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등

Search Result 9,795,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Self-Concept and Career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General Families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발달*)

  • Cho, Bung-Hwan
    •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 /
    • v.9 no.2
    • /
    • pp.235-250
    • /
    • 2010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0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general famil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elf-concept and career development within two groups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self-concept and career development. Also, it was to investigate the self-concept's effects on career develop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from general families showed higher academic-occupational exploration than those in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the self-concept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career development in both groups. And there were stronger correlation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the regression analyses of two groups showed that academic self-concept had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development in both groups, but there were higher effect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PDF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Gifted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초등정보영재교육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 Park, Jin-Sik;Yang, Chang-M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8a
    • /
    • pp.179-185
    • /
    • 2006
  • 본 연구는 초등정보영재교육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실태를 파악하고 그 개선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초등 정보영재교육 대상자의 판별 및 선발, 초등 정보영재의 교육 방법 및 교육 형태, 초등 정보영재를 위한 교육과정의 운영, 초등 정보영재 교육을 위한 지원체제의 4개영역에서 이루어졌고 실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정보영재 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The Classification and Concept of Elementary School Computer Terms (초등학교 컴퓨터 용어의 분류 및 정의)

  • Choi, Eun-Hee;Kim, Kap-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548-555
    • /
    • 2004
  • ICT 교육의 소양교육과정 부분에서 초등학교 컴퓨터 용어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초등학교 컴퓨터 용어교육은 ICT 소양교육의 바탕이기 때문이다. 특히, 기존의 컴퓨터 용어 사전은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어서 초등학생의 특성에 맞게 분류하고 정의한다. 초등학교 컴퓨터 용언의 분류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정의하는 ICT 단계와 영역에 맞게 한다. 초등학교 컴퓨터 용어의 정의는 초등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구체성의 원리, 경험성의 원리, 현실성의 원리, 동기유발의 원리에 맞게 한다. 이에 따른 분류와 정의를 통해 몇 가지 용어를 예시적으로 정의한다. 이상과 같은 분류와 정의에 의해 초등학교 컴퓨터 용어는 초등학생들이 쉽게 이해하여 ICT 소양교육의 질은 저절로 높아질 것이다.

  • PDF

An Analysis of Computer Discretion Activity Textbook among ICT Skill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생의 ICT 활용 기능과 초등컴퓨터 재량활동 교재 분석)

  • 임화경;김미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280-282
    • /
    • 2004
  • 초등학교에서 재량활동인 컴퓨터 교재의 내용은 ICT 소양교육을 중점으로 기능 교육(한글, 파워포인트, 윈도우, 통신 등)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초등학생들은 이미 생활에서 쉽게 접하는 정보화 시스템에 익숙하여 컴퓨터를 다루는 기능은 교재의 수준을 상당히 갖추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초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초등컴퓨터 재량활동 교재의 내용에 변화가 필요함을 나타내기 위하여, 부산광역시교육청의 초등컴퓨터 재량활동 교재인 '즐거운 컴퓨터'의 내용과 부산광역시 4, 5, 6학년 초등학생들의 ICT 활용기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통하여 초등학생의 ICT 기술능력이 컴퓨터 교재의 내용을 앞서고 있음을 보이고 향후 교재내용의 변화가 있어야함을 보인다

  • PDF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and Ways to Improve Primary School Science Teaching (초등 과학수업 실태 점검 및 개선 방안 연구)

  • Kwak, Young-Su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2 no.4
    • /
    • pp.422-43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primary school science teaching and ways to improve it. I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teachers themselves tend to have science misconceptions and insufficient science content knowledge. Experienced teachers argued that it could be hard for elementary teachers with lack of science content knowledge to provide their students with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of science.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teaching and the awareness of elementary teachers' insufficient science content knowledge, we explored the real situation of the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We conducted open-ended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focus group discussions on a regular basis to analyze and compare classes of five primary school teachers. Data analysis focused on why elementary students avoid science classes in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why elementary science classes always need hands-on activities. We also discussed ways to turn hands-on investigation into minds-on investigation by connecting it to important ideas in science.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ways to improve inservice teacher training such as designing supplementary in-service training focused on content knowledge for primary school teachers, setting up professional exchange or collaboration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and introducing subject-specialized teachers for the fifth and sixth graders of primary school. In particular, considering elementary teachers' insufficient science content knowledge, employing science subject matter specialists in the elementary school could be a useful strategy.

