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기중재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5초

성인 초기 비만인을 대상으로 적용된 중재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Obese Management Program for Obese Young Adults)

  • 이고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45-35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초기 비만인을 대상으로 적용된 중재프로그램의 메타분석으로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고, 중재 방법의 특성과 경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분석 대상 연구는 총 19편으로 SIGN을 사용하여 문헌의 질평가를 실시하였으며, CMA 3.0 및 Revman 5.4을 활용하여 자료 분석하였다. 전체 중재프로그램은 큰 효과크기 (d=-0.76)이며 큰 이질성 (I2=81%)을 보였다. 결과 변수 중 BMI (d=-0.83) 와 체지방률 (d=-0.93)은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TG (d=-0.76)와 LDL (d=-0.59)은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하위그룹 분석에서 유산소운동, 복합운동, 중강도, 고강도 운동, 1시간 이상의 운동이 효과적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성인 초기 비만인의 중재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강원도 지역 초기 치매환자에게 적용한 가정방문 인지작업치료의 효과 (Effects of Home-based Cognitive Occupational Therapy Applied to Dementia Patients in the Initial Stages in Gangwon-do)

  • 이기대;전병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5-83
    • /
    • 2014
  • 목적 : 본 연구는 강원도 태백지역에 거주하는 초기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방문 인지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초기치매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학과 학생 30명과 자원봉사자들이 주 1회 총 8회기의 가정방문 인지작업치료 중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전후의 대상자들의 인기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MMSE-K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가정방문 인지작업치료에 대한 초기치매 환자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 초기 치매환자에게 가정방문 인지작업치료 적용한 결과 전반적인 인지기능의 향상이 나타났으며 특히 지남력, 기억회상, 주의집중력, 언어력의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결론 : 인지기능의 향상과 일상생활능력의 향상을 위한 가정방문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치매환자의 중재에 있어 유용하게 적용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가정방문 작업치료 서비스 도입을 위한 다양한 가정방문 작업치료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PDF

간호행정학의 이론개발 변천과정 (Evolution of Theory Development in Nursing Administration)

  • 염영희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21-129
    • /
    • 1996
  • 간호 행정학분야에 있어서 이론의 발전 단계는 아직도 초기단계에 있으며 계속 개발되는 중이다. 간호행정의 이론개발은 크게 3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 다른 학문으로부터 빌려온 이론들을 간호학에서 사용한 단계, 둘째, 간호와 경영지식을 합성화시킨 이론적 모델을 사용한 단계, 셋째, 간호관리를 의한 중재(Management Intervention)개발의 단계이다. 간호행정이론 개발의 새로운 추세인 간호관리를 위한 중재가 어떻게 Middle-Range Theory를 구축하는데 공헌하는지가 서술되며, 그에 대한 예가 제시된다.

  • PDF

발달지연 아동의 시-운동 협응 및 소운동 협응 기능 향상을 위한 과제지향의 중재(task-oriented intervention) 적용: 단일대상연구 (Task-Oriented Intervention for Improvement of Visuomotor Coordination and Fine Motor Coordination Functions in Developmental Delayed Child : A Single-Subject Design)

  • 송지원;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6-45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지연의 아동을 대상으로 과제지향의 중재를 사용하여 시-운동 협응과 소운동 협응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6세의 여아 1명이었다. 아동은 진단은 받지 않았으나 전반적인 기능에 발달지연을 보였다. 연구기간은 2021년 2월 5일부터 6월 4일까지이었고,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 A-B를 사용하였다. 기초선 A는 초기 3회기로 아동의 기능 파악을 위해 초기평가를 하였다. 중재기 B는 12회기로 과제지향의 중재(task-oriented intervention)를 사용하였다. 기초선과 중재기에 동일하게 아동의 시-운동 협응 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시지각발달검사 3판의 타원그리기를 실시하였고, 소운동 협응 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Clinical Observation of Motor and Postural Skills(COMPS)의 손가락-코 짚기를 실시하였다. 회기별 변화도는 그림으로 제시하였다. 결과 : 한국판 시지각발달검사 3판의 타원그리기의 기초선 평균은 23점이었고, 중재기 평균은 39.66점으로 기초선에 비해 중재기의 평균이 16점 이상 향상되었다. COMPS의 손가락-코 짚기의 기초선 평균은 0점이었고, 중재기 평균은 5.08점으로 기초선에 비해 중재기의 평균이 5점 이상 향상되었다. 결론 : 취학 전의 발달지연아동에게 과제지향의 중재는 아동의 학습에 바탕이 되는 시-운동 협응과 소운동 협응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ASD 아동의 초기 사회기술 향상을 위한 인지-운동 통합 기반 악기연주 중재 (Cognitive-Motor Interaction-Based Instrument Playing for Improving Early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유현경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0권1호
    • /
    • pp.75-9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학령전기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을 대상으로 인지-운동 통합 기반 악기연주 중재를 제공하여 초기 사회기술이 향상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평균 만5.6세의 ASD 아동 총 9명로, 개별로 30분씩 주 2회, 총 12회의 세션에 참여하였다. 중재는 자기 감각 증진 및 자기조절(1단계), 상호작용에 대한 의도 형성(2단계), 상호적 활동에 대한 수용(3단계), 상호적 맥락에서의 움직임 조정(4단계), 공동행동 수행(5단계)의 5단계로 구성되었다. 중재 전후 초기 사회-의사소통 평가 척도(ESCS) 내 과제를 참고해 공동주의 행동 및 상호작용 행동을 측정하였고, 참여 아동의 보호자가 사회적 반응성 척도(SRS-2)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또한, 타인(연구자)에 맞추어 움직임(드럼 연주)의 타이밍을 조절하는지 측정하는 사회적 동기화 과제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 ASD 아동은 초기 사회기술에 있어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사회적 동기화 과제에서도 동기화 반응 속도를 제외한 동기화 정확도 및 지속시간에 있어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SRS-2 척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장기간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SD 아동의 초기 사회기술 발달에 있어 인지-운동 통합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 결과는 인지-운동 통합 기반 악기 연주가 사회적 정보를 인지적으로 처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맥락에서 움직임을 조정하는 과정의 측면에서 ASD 아동의 사회기술 발달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외상 후 초기중재 (Early Interventions After Trauma)

