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등학생관련 자료

검색결과 313건 처리시간 0.025초

안전한 앱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의 수준 분석 (Analysis of the Level of Primary School Students about Secure Apps)

  • 고영해;김종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43-149
    • /
    • 2014
  • 초등학교 3~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스마트기기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려 한다. 스마트기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앱의 보안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고, 초등학생의 스마트기기에 대한 일반적 현황과 사용에 대한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식, 태도, 실천 수준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설문을 통한 자료 조사에서 일반적 현황과 사용 수준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 학교교육에서 실시하고 있는 '스마트기기의 안전한 사용'에 대한 교육효과가 매우 미미함을 보이고 있으며, 스마트기기에 대한 지식과 실천은 폭넓게 인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들에게 적합한 스마트기기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교육 방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초등학생들의 스마트기기 관련 보안 의식이 함양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체탐험캠프에 참가한 초등학생들의 만족도, 지식이해도, 태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 (Follow-up study on educational effect of human body exploration camp for elementary students : Th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academic understanding and attitude for health)

  • 김광환;김지희;박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904-906
    • /
    • 2010
  • 인체탐험캠프의 목적은 청소년들에게 인체와 의학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전달하고 이와 더불어 건강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에 개최된 제11회 인체탐험캠프에 참가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추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만족도, 지식이해도 및 태도 간의 상관관계와 교육효과의 지속 여부를 조사하였다. 설문문항은 참가자의 일반적 특성, 지식이해도 및 태도로 구분하여 개발하였으며, 총 60문항이다. 설문조사는 캠프가 시작하기 직전 및 직후, 그리고 추후(3개월 후)로 나누어 총 3회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참가자 중 초등학생 61명이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초등학생의 지식이해도는 사전 11.34${\pm}$2.79, 사후 17.25${\pm}$2.31, 추후 14.23${\pm}$3.65로 사전과 사후, 사전과 추후를 비교한 결과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p<0.001). 태도 변화는 사전 3.87${\pm}$0.51, 사후 4.03${\pm}$0.49, 추후 3.96${\pm}$0.47로 사전과 사후(p<0.001), 사전과 추후(p<0.05)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캠프에 대한 만족도는 태도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737, p<.001). 그러나 지식이해도와 태도변화 사이에는 통계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인체탐험캠프는 의학 분야의 실험실습 중심의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초등학생들의 인체와 건강에 대한 지식이해도를 향상시켰으며, 긍정적인 태도변화를 유도하였다. 이는 인체탐험캠프가 학생들의 지식향상 뿐만 아니라 건강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확립에도 이바지 할 수 있는 유익한 프로그램이며, 점차 참여대학 및 관련기관시행기관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유아 교구로봇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아와 초등학생 로봇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Robot Education of Young Children and Elementary Students for the Development of Hands-on Robot Program for Young Children)

  • 김상희;김상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859-86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교구로봇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유아와 초등학생의 로봇교육에 대한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유아와 초등학생 로봇교육과 관련된 2006년부터 2016년 5월까지의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총 155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동향, 연구내용, 효과성 검증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주제에서 유아는 통합교육, 태도 및 인식연구, 반응연구 순이며, 초등학생은 프로그래밍 교육, 설계개발 연구, 통합교육 순으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연구방법에서 유아는 관찰연구가, 초등학생은 개발연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효과성 검증에서 유아는 사회적 정서적 관련 연구, 초등학생은 창의성 관련 연구가 많았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유아 교구로봇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유아와 초등학생의 SW교육과 연계하여 로봇교육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HPV 백신 접종의도와 융복합적 관련요인 (Convergence Related Factors and HPV Vaccination Intention for Mothers with Children Elementary School)

  • 오윤정;이은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311-319
    • /
    • 2018
  • 본 연구는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하여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접종의도와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G광역시 소재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 132명으로 자료수집은 2017년 7월 1일부터 2017년 8월 30일까지 이루어졌고, 자료분석은 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대상자의 초등학생 자녀 94.7%가 HPV 백신을 접종하지 않았으며, 그 이유로 백신에 대해 잘 모르거나 부작용에 대한 걱정, 비용부담 등인 것을 나타났다. 대상자의 HPV 백신에 대한 접종태도는 접종의도 중 가장 중요한 예측요인이었고 지각된 행위통제, 주관적 규범도 유의한 예측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HPV 백신에 대한 정확한 지식제공을 통해 접종태도와 실천행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애완동물에 대한 태도와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Pe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pathy Ability)

  • 한아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70-57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애완동물에 대한 태도와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애완동물에 대한 태도와 초등학생의 공감능력의 정도가 성별, 학년별, 사육기간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애완동물을 키운 경험이 있는 대전광역시 초등학교 학생 220명을 대상으로 애완동물에 대한 태도 검사와 공감능력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23에 의해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t-검증, 변량분석이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애완동물에 대한 태도와 공감능력 정도는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완동물에 대한 애정과 상호작용, 애완동물 소유의 즐거움이 공감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애완동물에 대한 태도는 성별, 사육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감능력은 성별, 사육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과 주의집중력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martphone Dependence and Attention)

  • 조은숙;황인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31-143
    • /
    • 2018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과 주의집중력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상남도 김해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 32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4.0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은 자아탄력성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은 주의집중력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과 주의집중력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자아탄력성은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스마트폰 사용의 선용(善用) 교육, 스마트폰 활용과 관련한 가족모델의 정립과 보급,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실천적 노력과 훈련 병행 등의 제언을 하였다.

