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기 상태값 불확실성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5 seconds

Fuzzy H Filtering for Discrete-Time Nonlinear Markovian Jump Systems with State and Output Time Delays (상태 및 출력 시간지연을 갖는 이산 비선형 마코비안 점프 시스템의 퍼지H 필터링)

  • Lee, Kap Rai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8 no.6
    • /
    • pp.9-19
    • /
    • 2013
  • This paper deals with fuzzy $H_{\infty}$ filtering problem of discrete-time nonlinear Markovian jump systems with state and output time delays. The purpose is to design fuzzy $H_{\infty}$ filter such that the corresponding estimation error system with time delays and initial state uncertainties is stochastically stable and satisfies an $H_{\infty}$ performance level. A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existence of fuzzy $H_{\infty}$ filter is given in terms of matrix inequalities. In order to relax conservatism, a stochastic mode dependent fuzzy Lyapunov function is employed. The Lyapunov function not only is dependent on the operation modes of system, but also includes the fuzzy membership functions. An illustrative example is finally given to show the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Output feedback stabilization of planar systems with uncertainty (불확실성을 갖는 2차원 비선형 시스템의 출력 궤환 안정화)

  • Seo, Sang-Bo;Shim, Hyung-Bo;Seo, Jin-He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511-151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불확실성을 가지는 2차원 비선형 시스템을 안정화하기 위해서 추가 다이나믹스를 이용하여 출력 궤환 제어기법을 제안한다. 추가 다이나믹스는 이득값에 대한 것으로 0으로 수렴하는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이 상태변수의 역수가 고이득의 역할을 함으로써 불확실성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제어목표를 이룰 수 있다. 더욱이 추가 다이나믹스는 그 설계에 의해 목표달성 후에는 본래의 초기값으로 복귀하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 PDF

Effect of Deformation Zones on the State of In Situ Stress at a Candidate Site of Geological Repository of Nuclear Waste in Sweden (스웨덴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후보부지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 대규모 변형대가 암반의 초기응력에 미치는 영향)

  • Min, Ki-Bok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8 no.2
    • /
    • pp.134-148
    • /
    • 2008
  • The state of in situ stress is an important factor in considering the suitability of a site as a geological repository for nuclear waste. In this study, three-dimensional distinct nume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formation zones on the state of stress in the Oskarshamn area, which is one of two candidate sites in Sweden. A discontinuum numerical model was constructed by explicitly representing the numerous deformation zones identified from site investigation and far-field tectonic stress was applied in the constructed model. The numerical model successfully captured the variation of measured stress often observed in the rock mass containing large-scale fractures, which shows that numerical analysis can be an effective tool in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state of stresses. Discrepancies between measured and modelled stress are attributed to the inconsistent quality of measured stress, uncertainty in geological geometry. and input data for fractures.

A Highly Robust Integral Optimal Variable Structure System (고 강인성 적분 최적 가변구조 제어기)

  • Lee, Jung-Hoon
    • Journal of IKEEE
    • /
    • v.9 no.2 s.17
    • /
    • pp.87-100
    • /
    • 2005
  • In this paper, a design of an integral augmented optimal variable structure system(IOVSS) is presented for the prescribed output control of uncertain SISO systems under persistent disturbances. This algorithm aims at removing the problems of the reaching phase by incorporating advanced optimal control theory. By means of an integral sliding surface, the reaching phase is completely removed, and the integral sliding surface can be defined from a given initial state to origin without any reaching phase. The ideal sliding dynamics of the integral sliding surface is obtained in the form of the state equation and is designed in an optimal sense by targeting the design of the integral sliding surface and equivalent control input. The corresponding control input is selected in order to generate the sliding mode on the predetermined integral sliding surface. As a result, the whole sliding output from a given initial state to origin is completely guaranteed against persistent disturbances. Moreover the prediction/predetermination of output is enabled, which helps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ver previously implemented VSS's. Through an illustrative example, the usefulness of the algorithm is shown.

  • PDF

Error analysis for a strapdown inertial navigation system (스트랩다운 관성항법장치의 오차해석)

