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등학교 학교 환경

Search Result 83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과학 영재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

  • 이해명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9 no.1
    • /
    • pp.37-62
    • /
    • 1999
  • 이 연구는 과학 영재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다. 과학자의 생애를 통하여 그들이 어떤 방법으로 학습을 하였고, 어떤 교육을 받았으며, 어떤 환경의 영향을 받았는가를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과학 영재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을 설정해보려는 것이다. 아인슈타인, 하이젠베르크, 슈뢰딩거, 뉴턴, 갈릴레이, 다윈, 빠스뙤르, 파인만 등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중등학교, 대학교에서의 학습내용, 학습-교수 방법, 교육환경 등을 추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학습내용은 초등학교에서는 과학적 기반 형성에 필요한 공통교과, 중등학교에서는 과학적 지식의 축적에 필요한 전공 교과, 대학에서는 과학적 지식의 생산에 필요한 교과가 중심이 된다. 둘째, 교수-학습 방법은 초등학교에서는 관찰, 중등학교에서는 실험과 토론, 그리고 대학의 과정에서는 연구가 중심이 된다. 셋째, 환경적 영향은 초등학교에서는 가정의 영향이, 중등학교에서는 학교의 영향이, 그리고 대학의 과정에서는 사회적 영향이 중심이 된다.

  • PDF

A Study to develop an ecological audit program in elementary schools for sustainability education (지속가능성 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생태감사 프로그램 개발 방안)

  • Kim, Hee-jin;Nam, Young Sook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9 no.3
    • /
    • pp.26-3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an ecological audit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or sustainability education. School ecological audits enable students or groups of students to identify and solve the school's environmental problems on their own, thereby fostering sustainable decision-making and attitud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 ecological audit project learning program applicable to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as developed. The developed program is aimed at 6th graders and is composed of 16 steps reflecting the procedural and ecological processes of the ecological audit. In order to settle the developed program in the school site and improve the school sustainability of the developed program,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chool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that can periodically monitor the school environment, strengthen the capacity of school teachers, and provide a professional certification system outside the school. In addition, with this bottom-up policy-making system, students can expect to spread a sustainable school culture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ies.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Improvement Plans of Compu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Lee, Mi-Hyun;Moon,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v.9 no.1
    • /
    • pp.1084-1088
    • /
    • 2005
  • 현재 우리는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정보화 시대를 주도하고 있는 컴퓨터는 이제 우리가 배워야 할 필수 요건이 되고 있다. 급변하는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나가기 위해 우리나라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에서 컴퓨터 교육이 실시되어 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초등학교에서 정보화 교육을 위한 컴퓨터 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 그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먼저 우리나라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목표와 필요성, 역사, 현 컴퓨터 교육과정의 특징, 우리나라 컴퓨터 교육 과정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컴퓨터 교육의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중학교 컴퓨터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선생님들이 컴퓨터 수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그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들의 해결 방안을 컴퓨터 전담제로 제시하기 위하여 초등학교에서의 컴퓨터 전담제를 실시하고 있는 한 학교와 그렇지 못한 환경의 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컴퓨터 교육의 실태를 비교${\cdot}$분석하였다.

  • PDF

The Comparison of Room Acoustics of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초등학교 교실의 음환경 비교연구)

  • Moon Kyu-Chun;Park Kye-Kyun;Yeon Chul-Ho;Haan Chan-H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93-296
    • /
    • 2001
  • 1990년대 중반 이후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실은 열린교육과 다양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열린교실을 표방하고 진행되고 있다. 또한 건축설계에 있어서도 과거의 종합 표준설계에 의하지 않고 각 학교마다 별도의 건축설계에 따라 지어지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의 초등학교 교서의 차음환경을 조사하고 새로이 지어진 교사의 교실과 열린교실의 실내 음환경을 조사하여 현재 상황을 분석평가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건축시공연대가 다른 초등학교 3개 학교를 선택하여 단위교실에서의 실내음향인자(RT60, C80, D50, RASTI)와 인접교실과의 차음성능(TL)을 측정하였다. 또한 해당교실의 학생과 교사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측정은 외부와 복도에 인접한 창문의 개폐여부와 실내의 위치별로 이루어 졌다. 실험결과, 열린교육에 따라 가변적 교실의 구성은 기존의 교실보다 차음성능이 평균$5\sim6dB$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축교사의 RASTI값(0.73)이 10년 이상 된 학교(0.70)나 열린교실(0.64)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명료도(D50) 역시 일반 신축교사가 열린교실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실의 기밀과 내부바닥의 마감자재로 비롯되었으며 최근의 열린교실은 음의 차음과 실내명료도에서 열악한 것으로 결론되었다.

  • PDF

Implementation of the Class Management Model based on Web for Collaborativ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협동학습을 위한 웹기반 학급경영 모델 구현)

  • 변옥남;김창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786-792
    • /
    • 2001
  • 가상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아동들의 교육적 욕구가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현재까지는 웹기반의 학습내용 게시 및 문제제출 등에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어 왔다. 또한 현 교육과정에서 강조되고 있는 협동학습에 대해서도 이론적인 연구들이 많이 발표되었으나, 이를 학교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협동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학교들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의 학급 경영모델을 기본 환경으로 구축한 후, 이러한 학급경영모델에 협동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세부 내용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현재 초등학교 1개 반을 대상으로 구현된 모델에 따라 학급을 운영하면서 학습현장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고찰한다.

  • PDF

The survey on the patterns of school facilities usages for studying a space improvement plan of elementary school on narrow sites - Focused o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 (부지 협소 초등학교의 공간 조성 방안 연구를 위한 학교 시설 이용 실태 조사 -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 Kim, Sae-Rom;Lee, Jae-Rim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8 no.1
    • /
    • pp.49-61
    • /
    • 2019
  • In this study, interviews are held with the faculties of two elementary schools on narrow sites located in Seoul to examine the existing problems of the elementary school on narrow site and the need for the new facilities of the elementary school on narrow site in order to derive the implications for the planning guidelines of such school construction.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substitutes of the playground installed in the elementary school on narrow site were not suitable for physical play activities, physical education class activities, and other curriculum operations. In order to secure an adequate physical activity an space for elementary schools, faculty members were demanding that the entire floor or rooftop of the school building be spatialized for physical activities. Additionally, problems such as noise generation and the lack of special rooms and public space were occurring in the elementary schools on narrow sites and are being deteriorated by accommodating an over number of students, and therefore policies are required to ensure that the appropriate number of students are maintained in the case of the schools on narrow sites.

A Study on the Planing of the Learning Space of Elementary School Corresponding English Learning Activities (초등학교 영어 교수·학습활동에 대응한 학습공간 구축에 관한 연구)

  • Choi, Byung-Kwan;Oh, Hyoung-Seok;Kim, Joong-H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7
    • /
    • pp.3538-3549
    • /
    • 2013
  • This study focuses the architectural planning solution and guiding principle for English only classroom spatial layout and operation program to establish English educational environment proper to English curriculum contents and methodology by the grad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o accomplish this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proceeds as follows. First, the English facility condition such as type of classroom, retainment and floor space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through the nationwide survey for elementary schools to understand English educational environment. Second, the study analyzes English educational procedures, contents and methodology and most typical educational scenes, facilities and equipments are extracted through the analysis. Finally, the study pursues the spatial layout factors and proposes the architectural planning principle for English only classroom to provide English educational environment per its size and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