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분자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이달의 과학자 - 서울대 사범대 화학교육과 백명현 교수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2 no.7 s.362
    • /
    • pp.24-25
    • /
    • 1999
  • 서울대 사범대 화학교육과 백명현교수는 요즘 초분자를 이용해 새로운 작품을 만들고 있다. 백교수의 전공은 무기화학으로 초분자소재 화학연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데 이는 거대한 분자를 이용해서 초분자를 만드는 연구로 그녀의 연구결과로는 기억매체로 응용될 수 있는 강자성 물질의 합성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는데에 의미가 있다. 백교수는 이 분자체를 이용해 분자 벽돌담과 분자 벌집들을 합성해냈고 그 모양의 꽃무늬 레이스 같다고 하여 이름을 꽃무늬 레이스 초분자 라고 붙였다.

  • PDF

Self-Assembly of Supramolecular Liquid Crystalline Materials (초분자 액정 자기조립체)

  • 이수림;윤동기;정대환;정희태
    •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 /
    • v.15 no.3
    • /
    • pp.296-302
    • /
    • 2004
  • 최근 분자들의 자기조립 현상을 나노-바이오 소자 개발에 응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응용을 위한 대표적인 자기조립체로는 양친성 계면활성제, 블록공증합체, 콜로이드와 초분자체를 들 수 있다. 대부분의 콜로이드가 구형 모양으로 vander Waals interaction에 의하여 3-D결정 (crystal) 형태의 자기조립구조를 형성하는 반면에, 콜로이드를 제외한 대부분의 자기조립체는 적정 조건에서 액정 (liquid crystals), 결정 (crystal) 및 무정형 (amorphous)을 형성한다. 적용하고자 하는 응용의 범위와 재료의 특성에 따라서 각 상태 (phase)를 이용할 수 있으나, 액정상을 이용하는 것과 결정상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중략)

  • PDF

Thermo-reversible Crosslinking Elastomer through Supramolecular Networks (초분자 네트워크를 이용한 열가역성 가교 탄성체)

  • Bae, Jong-Woo;Oh, Sang-Taek;Kim, Gu-Ni;Baik, Hyen-Jong;Kim, Won-Ho;Choi, Sung-See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45 no.3
    • /
    • pp.165-169
    • /
    • 2010
  • Recently supramolecular network thermo-reversible crosslinking elastomer having flexibility, various functionality, and advantages of thermoplastic elastomer (TPE) such as recycle and easy processbility is introduced. Although thermo-reversible bonds such as hydrogen bond and ionic cluster is recognized as a common technology since 1990, control technology of bonding and dissociation of crosslink in supramolecular network is a recent technology. In this review, characteristics of thermo-reversible crosslinking elastomer having rheological properties of TPE and reinforcing behaviors of thermoset elastomer are summarized.

The First Hyperpolarizability $\beta$ measurement of dipoles and cotupoles by the Hyper-Rayleigh scattering technique (Hyper-Rayleigh scattering(HRS)방법을 이용한 쌍극자와 팔중극자의 1차 초분극율$\beta$측정)

  • ;;;;;Mingjun Piao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07a
    • /
    • pp.104-105
    • /
    • 2002
  • Hyper-Rayleigh scattering(HRS)방법을 이용하여 쌍극자와 새로이 합성된 팔중극자들의 1차 초분극율 $\beta$를 측정하였다. External reference 법을 이용하였고, reference 물질로는 잘 알려져 있는 쌍극자인 PNA를 이용하여 Disperse Red 1과 팔중극자들의 1차 초분극율 $\beta$의 값을 구하였다. 또한 HRS 의 세기뿐만 아니라 이들 물질의 two-photon induced fluorescence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1차 초분극율 $\beta$값은, 먼저 시료로부터 scattering 된 신호를 파장변화에 따른 스펙트럼으로 측정하여 two-photon induced fluorescence를 뺀 순수한 HRS 신호만을 이용하고, 실험에 사용된 물질들은 532nm에서 흡수가 있어 second harmonic generation 신호가 시료에 의해 흡수가 되므로 흡수효과를 식 $I_{2{\omega}}$(obs)= $I_{2{\omega}}$(true) $e^{-{\sigma}lN}$ ---(1)를 이용하여 흡수에 의한 신호의 감소 효과를 보정하여 값을 구했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a dispersion coefficient method using a drone-based spatio-temporal hyperspectral image (드론기반 시공간 초분광영상을 활용한 분산계수 산정기법 개발)