  • 심덕선;박찬국;송유섭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86.10a
    • /
    • pp.286-289
    • /
    • 1986
  • 항법(navigation)은 기준좌표계에 대한 항체(vehicle)의 위치나 속도를 알아내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시스템이 관성항법장치(inertial navigation system-INS)이며 항법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항체에 놓여진 쎈서의 관성성질을 이용한다. INS는 specific force와 관성 각속도의 측정에서 얻은 데이타를 처리함으로 그 기능을 수행한다. 스트랩다운 INS(SINS)는 관성항법장치의 한 종류로 analytic INS라고도 하는데 기준좌표축을 유지하기 위하여 안정테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쎈서들을 항체에 직접 부착시켜 초기상태와 현재상태와의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방향을 해석적으로 계산한다. INS의 성능은 수많은 오차원(error source)의 함수로 주어지며 이 오차원 중에는 주위환경에 의한 것도 있고 INS 구성에 사용된 기구(instruments)와 관련된 것도 있다. INS 를 해석하는 목적은 항법의 정확도를 알아보는데 있으며 또한 각각의 오차원의 값을 추정하는 것도 부가적인 목적이 된다. 이러한 오차의 추정치는 사양(specification)을 모르는 부품의 성능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INS를 해석함으로 INS를 구성하는 어떤 부품에 대한 성능이 어느정도 개선을 필요로 하는가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SINS의 오차원을 크게 고도계의 불확실성, 중력의 편향과 이상, 가속도계의 불확실성, 자이로의 불확실성의 네 그룹으로 나누어 상호분산해석(covariance analysis)방법으로 각 오차원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 PDF

Stability Conditions for Positive Time-Varying Discrete Interval System with Unstructured Uncertainty (비구조화 불확실성을 갖는 양의 시변 이산 구간 시스템의 안정 조건)

  • Han, Hyung-seok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3 no.6
    • /
    • pp.577-583
    • /
    • 2019
  • A dynamic system is called positive if any trajectory of the system starting from non-negative initial states remains forever non-negative for non-negative controls.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new stability condition for the positive time-varying linear discrete interval systems with time-varying delay and unstructured uncertainty. The delay time is considered as time-varying within certain interval having minimum and maximum values and the system is subjected to nonlinear unstructured uncertainty which only gives information on uncertainty magnitude. The proposed stability condition is an improvement of the previous results which can be applied only to time-invariant systems or had no consideration of uncertainty, and they can be expressed in the form of a very simple inequality. The stability conditions are derived using the Lyapunov stability theory and have many advantages over previous results using the upper solution bound of the Lyapunov equation. Through numerical example, the proposed stability conditions are proven to be effective and can include the existing results.

Vibration control of a single-link flexible manipulator using fuzzy- sliding modes (퍼지-슬라이딩 모드를 이용한 단일링크 유연 매니퓰레이터의 진동제어)

  • Choi, Seung-Bok
    • Journal of KSNVE
    • /
    • v.6 no.1
    • /
    • pp.35-44
    • /
    • 1996
  • This paper presents a new type of fuzzy-sliding mode controller for robust tip position control of a single-link flexible manipulator subjected to parameter variations. A sliding mode controller is formulated with an assumption that imposed parameter variations are bounded so that certain deterministic performance can be guaranted. In the design of the sliding mode controller, so called moving sliding surface is adopted to minimize the reaching phase and thus mitigate system sensitivity to the variations. The sliding mode controller is then incorporated with a fuzzy technique to reduce inherently ever-existing chattering which is impediment in position control of flexible manipulators. A set of fuzzy parameters and control rules are obtained from a relation between predetermined sliding surface and representative points in the state space. Computer simulations are undertaken in order to demonstrate superior control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ology.

  • PDF

Assessment of Uncertainty in SWAT Model Derived from Parameter Estimation Using SWAT-CUP (SWAT-CUP 매개변수 추정에 따른 SWAT 모형 불확실성 평가)

  • Yu, Jisoo;Noh, Joonwoo;Cho, Younghyun;Hur, Youngteck;Kim, Yeon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14-314
    • /
    • 2020
  •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은 미국 농무성 농업연구소에서 개발된 준분포형(semi-distributed) 수문 모형으로 복합토지이용유역에서 장기간에 걸친 다양한 종류의 토양, 토지이용 및 토지관리 상태의 변화에 따른 유역의 유출량, 유사량 및 영양물질의 영향을 예측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SWAT은 기본적으로 다양한 매개변수에 대한 수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만 매개변수 보정에 따른 모의결과의 불확실성을 수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SWAT-CUP (Calibration and Uncertainty Program)이 개발되었다. SWAT-CUP에서 제공하는 매개변수의 최적화 과정에서 유사한 모의 결과를 산출하는 수천 개의 매개변수조합이 존재하기 때문에 보정기법의 선택에 따라 최종 매개변수의 값이 달라질 수 있다. 불확실성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1) 매개변수의 선택, (2) 보정 기법, (3) 목적함수, (4) 매개변수의 초기 범위, (5) 모의(simulation)의 실행(run) 및 반복(iteration) 횟수, (6) 위치, 개수 등 보정 자료의 선택 등이 주로 지목된다. 이러한 요인으로 발생하는 불확실성은 SWAT 모형의 구조 및 입력 자료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본 연구에서는 SWAT 매개변수 보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을 평가하고, 효율적인 보정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낙동강 권역의 내성천 유역을 대상으로 SWAT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내성천 본류에 위치한 수위(유량) 관측소의 자료를 활용하여 검·보정을 수행하였다. 모의 결과는 유량의 크기 뿐 아니라 유량의 발생 시기, 유역의 반응 및 증가·감소 경향성을 함께 고려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모형 구조에 따른 불확실성의 전이과정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SWAT 모형의 비고유성(non-uniqueness)에 의한 불확실성을 정량화하여 나타내었다.

