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기노인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19초

통합예술치료가 초기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Integrative Art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with Early Dementia)

  • 백승숙;신동열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1호
    • /
    • pp.149-157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예술치료가 초기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살펴보고, 통합예술치료가 초기치매노인의 변화과정을 행동변화 관찰일지를 이용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이를 규명하고 논의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 통합예술치료가 초기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양적연구와 함께 질적연구를 통한 심층 분석을 이용한 혼합연구를 설계하였다. 양적연구는 수원시 P 구의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초기치매노인 20명을 실험대상으로 사전 사후검사를 하였고, 질적연구는 초기치매노인 10명을 대상으로 행동변화 관찰일지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첫째, 통합예술치료가 초기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유의한 영향(p<.001, t=-5.871을 미쳤다. 둘째, 통합예술치료가 초기치매노인의 우울에 유의한 영향(p<.001, t=5.325)을 미쳤다. 셋째,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초기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사전, 사후 변화에도 긍정적인 태도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통합예술치료가 초기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초기치매노인과 관련된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 등에 실효적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초기치매노인과 관련된 연구의 기초자료로 의미가 있다.

초기노인의 신체 변화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he Lived Experience of the Change of the Body in Young-Old Adults)

  • 이수진;이영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4-44
    • /
    • 2021
  • 본 연구는 초기노인이 경험하는 신체변화의 의미와 본질을 발견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J시 65세-74세 노인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초기노인이 체험하는 신체변화의 본질적인 주제로 '나이듦에 대한 연민', '타인의 모습 속에 투영된 나', '붙잡아두고 싶은 세월의 흐름', '외모에 우선하는 웰빙'이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급격한 신체변화가 나타나면서 변화된 몸에 대해 아쉬워하고, 이러한 변화를 타인에게서도 발견하게 되면서 누구에게나 나타나는 것임을 깨닫게 된다. 참여자들은 세월의 흔적을 지우고 싶어하지만 나이 들어 변한 신체 변화를 받아들이고 무엇보다 건강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건강한 몸을 위해 노력한다. 이는 초기노인의 신체변화에 대해 좀 더 이해하고 그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입소초기 경험 (The Experiences of the Newly Admitted Elderly Residents in Nursing Home)

  • 고진경;황인옥;오희영
    • 한국노년학
    • /
    • 제29권2호
    • /
    • pp.477-488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시설 입소초기(3개월)의 생생한 경험을 토대로 입소노인들이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여, 시설운영자들이 입소노인들의 입소초기 삶의 질과 연관된 요인들을 이해하는 근거자료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입소초기에 입소노인들이 겪는 심리사회적 문제에 효과적으로 개입, 중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Patton에 의한 주제분석 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고 6명의 입소초기 노인들과의 다면적 심층 면담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입소과정 및 입소초기의 경험으로 자발적인 입소결정, 가족의 강권에 따른 입소결정, 자율성의 제한, 개별성의 결여, 입소 전 후의 생활 연계성의 단절, 관계형성의 제한, 미래자아상에 대한 부정적 예견 등의 중심주제가 도출되었다. 시설입소에 대한 노인들의 초기반응에 영향을 주는 근본적인 조건은 독립성과 자율성이었으며 이러한 것들은 입소와 관련된 의사결정 과정 뿐 만 아니라 입소 이후의 적응에도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노인들에게 입소 후의 생활에서의 자율성을 비롯하여 일상 활동에 대한 선택의 기회를 부여하고, 입소노인의 안전을 위협하지 않는 한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은 직접 수행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삶이 독립적이라 생각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입소시설에 대한 적응도를 향상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신체적, 인지적 기능이 비슷한 노인들 간의 활발한 사회적 교류를 통해 새로운 대인관계를 형성하여, 삶의 재편성(reorganization)과 안정화(stabilization)가 일어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생애전환 초기 노인의 성별에 따른 낙상경험 및 내재적 요인 비교 (Comparisons of the Falls and Intrinsic Fall Risk Factors according to Gender in the elderly at Ttransitional Periods of Life)

  • 임은실;김도숙;김보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276-290
    • /
    • 201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생애전환기를 맞이한 초기노인을 대상으로 낙상경험과 낙상의 내재적 요인을 성별에 따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자는 2008년 1월부터 12월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실시한 66세 생애전환기 건강진단검사를 받은 수검자 중 자료가 불충분한 것을 제외한 255,505명을 대상으로 2차분석한 서술적 단면연구이다. 연구결과: 생애전환기를 맞이한 66세 초기노인의 낙상경험은 전체 10.6%로 남자 8.5%, 여자 12.4%로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낙상비율이 높았다. 남녀에서 낙상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배뇨장애 6.2-6.6배, 우울 1.5-1.8배, 보행장애 1.3-1.5배, 및 실명 1.3-1.4배 순서로 나타났다. 연구결론: 비록 내적 낙상위험요인이 다양할지라도 효과적인 낙상예방을 위해서 배뇨장애가 중요한 내재적 예측요인이며, 이는 초기노인의 낙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에 관한 연구: 전기와 후기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f Depression in Female Seniors Living Alone: A Comparison Between the Young-old and the Old-old Adults)