  • Gwon, Yeonghwa;Han, Eunjin;Kim, Dongsu;You, Hojun;Kim, Youngdo;Kwon, Siyoon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12-113
    • /
    • 2021
  •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은 유수의 흐름에 따라 이송되며 혼합된다. 이러한 오염물질의 해석을 위해서는 확산 또는 분산계수 산정이 필요하다. 오염물질의 거동과 관련된 실험적 연구는 방사선 동위원소와 형광성 물질을 이용하여 수행되어 왔으나, 추적자 실험은 많은 비용 및 인력을 요하며, 고정식으로 설치한 계측장비로부터 수집한 시계열 농도자료만을 이용하여 분석하기 때문에 공간적 분포에 대한 자료 취득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하천의 오염물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공간을 이동하는 입자의 관점에서 물리량을 표현하는 Lagrangian 방식보다 특정 위치에서 물리량 변화를 표현하는 Eulerian 방식이 적합하다. 그러나 드론을 활용한 하천원격탐사 연구의 대부분은 이동식 플랫폼으로 활용되어 특정 시간에 공간적 분광특성의 분포 파악이 한정적이며, 동일 지점에서 분광특성의 시간적 변화를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면단위를 측정하는 이동식 플랫폼의 한계를 극복하고 하천 모니터링에 적합한 Eulerian 방식을 적용하기 위하여 CCTV 형태의 고정식 초분광촬영 플랫폼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자연하천에서 형광성물질인 Rhodamine WT를 이용하여 추적자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접촉식 센서를 활용한 농도측정과 동시에 드론과 초분광센서를 활용하여 CCTV 형태의 고정식 초분광영상을 획득하였다. 실험결과 도출된 전통적인 방식의 분산계수 산정과 시공간 초분광영상을 활용한 분산계수 산정을 비교하여 오염물질 거동 분석에 초분광영상 활용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드론기반 시공간 초분광영상 기법을 교량이나 기타 하천구조물에 초분광 센서를 설치하여 CCTV형식으로 활용할 경우, 공단이나 하·폐수 처리장 등의 점오염원이 밀집해 있는 지역에 직접 설치하여 화학사고의 감지 및 오염물질의 유출 확인 및 조류, 부유사 등의 다양한 수질항목의 농도 변화 감지가 가능하고, 수심변화 감지로 장기적으로 활용할 경우 특정 지점에서의 하상변동 조사가 가능하다. 또한, 오염물질의 유출 사고 발생 등의 사람이 직접 접근이 불가능한 지역에 드론을 활용하여 초분광센서를 이용한 오염물질 감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olvent Mediated Hydrogen-bonded Supramolecular Network of a Cu(II) Complex Involving N2O Donor Ligand and Terephthalate (N2O 주개 리간드와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구리(II) 착물의 용매를 매개로 한 수소결합형 초분자 네트워크)

  • Chakraborty, Jishnunil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5 no.2
    • /
    • pp.199-203
    • /
    • 2011
  • The title one-dimensional hydrogen-bonded coordination compound $[Cu^{II}(C_{13}H_{17}N_3OBr)(C_8H_5O_4)]{\cdot}2H_2O.CH_3OH$ has been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by single crystal X-ray diffraction study. The monomeric unit contains a square-planar $Cu^{II}$ centre. The four coordination sites are occupied by a tridentate anionic Schiff base ligand (4-bromo-2-[(2-piperazin-1-yl-ethylimino)-methyl]-phenol) which furnishes an $N_2O$-donor set, with the fourth position being occupied by the oxygen atom of an adjacent terephthalate unit. Two adjacent neutral molecules are linked through intermolecular N-H---O and O-H---N hydrogen bonds and generate a dimeric pair. Each dimeric pair is connected with each other via discrete water and methanol molecules by hydrogen bonding to form a one-dimensional supramolecular network.

Synthesis and Supramolecular Assembly of Ru(II)-Terpyridine Complexes linked with β-Cyclodextrin or Adamantyl Group (β-CD 또는 아다만탄이 결합된 루테늄(II)-터피리딘 착화합물의 제조와 초분자 조립)

  • Park, Dae-Rim;Chung, Yong-Chae;Choi, Kyung-Ho;Kim, Hy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1 no.6
    • /
    • pp.526-535
    • /
    • 2007
  • Ru(II)-terpyridine complexes (8, 9, 11) linked with adamantyl or β-cyclodextrin moieties were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based on their 1H and 13C NMR spectra as well as MS spectra. Ru(II)-terpyridine complexes (8, 11) linked with adamantyl moiety were readily dissolved in aqueous solution via encapsulation by β-cyclodextrin when they were mixed with an equimolar amount of β-cyclodextrin. In the similar way, the adamantane guest of the Ru(II)-terpyridine complexes (8, 11) were encapsulated by β-cyclodextrin moiety of the ruthenium complex 9 to afford supramolecular assemblies in aqueous environment. Formation of assemblies was corroborated by 1H NMR spectrosco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