초등학생(初等學生)의 편비(便秘) 관련요인(關聯要因) (Related Factors of Constip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미순;홍지영;이무식;나백주;이진용;황지혜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1000-1004
    • /
    • 2010
  • 본 연구는 도시지역 1개 초등학교 5 6학년과 농촌지역 일개 군의 2개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도시와 농촌 초등학교 5 6학년의 변비 유병률을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배변행태, 식습관 및 운동 습관 요인, 스트레스 등을 분석하여, 학생들이 바람직하고 올바른 생활습관을 갖도록 하고 학생들의 변비 증상을 개선하고 예방하여 건강증진을 도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된 단면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임의 추출방법에 의하여 선정된 3개 초등학교 5 6학년 재학생 총 58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2009년 10월에 임의로 선정된 3개 학교의 보건선생님을 통하여 연구대상자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대상자 스스로 기입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자가보고에 의한 변비의 유병률은 전체 22.1%로 남학생 16.9%, 여학생 27.0% 이었으며, 주중 3회 미만의 배변횟수를 변비로 정의하였을 경우 변비 유병률은 15.7%로 남학생 11.6%, 여학생 19.6%로 여학생의 변비 발생률이 높았다. 거주지역별로는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대상자가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대상자보다 변비 발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비발생과 운동습관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운동을 하지 않는 대상자가 변비 유병율이 높게 나타났다. 변비 분류에 의한 배변습관에서는 변비군에서 배변 시간이 10분 이상이 많았으며, 시험기간 중 변비경향 또는 변을 보지 못 한다가 정상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변비군의 치료관련 행태에서는 18.3%가 변비치료를 위해 변비약을 복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배변 형태에 변화가 있을 경우 상담자로는 가족 또는 혼자 판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변비 분류에 의한 배변 관련 증상의 분포는 변비군에서 항문통증 경험, 항문 출혈 경험 등이 정상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주중 3회 미만의 배변횟수를 변비로 정의 하였을 경우와 배변 관련 증상의 분포는 변비군에서 항문통증 경험, 배변 후 상쾌하지 못함 등이 정상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교에서의 배변여부는 변비군에서 학교에서 배변을 하는 비율이 정상군보다 높았다. 변비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변비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성, 학년, 거주지역에서 변비발생의 위험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주 3회 미만의 배변횟수를 변비라고 정의할 경우, 변비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성, 학년, 모직장 유무, 운동이 변비발생의 위험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배변 행태, 식습관, 스트레스, 학교에서의 배변습관 등을 조사해 본 결과 상당수 학생들의 배변 실태가 좋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바람직하지 않은 식습관, 운동 부족, 과다한 스트레스 등은 학생들의 변비 발생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변비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매일 적절한 운동을 하고 인스턴트음식과 패스트푸드섭취 등을 줄이고 올바른 생활습관 및 스트레스 관리 등이 필요하며 부모들의 자녀에 대한 관심이 더욱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초등학교부터 변비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만들고, 실시하여야 하며 또한 보건교육을 통하여 건강한 생활습관을 습득하고 변비를 예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 PDF

