positions. As experimental results, we can obtain the facial and eye gaze position on a monitor and the gaze position accuracy between the computed positions and the real ones is about 3.1 cm of RMS error in case of Permitting facial movements and 3.57 cm in case of permitting facial and eye movement. The processing time is so short as to be implemented in real-time system(below 30 msec in Pentium -IV 1.8 GHz)

Health and Nutrition Implications of Food Away From Home - Current Trends for Marketing Restaurants - (외식과 관련된 건강 및 영양문제 연구 - 레스토랑 마케팅을 위한 최근 경향 -)

  • Cho, Mi-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 /
    • v.20 no.6
    • /
    • pp.767-776
    • /
    • 2005
  • 미국의 외식산업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로 2005년의 레스토랑 매출은 U.S. GDP의 4%인 4,76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며 약 4.9%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약900,000 레스토랑에서 식사와 간식을 제공하며 또한 레스토랑에서 근무하는 종업원의 숫자도 약 1억 2천만 명에 이르러서 민간부문에서 가장 큰 규모를 나타내고 있다. 미국 내 외식 산업의 환경은 사회변화와 함께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베이비 붐 세대가 장년기에 들어서면서 노인 인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비만과 성인병의 증가로 인해 레스토랑 메뉴의 영양표시에 대한 요구도가 커지고 있다. 또한 외식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인 문제가 관심의 초점이 되면서 레스토랑에서 건강 메뉴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함께 건강지향 고객의 증가로 인해 보다 건강한 외식에 대한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레스토랑의 노력이 어느 때 보다도 필요한 시점이다. 외식산업 시장에서 민족음식(ethnic food)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고객의 보다 다양한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마케팅이 요구되고 있다. 미국 내 외식 시장에서 한식의 위치는 한식의 영양적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낮은 인지도와 전략적 마케팅의 부재로 인해 아직 미약한 실정으로 보인다. 미국 시장 개척을 위해서는 미국의 현재 외식 산업의 추이를 파악하고 그 안에서 한식의 위치를 재정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미국 외식 산업의 현재 추이와 영양과 건강문제가 외식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고 한식의 대미 진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

Location based Service with Temporal Reasoning (시간적 추론이 적용된 위치 기반 서비스)

  • Kim Je-Min;Park Young-Tack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3 no.3
    • /
    • pp.356-364
    • /
    • 2006
  • 'Ubiquitous Computing' is the most important paradigm of the next generation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y. The one of important problems to develop ubiquitous computing service system get hold of relations between times of transfer objects and events of transfer objects. Another problem is what reason transfer-pattern through location data of transfer object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proach to offer temporal-relation service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The first is temporal reasoning in service viewpoint. The second is temporal reasoning to record user's preference. Users have preferences that are closely connected with time. These preferences are recorded at user profile. Therefore, the user profile-based ubiquitous service system can offer suitable service to users.

Non-Prior Training Active Feature Model-Based Object Tracking for Real-Time Surveillance Systems (실시간 감시 시스템을 위한 사전 무학습 능동 특징점 모델 기반 객체 추적)

  • 김상진;신정호;이성원;백준기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1 no.5
    • /
    • pp.23-34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feature point tracking algorithm using optical flow under non-prior taming active feature model (NPT-AFM). The proposed algorithm mainly focuses on analysis non-rigid objects[1], and provides real-time, robust tracking by NPT-AFM. NPT-AFM algorithm can be divided into two steps: (i) localization of an object-of-interest and (ii) prediction and correction of the object position by utilizing the inter-frame information. The localization step was realized by using a modified Shi-Tomasi's feature tracking algoriam[2] after motion-based segmentation. In the prediction-correction step, given feature points are continuously tracked by using optical flow method[3] and if a feature point cannot be properly tracked, temporal and spatial prediction schemes can be employed for that point until it becomes uncovered again. Feature points inside an object are estimated instead of its shape boundary, and are updated an element of the training set for AFH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NPT-AFM-based algerian can robustly track non-rigid objects in real-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