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Trend in Korea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과학교육 질적 연구동향 분석

  • Received : 2017.11.30
  • Accepted : 2017.12.26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qualitative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to provide basic data of qualitative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and to select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he level of Korean Citation Index (KCI-listed, KCI listing candidates), that can be searched by the key phrase, 'qualitative research', 'scienc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through the RISS service. In this study,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is utilized to discover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classifying them by year and by journal. Also, the Seme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the frequency of key words, Centrality Analysis throughout a variety of research articles using krkwic and Ucinet6.0. The results show that first, 138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in 14 journals from 2005 to 2017. Second,, the analysi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appearance keyword in each article, 'elementary school teacher', 'gifted student', 'science teacher', 'class' were higher than other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whole Network Analysis, 'Analysis', 'elementary school', 'class' were analyzed as a highly influential node. And 'Comparison', 'inquiry', 'recognition', 'gifted students' were not close to the center of network. Fourth, keywords that appear in all sections are analysis, gifted stude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an be analyzed continuously based on studies, lessons or recognition,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xplored the past and present of the study subjects related to the study of science education quality and discussed future direction of study.

본 연구는 과학교육 질적 연구와 관련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과학교육 질적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후속 연구 방향을 선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연구재단의 KCI등재에 등록된 학술지에서 과학교육, 질적 연구를 키워드로 한 학술지 발표 논문을 대상으로 키워드를 중심으로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 통계 분석 방법과 논문 주요 키워드 대한 빈도 분석, 네트워크 분석, 연결중심성 분석을 krkwic과 ucinet6.0을 활용하여 자료처리를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과학교육 관련 학술지에 발표된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한 논문은 14종 학술지에서 총 138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논문 키워드의 출현 빈도를 분석한 결과 '분석'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초등교사', '초등학교', '영재학생', '과학교사', '수업'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네트워크 분석 결과 '분석', '초등학교', '수업'이 네트워크 중심에 위치하였으며, 비교, 탐구, 인식, 영재학생 등이 근접하였다. 넷째, 전체 구간에서 공통적으로 출현하는 키워드는 '분석', '영재학생', '초등학생' 등으로 초등학생과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나 수업이나 인식, 특성 등을 분석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과학교육 질적 연구와 관련된 연구주제의 과거와 현재를 탐색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관한 논의를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감정기, 감미아, 박미히(2016). 사회복지학 연구동향에 관한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게재논문(1979-2015)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8(2), 185-211.
  2. 강경희(2010). 과학 교수 학습 방법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및 이슈. 科學敎育硏究誌, 34(1), 22-31.
  3. 고민석, 김은애, 허진미, 양일호(2013). 초등학교 교사의 탐구에 대한 신념과 과학과 수행평가의 실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2), 124-135.
  4. 곽문영, 안완주, 권오남, Sonya Nichole Martin(2015). 수학.과학수업 교실문화 분석연구의 신뢰도 검증방법에 대한 고찰: 구성주의 수업관찰 프로토콜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6), 643-667.
  5. 곽영순(2006). 중등 과학교사들이 말하는 교과교육학지식의 의미와 교직 전문성 제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27-536.
  6. 곽혜정, 류희수(2016). 융합인재교육(STEAM) 연구동향 분석. 科學敎育硏究誌, 40(1), 72-89.
  7. 교육과학기술부(2012).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11-'15). 전자자료, http://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29385. (2017년12월 25일 검색)
  8. 교육부(2010).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_창의.인성 교육 기본방안. 전자자료, http://cafe.naver.com/mkyang0826/21464. (2017년 12월 25일 검색)
  9. 김경식(2015).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스포츠사회학의 지적구조 규명:22년간 한국스포학회지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8(3), 1-25.
  10. 김계원, 정종진, 권희영, 이윤주, 김춘경(2011). 상담심리학의 최근 연구동향. 상담 및 심리치료, 23(3), 521-542.
  11. 김문희, 조미영, 김성원(2011). 초등교원 양성기관 과학교과 교육과정의 실태 및 초등 교사들의 인식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5(2), 473-492.
  12. 김선희, 정찬미, 신동희(2015). 국내 주요 과학 교육학술지의 정의적 영역 연구 동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2), 179-200.
  13. 김용학, 유소영(2013). 한일 비교 연구의 비교: 인문사회 분야 논문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44(1), 25-45.
  14. 김은주, 이진숙, 이훤, 김대현(2016). 2009 개정 초등 과학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와 활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6), 911-923.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6.0911
  15. 김은하, 권혁순(2016). 과학전람회에 참여하는 초등학생들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1), 113-123.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1.0113
  16. 김찬종, 오필석, 전진구(2005). 피드백 제공자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업 성취도 차이 및 피드백에 대한 반응. 초등과학교육, 24(2), 111-122.
  17. 김향숙, 최병순(2015). 과학수업 자기비평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교사의 반성 수준의 변화. 科學敎育硏究誌, 39(3), 389-403.