  • 박주언;이병철;정영은;채정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5-79
    • /
    • 2009
  • In this article, we review the efficacy of early interventions after traumatic incidents and during acute stress disorder (ASD). There are some evidences that psychopharmacological medications such as propronolol, morphine, and hydrocortisone are effective in the prevention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Considering the role of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in hippocampal neurogenesis and an animal model of PTSD, early administration of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is also fairly promising. Other pharmacological treatments including benzodiazepines did not treat ASD nor prevent PTSD. There are good evidences tha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cluding cognitive therapy and prolonged exposure is a valuable intervention for ASD and the most effective prevention for PTSD. No contolled researches on eye movement desensitization&reprocessing, psychodynamic psychotherapy and hypnotherapy have performed. Recent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using psychological debriefing did not prove as a useful inter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PTSD until now, although the efficacy of debriefing has been at the centre of controversy.

  • PDF

경장영양을 시행한 환자에서 영양집중지원에 따른 영양상태 비교 (A comparison of nutritional status by intensive nutritional support in enteral nutrition patients)

  • 김보희;김혜숙;권오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2호
    • /
    • pp.132-139
    • /
    • 2018
  • 본 연구는 일반병동에 입원하여 3일 이상 경장영양을 시행한 성인 환자 95명을 대상으로 영양집중지원팀의 중재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영양중재를 받은 중재군과 받지 못한 군으로 분류하여 열량 및 단백질 지원율과 생화학적 지표를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환자의 입원초기부터 적절한 영양관리를 계획하고, 영양집중지원팀의 영양중재로 체계적인 관리를 실시하면 환자의 영양상태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영양불량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 영양집중지원팀의 중재를 받아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절차를 마련한다면, 이는 환자의 임상적 치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경장영양을 시행한 일반병동 환자를 대상으로 영양집중 지원팀의 중재 효과에 대한 초기 연구이며, 집중영양치료료 수가 신설 이후 진행된 연구다. 추후 일반병동 환자를 대상으로 영양집중지원팀의 중재효과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시행된다면 의료진의 관심이 증대 될 것이고, 나아가 영양집중지원팀의 중재를 통해 진료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건설 프로젝트 초기단계에서의 클레임 방지를 위한 클레임 요인 영향도 분석에 관한 연구 - 턴키공사 사레 중심으로 - (A Study on Analyzing Effect of Claim Factoy to Prevent Claim in Early Stage for Construction Project - Focusing on Turn-Key Project -)

  • 윤준선;서춘택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15권1호
    • /
    • pp.95-112
    • /
    • 2005
  • In the inner turn key constructions the problems of uniform types are repeatedly occurred, and, especially, many problems happen up to the stage of pre-construction(from a bid to a contract) owing to the specialties of the turn key constructions. So the claim factors of the Korean turn key constructions were abstracted in antecedent paper. When the technicians meeting the interior turn key constructions for the first time and working here now are well acquainted with only these factors, many claims will be prevented. By analysing the degree of claims by claims factors through the questionnaires to the experts about the abstracted factors and surveying the amount of the claims through the case studies, what factors exerted how much of influence on the claims was tested and analyzed. Studying and Manag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claims much led the technicians in charge of internal turn key constructions to the prevention and the proper solution of the site claims.

  • PDF

또래관계증진훈련 프로그램이 청소년 초기 아동의 자존감, 집단따돌림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Positive Peer Relationship Training Program on Self-Esteem, Bullying, and Depression for Children in Early Adolescence)

  • 정현옥;김희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133-141
    • /
    • 2014
  • 목적 또래관계증진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청소년 초기 아동의 자존감, 집단따돌림 및 우울에 미치는 중재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총 8회기를 한 장소에서 일정한 시간에 연구자와 2명의 연구보조원이 함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에게 4주간의 간격으로 자존감, 집단따돌림 및 우울 검사 설문지를 이용하여 사전사후자료를 수집한 후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날 실험군의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을 종결하는 날 실험군의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x^2$ test 및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또래관계증진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자존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집단따돌림과 우울은 유의한 차이가 있어, 본 프로그램이 청소년 초기 아동의 집단따돌림 및 우울을 감소시킴으로써 내적 적응력 및 대인관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또래관계증진훈련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중재효과 및 효율적인 재교육시기를 확인하기 위해서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추후조사를 해볼 필요가 있으며, 학교 및 지역사회 내에서 학생들의 내적 적응력과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중재전략 수립 시 또래관계증진 훈련프로그램을 활용한다면 본 연구의 결과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