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고강도 콘크리트

검색결과 440건 처리시간 0.031초

수축저감제가 초고강도콘크리트의 자기수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on the Effects of Shrinkage.reducing Agent on the Autogenous Shrinkage of Super.high.strength Concrete)

  • 박현;최명화;김학영;조승호;김우재;정상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401-40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물-결합재비가 아주 낮은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실험배합을 통하여 제조하고, 콘크리트의 수축억제 대책으로서 활용되고 있는 수축저감제를 사용, 초고강도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기초적인 연구를 실시하였다.

  • PDF

경계형 모델을 사용한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거더의 파괴역학적 해석 (Fracture Simulation of UHPFRC Girder with the Interface Type Model)

  • 궈이홍;한상묵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81-94
    • /
    • 2010
  • 본 연구는 선형 상보법으로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 I형보의 파괴역학적 해석을 수치해석으로 수행하였다. 기존의 보통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유사 취성 파괴역학적 수치해석을 기반으로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 재료역학적 구성모델파괴 면에 인장경화 관계를 도입함으로써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 I형 거더 해석을 개선시켰다. 상수변형률 삼각형 요소에 꼭지점 또는 요소의 중앙점 절점을 배제하고 요소의 변에 절점을 배치한 결합된 삼각형 요소를 사용하였다. 인장영역에서는 경화/연화 파괴역학적 구성모델을, 전단영역에서는 연화 파괴역학적 구성모델을, 경계절점의 압축에 대해서는 연화파괴역학적 구성모델을 사용하여 파괴역학적 해석을 수행하였다. Non-holonomic rate 형태로 경로에 의존적인 경화연화거동을 LCP로 방정식을 구성하였으며, 그 해는 PATH를 사용해서 구하였다. Piece-wise 비탄성 항복-파괴면은 두 개의 압축 caps, 두 개의 Mohr-Coulomb 파괴면, 인장항복면과 인장파괴면 등으로 구성하였다.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 거더의 변형거동과 파괴 상태와 비교하여 이 수치해석 방법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석고계 팽창재를 사용한 초고강도콘크리트의 자기수축 제어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on the Control of Autogenous Shrinkage of Super high strength Concrete Using Gypseous Expansive Additive)

  • 박현;윤기현;조승호;김광기;김우재;정상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439-440
    • /
    • 2009
  • 초고강도 콘크리트는 수화 반응에 의한 체적의 감소나 자기건조에 의한 수축이 큰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석고계 팽창재를 사용하여 초고강도콘크리트의 자기수축 제어에 관한 기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 PDF

초고성능 콘크리트(UHPC)의 부착특성에 관한 연구 (Bond Characteristics of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 국경훈;신현오;곽임종;윤영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753-760
    • /
    • 2010
  • 초고성능 콘크리트(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UHPC)는 종래의 보통 콘크리트와 다른 새로운 재료로써 높은 강도와 향상된 인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새로운 재료의 활용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부착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수정된 RILEM 방법을 사용하여 초고성능 콘크리트와 이형 철근의 인발실험(pull-out test)을 수행하였으며 보통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5~10배에 달하는 부착강도를 확인하여 기존의 설계 기준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한 정착길이와 피복 두께를 제안하였다. 700 MPa급 고장력 철근의 실험 결과의 비교로부터 초고성능 콘크리트에서 고강도 철근 활용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강연선의 응력전달길이 측정실험을 통하여 현재 전달길이 기준이 UHPC의 경우 매우 보수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실험 결과를 검증하였다.

초고층 빌딩용 상층부 콘크리트의 조기강도 확보를 위한 최적배합 도출에 관한 연구 (Part II - 80MPa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ptimum Mix Proportion for Early Strength of Concrete in the Upper Layers of High Rise Building (Part II - 80MPa))

  • 전인기;박용규;이주헌;최명화;윤기원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325-328
    • /
    • 2008
  • 현재 전 세계적으로 100층 이상의 초고층 구조물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인한 고강도, 고유동콘크리트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공사기간의 단축을 통한 생산성의 향상과 비용의 절감을 위해 콘크리트의 조기강도 발현성능을 향상시키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빌딩 상부콘크리트에 요구되는 조기강도발현 성능 및 기초적 물성을 검토하여 이에 적합한 최적화된 배합을 도출하고자 한다. 실험 결과 W/B가 낮을수록 압축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혼화재의 사용에 따른 콘크리트의 조기강도 발현 특성은 치환율이 높은 배합에서 조기강도 발현율이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강섬유와 철근집합체 조합을 이용한 초고강도 섬유보강 철근 콘크리트 I형 보의 연성거동에 관한 실험 (The Ductile Behavior Test of the Ultra High Perfomance Fiber Reinforced I Beam by the Combination of the Fiber and Group of Reinforcement Bar)

  • 박진영;한상묵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8-24
    • /
    • 2016
  • 본 논문은 강섬유의 일부를 철근집합체로 대체하여 초고강도 섬유보강 철근 콘크리트 I 형보의 연성거동을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섬유와 철근집합체의 조합을 가진 초고강도 콘크리트 I 형보 대한 휨거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강섬유의 혼입률은 0%, 0.7%, 1%, 1.5%, 2%이다. 철근집합체와 PS강연선 집합체가 압축구역에서 콘크리트를 구속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철근집합체와 강연선 집합체의 길이도 실험요소 중 하나이다. 이러한 실험요소를 조합하여 9개의 초고강도 철근 콘크리트 I 형보를 제작하였다. 강섬유 뿐만 아니라 종방향의 철근 집합체도 초고강도 철근 콘크리트 I형 보의 연성거동을 유도하는데 효과를 가지고 있다. 강섬유 혼입률 0.7% 또는 1%와 철근집합체를 사용한 조합이 I형 보의 효과적인 연성 거동을 보여주고 있다. 하중과 처짐관계 및 균열양상 등이 좁은 간격을 가진 작은 직경의 종방향 철근 집합체의 유용성을 나타내고 있다.

강섬유 보강 초고성능 콘크리트 보의 비틀림 거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Behavior of Steel Fiber Reinforced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Beams Subjected to Torsion)

  • 양인환;조창빈;이정우;김병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87-95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강섬유 보강 초고성능 콘크리트 보의 비틀림 거동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6개의 초고성능 콘크리트 보 부재에 대해 하중재하실험을 수행하여 비틀림 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부재의 실험변수는 강섬유 혼입량과 폐쇄 스터럽량이다. 강섬유 혼입량은 1.0% 및 2.0%로 변화하였고, 폐쇄 스터럽량은 0, 0.35% 및 0.70%로 변화하였다. 실험 결과는 강섬유양이 증가할수록 극한비틀림강도가 증가하고, 폐쇄스터럽량이 증가할수록 극한비틀림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비틀림 강도 예측식을 제안하였으며, 예측식은 콘크리트, 스터럽 및 강섬유의 비틀림 강도 기여분을 각각 고려하였다.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초고강도 콘크리트 보의 비틀림 강도 예측식의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비틀림강도 실험 결과를 예측값과 비교하였으며, 예측값은 실험 결과에 거의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안식을 이용하여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비틀림 강도를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