  • PDF

Uncertainty Assessment of CANDU Void Reactivity using MCNP-4C with ENDF/B-VII(I) (ENDF/B-VII기반 MCNP-4C를 이용한 CANDU-6 기포반응도 불확실성 평가(I))

  • Hong, S.T.;Kwon, T.A.;Lee, Y.J.;Oh, S.K.;Lee, S.K.;Kim, M.W.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8.04a
    • /
    • pp.69-75
    • /
    • 2008
  • 기포반응도는 월성발전소를 비롯한 CANDU형 원자로의 주된 안전성 쟁점사안으로 끊임없이 논의되어 왔다. 이는 설계기준사고가 노심에서 열에너지 불균형이 원인이 되어 기준이상의 핵연료 파손과 방사성물질 누출로 발전할 위험이 있는 사건들로 정의될 때, 사건 진행 과정에 기포반응도 증가는 조기에 운전중단을 실패할 경우 출력폭주로 이어지므로 사건의 결말이 중대사고로 전환될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공개된 최신 핵자료인 ENDF/B-VII.0를 NJOY.99로 처리한 연속에너지 반응단면적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MCNP-4C에 접속하여 37봉 천연우라늄 핵연료다발의 표준노심격자에 대한 기포반응도를 시뮬레이션하여, 지금까지 각종문헌에 제시된 값들과 비교, 종합하므로 내제된 불확실성을 추정하는 내용이다. ENDF/B-VII.0 기반 MCNP-4C의 CANDU 노심격자 모델은 동일한 핵자료와 핵종농도를 사용한 WIMS-IAEA 모델과 비교할 때, 초기 노심의 임계도 오차 약 3.51mk가 연소 진행에 따라 $7.5\times10^{-4}mk$/MWD/teU의 비율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CNP-4C 예측기포반응도는 초기노심에서 기포율 50% 및 100%에 대해 각각 8.38 및 15.96mk, 평형노심에서 7.68 및 14.72mk로 계산된다. 이는 월성 2, 3, 4 FSAR의 초기노심 및 평형노심에서 100% 기포상태에 대한 값, 약15.0 및 10.6mk와 비교할 때, 초기노심은 약 1.0mk 평형노심은 약4, 1mk 보수적이지만, 다른 연구결과들과는 최대오차 ${\pm}1{\sim}2mk$ 이내에서 잘 일치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CANDU 노심의 기포반응도 불확실성 요인의 규명 및 영향평가를 위한 노력의 일부로서 앞으로 감속재의 붕산농도 변화, 감속재 및 냉각재의 중수 순도 변화, 기기노화에 의한 격자 구조 및 물성 변화, 중성자속 및 출력 분포 불균형, 반응도조절장치의 위치, 등 주요 설계변수의 변화에 대한 반응도영향 분석연구를 계속할 계획이다.

  • PDF

Hydraulic${\cdot}$Hydrologic Dam Risk Analysis through Improving Estimation Methods of Dam Water Surface Level (댐 수위 추정 방법의 개선을 통한 수리${\cdot}$수문학적 위험도 분석)

  • Kwon, Hyun Han;Moon,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863-869
    • /
    • 2004
  • 댐의 수리${\cdot}$수문학적 월류 확률 추정시에 가장 민감한 불확실성 변량은 댐의 초기수위라 할 수 있으며, 특히 자료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고 댐마루(dam crest)의 높이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경계를 갖는 분포형을 추정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매개변수적 확률분포 추정방법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적절히 반영할 수 없으며 통계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이상화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비매개변수적 핵밀도함수 방법과 Bootstrap 기법을 적용하여 수위의 신뢰구간을 추정하였다. 연 최대치 자료를 이용한 비매개변수적 핵밀도함수 기법을 이용한 해석결과에서는 댐의 설계빈도를 상회하는 비교적 큰 위험도 나타냈으며 홍수기의 평상수위고 가정하는 Bootstrap Resampling을 적용한 위험도는 5.11E-06의 간을 나타났다. 가장 극심한 기상상태를 가정한 해석 결과인 1.1972E-03은 본 댐은 여수로의 설계빈도가 1,000년 빈도로서 설계당시보다 확률수문량이 크게 증가된 현재 여수로 방류능력 및 안전성 상태로 고려해보면 적당한 위험도 값으로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