A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Japa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format: centered on elements, areas, objectives, and lesson time numbers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체제 비교 -요소, 영역, 목표, 시수를 중심으로-)

  • Park, Kyo Sik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7 no.1
    • /
    • pp.123-137
    • /
    • 2014
  • In this paper, the format of the Korean 2011 & the Japan 2008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re compared especially centered on elements, areas, objectives, and lesson time numbers. Through this comparison, suggestions can be obtained as follows. First, grade-group system which does not meet the actual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needs to be reconsidered. Second, the area name 'number and operation' needs to be reduced into the area name 'number and calculation'. Third, using the area name 'pattern' needs to be reconsidered. Fourth, using the area name 'probability' needs to be reconsidered. If 'possibility' which some event occurs is seen as ratio, it can be contained area 'quantity relationship'. Fifth, containing the nature of mathematics into the school mathematics objectives needs to be reconsidered. Sixth,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phase of mathematics in elementary education.

  • PDF

Analysis of the Continuity between Science Education Contents Presented i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난 과학교육 내용의 연계성 분석)

  • Kim, Juhee;Kang, Eunju;Park, Jongho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0 no.3
    • /
    • pp.295-310
    • /
    • 2021
  • For the continuous growth and development of students, continuity of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is essential. However, research on the continuity of kindergarten 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is relatively insufficient.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precede the analysis of the continuity between the science-related learning content presented in kindergarten education and the science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the 2015 science curriculum was organized into 14 small sections, and the core contents of science education i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were presented as correspondenc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lassify learning contents presented only in kindergarten, learning contents presented only in elementary schools, and learning contents showing a clear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implications for the continuity between the science curriculum of the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Education Using Advance Organizer (선행조직자를 활용한 초등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 Lee, Dagyeom;Kim, S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219-221
    • /
    • 2022
  • 초등학교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교육은 학교급별 특성과 수준을 고려하여 놀이 및 체험 활동 중심으로 계획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 현장의 수요 및 AI 리터러시 연구에서 AI 개념의 지도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초등학생에게 어렵고 생소한 AI 개념을 교육하기 위해 학습자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전략이 필요하다. 선행조직자는 개념 지도 시 학습자의 인지적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 중 하나로 이미 초등학생을 위한 인공지능 교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교재 분석 결과 선행조직자는 학생별 경험과 양육환경의 차이로 인해 선행조직자로서 기능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널리 활용될 수 있는 선행조직자를 초등 교육과정에서 추출하여 AI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5~6학년 AI 교육 내용 기준에서 AI 개념 요소를 추출하여 초등학교 1~4학년 교과 교육과정에서 선행조직자를 선정하였고 4차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효과적인 AI 개념을 학습과 AI 리터러시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Study Of Lexical Statistics Analysis For Elementary School Textbook : Focusing On Comparing The SEJONG Corpus In Korean (초등학교 교과서의 어휘 통계 분석 연구 : 한국어 세종 코퍼스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Yu, Wonhee;Lim, Heuiseo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8 no.1
    • /
    • pp.99-108
    • /
    • 2015
  • In this paper, we build a primary school textbook corpus and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vocabulary found in elementary textbooks. also We performed the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in order to explore whether similar elementary textbooks in general life used vocabular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corpus building in the form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actual examples. then numerically shown correlation of the elementary textbooks and general corpus.

Elementary School Computer Education with the Focus on Case Study Using LOGO Programming Language and Fractal Geometry Theory (로고 프로그래밍 언어와 프랙탈 기하이론을 이용한 초등학교 컴퓨터교육 활용 연구)

  • Ko, Yeong-Hae;An, Jae-Ho;Park, Nam-J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441-144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교육목표로 다루고 있는 창의성이라는 주제와 학교현장에서 초등학생들에게 쉽게 접목시킬 수 있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LOGO 프로그래밍과 프랙탈 기하이론을 초등학교 컴퓨터교육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향후 컴퓨터교육과정은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영역이 포함될 예정이며, 이러한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교육에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이 필수적이며 이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상황이다. LOGO 프로그래밍과 프랙탈을 함께 지도함으로서 규칙성, 반복성, 유사성, 닮음 등 수학적 개념을 쉽게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반드시 학습해야 할 도형, 측정, 규칙성과 문제 해결 영역과 연계하여 지도하면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