  18. 나장함(2012). 교과교육과 수업 연구에서의 질적 접근: 질적 연구 샘플링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교육연구, 53. 75-102.
  19. 박경빈(2012). 한국 영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2(4), 823-840. https://doi.org/10.9722/JGTE.2012.22.4.823
  20. 박수홍, 이용희, 김현재, 홍광표(2015). 메타포 분석을 활용한 현재교육체제와 미래교육체제의 이미지 차이 분석 연구. 교사교육연구, 54(1), 31-45.
  21. 박준형, 나지연, 정용재, 송진웅(2015). 초등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수업의 특징: 과학수업 문화 분석틀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499-508.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499
  22. 박한우, Loet Leydesdorff,(2004).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8.
  23. 서혜애, 박경희(2010). 중학교 과학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에 대한 질적 연구. 교사교육연구, 49(2), 171-193.
  24. 신지원, 최애란(2014). 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국내 과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34(2), 107-122.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107
  25. 안주현, 전미란, 박기석, 전상학(2010). CPS 모형으로 개발된 동물 발생 실험수업에서 나타난 과학영재의 특성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영재교육연구, 20(1), 107-130.
  26. 양일호, 김여명, 임성만(2012). 초등 교사는 예상, 추리, 가설을 어떻게 지도할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841-854.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5.841
  27. 양찬호, 배유진, 노태희(2013). 중등 예비과학교사의 교육과정 설계에서 교육과정 자료의 활용 방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7), 1312-1328.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7.1312
  28. 오필석(2011). 채워지지 않는 잔(盞): 초등 교사들에게 있어 과학 수업의 의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271-294.
  29. 오필석(2017). 분산 인지의 관점에 따른 모델링 중심 초등 과학 수업의 해석. 초등과학교육, 36(1), 16-30.
  30. 유연준, 오필석(2016). 초등학생들의 계절의 변화 단원의 학습에서 모델링 중심 과학 탐구 수업의 효과. 초등과학교육, 35(2), 265-276.
  31. 유지연, 노태희(2012). 이해와 검토 단계를 강조한 비유 실험 설계 전략을 활용한 탐구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영재 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4), 671-685.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4.671
  32. 윤은정, 박윤배(2015). 중학교 과학 교사가 "힘과 운동" 단원 수업 중에 사용하는 과학용어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2), 209-216.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2.0209
  33. 윤진아, 서혜예(2010).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과학영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 문헌분석 대 사회네트워크분석. 科學敎育硏究誌, 40(3), 267-286.
  34. 이선경, 오필석, 김혜리, 이경호, 김찬종, 김희백(2009). 과학 교사의 교수내용지식과 실천적 지식에 관한 연구 관점 고찰. 한국교원교육연구,.26(1), 27-57.
  35. 이선경, 최취임, 이규호, 신명경, 송호장(2013). 초등 과학 수업 담화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추론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
  36. 이수상(2012).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서울:논형.
  37. 이혜준(2010).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프랜차이즈 교육 프로그램 개발, 경영교육연구, 14(2), 105-128.
  38. 임성만, 강원미, 위수민, 양일호(2012).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과학학습 상황에서 보이는 행동 특성; 과학학습 동기체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과학교육학회지, 32(4), 625-640.
  39. 임희준, 오필석(2014).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초등 과학 수업에 대한 비평적 접근. 科學敎育硏究誌, 38(2). 270-285.
  40. 정수임, 신동희(2016). 과학 교육에서의 평가 연구 동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4), 563-579.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4.0563
  41. 조영남(2001).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초등교육연구논총, 17(2), 307-329.
  42. 조영미, 오필석(2011). 과학 실험 수업에 관한 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구조"분석. 초등과학교육, 30(2), 162-177.
  43. 조혜숙, 남정희, 오필석(2017). 과학교육에서 모델 및 모델링에 대한 고찰-메타모델링 지식을 중심으로.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2), 239-252.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2.0239
  44. 주영, 김경순, 노태희(2014). 중학생의 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과학 협동학습에서 언어적 상호작용 양상의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3), 221-233.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3.0221
  45. 최영출, 박수정(2011).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행정학보, 45(1), 123-139.
  46. 한국과학창의재단(2013).융합인재교육 STEAM.STEAM 가이드.
  47. 한재영, 심재호, 류성철, 임혁, 최정훈(2008). 교사 모임을 통한 과학 교사의 전문성 향상 : 실험 행사 중 교사의 상호작용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2(2), 397-411.
  48. Doerfel, M. L., & Connaughton, S. L. (2009). Sementic networks and competition: Election year winners and losers in U.S.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s, 1960-2004.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0(1), 201-237.
  49. Gall, J. P., Gall. M. D. & Borg. (1999). Applying educational research: a practical guide(4th ed.). New York: Addison Wesley Longman.
  50.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