  • 임진섭;김제선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1호
    • /
    • pp.149-162
    • /
    • 2024
  • 본 연구는 우리사회에서 가장 취약한 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 여성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우울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변화패턴을 갖는지 그리고 이러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종단연구이다. 동시에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노인일지라도 연령에 따른 차이가 크다는 점을 고려하여 여성 독거노인을 전기(the young-old)와 후기노인(the old-old)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이 서로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은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는 패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건적 모형에서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궤적의 초기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그 외 도시보다는 대도시 지역에 사는 노인이,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운동을 하지 않는 노인이 초기 우울값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의 변화율(기울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대도시에 사는 노인이,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친교활동이 적을수록, 사회활동을 많이 할수록 우울수준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의 초기값과 기울기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사이에 일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후기노인의 경우 초기에 사회활동 참여정도가 높을수록 우울의 변화폭은 커지는 반면 전기노인은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없었다. 전기노인이 후기노인 보다 초기 주관적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우울의 변화폭이 컸다. 후기노인에게서만 초기에 주기적으로 운동을 하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초기 우울값이 높았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고령화 사회 구급서비스 활성화에 관한 연구 - 노인 응급환자 초기대응 시스템 개선방안 -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s for a Aged Society - Based on Possible Solutions to Improve Early Response System for Geriatric Emergency Patients -)

  • 정지연;황희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99-104
    • /
    • 2008
  • 최근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에 빠르게 진입되었다. 농촌지역의 노인 응급환자 초기 대응 시스템 개선을 위해 마을 방송 장비의 활용과 노인을 위한 응급처치 교육방법의 개선으로 보다 많은 민간구조자원을 확보하여 응급상황 발생시 초기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119의 노인 응급의료서비스 실태를 살펴보고, 고령화 시대 사회적 안전장치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노인 안전을 위한 구급서비스 개선 방안 및 노인안전 센터 개설로 인한 노인안전 인프라 구축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김천지역 노인들의 음주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s drinking in Gimcheon)

  • 이예종;이진우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90-392
    • /
    • 2009
  • 본 논문은 김천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남녀 노인의 음주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남자 노인이 여자 노인보다 음주 경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남자 노인은 10대부터 음주 경험이 있는 초기시작음주유형인 반면, 여자 노인은 나이가 들면서 음주를 경험하게 되는 후기시작음주 유형으로 나타났다. 음주를 하는 노인 중 40.6%는 정상음주를 하고 있었으며, 24.7%는 상습적 과음자로 나타났다. 또한 남자 노인은 '인간관계 유지'를 위해 음주를 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 때 '기분이 좋아지거나 어려운 일이 해결 된 것 같다'라고 응답하였다. 여자 노인은 남자 노인과 다르게 '기분전환이나 생활 스트레스'로 인한 문제로 음주를 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 때 '우울해지거나 하소연하고 싶어진다'는 또 다른 문제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 PDF

고혈압을 가진 저소득층 여성노인의 자가간호 행위와 우울증상 -초기노인과 후기노인의 비교- (Self-Care Behaviors and Depressive Symptoms of Low-Income Elderly Women with Hypertension)

  • 성기월;김미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93-602
    • /
    • 200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self-care behaviors and depressive symptoms between the young old (65-74 yr) and the old-old (75-84 yr) in low-income women with hypertension. Method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6 elderly women over 65 yr living in D city.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07 through personal interviews using a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Results: Self-care behaviors, functional status, and number of medication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young elderly and middle elderly.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are behaviors and depressive symptoms. 52.2% of variance in self-care behaviors of young elderly and 76.8% of variance in self-care behaviors of middle elderly were explained by depressive symptoms, number of medications, and functional statu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manage depressive symptoms to improve the self-care behaviors of low-income elderly with hypertension. Depressive symptoms need to be considered in planning hypertension programs for low-income elderly women.

노인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콘텐츠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 Case for the Improvement of Senior Cognitive Capabilities)

  • 정태원;하광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71-72
    • /
    • 2019
  • 의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현 사회의 노령 인구가 급증하는 가운데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신체능력 및 인지능력의 저하가 전 세계의 사회적 문제로 자리 잡았다. 인지능력의 저하는 치매로까지 연결될 수 있어 초기에 관리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인지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다양한 콘텐츠가 제작되고 있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콘텐츠들이 디지털화를 통해 효용을 높이고 있으나 노인을 위한 콘텐츠는 사용자의 특성상 디지털 콘텐츠로의 전환 및 활성화가 쉽지 않아 아날로그 콘텐츠가 현재까지도 일상 및 병원 치료활동에 주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현재 사용 중인 아날로그 콘텐츠의 사례분석을 통해 노인 콘텐츠의 특성을 파악하고 한계점을 도출해 노인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콘텐츠가 제공해야 하는 특성과 발전해나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 경도인지장애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로 수행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