초등학생의 시력저하 관련요인 (Related Factors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문경애;이무식;나백주;이진용;홍지영;배석환;유세종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677-680
    • /
    • 2010
  • 본 연구는 경기도 구리시의 2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시력 저하 실태 및 그와 관련된 요인들을 알아보고 시력 저하 예방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 된 연구이다. 자료의 수집은 2009년 11월 1일부터 12월 10일까지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학생 793명(남 417명, 여 376명)이었고 2009학년도의 시력검사자료 분석과 문헌 및 기존의 조사도구를 토대로 개발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한글판)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x^2$-test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시력저하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좌측시력을 종속변수로 한 경우 중 일반특성에 따른 변수인 부모 및 형제와 자매가 안경 및 렌즈 착용하는 경우, 경제적으로 어려울수록 시력 저하 자가 많았고, 환경특성에 따른 변수인 거실 및 방안밝기가 어두울수록, 컴퓨터 사용 시 실내밝기가 어두울수록, TV의 눈높이 및 컴퓨터 모니터의 눈높이가 높을수록 시력 저하 자가 많았다. 우측시력을 종속변수로 한 경우 중 일반특성에 따른 변수인 부모가 안경 및 렌즈를 착용할수록, 형제 와 자매가 안경 및 렌즈를 착용할수록, 경제적으로 어려울수록 시력 저하 자가 많았고, 환경특성에 따른 변수인 거실 및 방안밝기가 어두울수록, 컴퓨터 사용 시 실내밝기가 어두울수록, TV의 눈높이 및 컴퓨터 모니터의 눈높이가 높을수록 시력 저하 자가 많았다. 안경 및 렌즈를 종속변수로 한 경우 중 일반특성에 따른 변수인 부모 및 형제와 자매가 안경 및 렌즈를 착용할수록, 경제적으로 어려울수록 시력 저하 자가 많았으며, 환경특성에 따른 변수인 거실 및 방안밝기의 실내밝기가 어두울수록, TV의 눈높이 및 컴퓨터 모니터의 눈높이가 높을수록 시력 저하 자가 많았다. 눈 건강상태를 종속변수로 한 경우 중 일반특성에 따른 변수인 경제적으로 어려울수록 시력 저하 자가 많았고, 건강행동특성에 따른 변수인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눈 피로감이 있을수록 시력 저하 자가 많았으며 환경특성에 따른 변수인 거실 및 방안밝기의 실내 밝기가 어두울수록 시력 저하 자가 많았다. 시력저하관련 요인을 연구한 결과 학생들의 시력 저하 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유전적 요인에 의한 시력저하는 개인의 노력에 의하여 사전예방이 어렵지만 환경적 요인에 의한 시력저하는 노력과 관심으로 사전예방이 가능하므로 학생들의 시력건강증진을 위하여 학부모와 학교 및 전문 의료기관이 서로 연계적인 협조 하에 학생들 개개인에 맞는 효율적인 시력증진관리프로그램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고, 현행학교시력검사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시력검사 지침을 개발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 및 환경적 배경이 다르다 보니 연구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여러 지역의 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하고 체계적인 연구를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 PDF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과학교육 질적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Trend in Korea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이상균;김순식;채동현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90-307
    • /
    • 2017
  • 본 연구는 과학교육 질적 연구와 관련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과학교육 질적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후속 연구 방향을 선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연구재단의 KCI등재에 등록된 학술지에서 과학교육, 질적 연구를 키워드로 한 학술지 발표 논문을 대상으로 키워드를 중심으로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 통계 분석 방법과 논문 주요 키워드 대한 빈도 분석, 네트워크 분석, 연결중심성 분석을 krkwic과 ucinet6.0을 활용하여 자료처리를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과학교육 관련 학술지에 발표된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한 논문은 14종 학술지에서 총 138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논문 키워드의 출현 빈도를 분석한 결과 '분석'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초등교사', '초등학교', '영재학생', '과학교사', '수업'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네트워크 분석 결과 '분석', '초등학교', '수업'이 네트워크 중심에 위치하였으며, 비교, 탐구, 인식, 영재학생 등이 근접하였다. 넷째, 전체 구간에서 공통적으로 출현하는 키워드는 '분석', '영재학생', '초등학생' 등으로 초등학생과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나 수업이나 인식, 특성 등을 분석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과학교육 질적 연구와 관련된 연구주제의 과거와 현재를 탐색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관한 논의를 하였다.

초등학생의 디지털 소양 함양을 위한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 수업 실행 탐색 (Explora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Practices to Cultivate Elementary Students' Digital Literacy)

  • 서미림;정은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7권2호
    • /
    • pp.127-13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디지털 소양 함양을 위한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 수업 실행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의 ㄱ교육대학교 4학년 학생 4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고, 교수학습과정안과 수업 실행 영상을 분석하였다. 면담 질문은 과학 수업 계획 단계와 과학 수업 실행 단계, 과학 수업 실행 후 단계로 구분하였고, 면담 내용은 녹음 후 전사하여 범주화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수업 계획 단계에서 예비 초등교사들은 초등학생의 디지털 소양 함양을 위해 디지털 교수학습 도구를 선택할 때 해당 주제의 활동과의 관련성, 초등학생에게 익숙한 정도 등을 고려하였다. 교수학습과정안을 작성하면서 디지털 소양함양 관련 기준을 설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둘째, 과학 수업을 실행하면서 예비 초등교사들은 학생의 수업 참여도 향상, 실시간 자료 공유를 통한 학생별 지도 가능성 증가 등의 긍정적인 경험을 했던 반면에, 디지털 교수학습 도구를 원활하게 활용하지 못해서 수업 시간이 초과되기도 하였다. 셋째, 과학 수업 후에 예비교사들은 수업에 대한 성찰 및 요구사항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 초등교사들의 디지털 소양 개발 필요성과 교육대학 교육과정 개선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