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험전시공간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7초

전시회 - 2011 대한민국 우표전시회 -최고액우표 및 최초우표 전시 뽀로로우표 등 우표수집에도 열광

  • 임남숙
    • 프린팅코리아
    • /
    • 제10권9호
    • /
    • pp.124-125
    • /
    • 2011
  • 평가액이 1억 6천만 원에 달하는 우리나라 최고가 희귀 우표와 함께 우리나라 최초의 문위우표를 볼 수 있는 전시화가 열렸다. 바로 2011 대한민국 우표전시회다. 지식경제부 우정사업본부(본부장 김명룡)는 '2011 대한민국 우표전시회'를 지난 7월 28일부터 8월 1일까지 닷새 동안 삼성동 코엑스(COEX) A홀에서 개최했다. 올해로 53회째를 맞는 대한민국우표전시회는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국내 최고의 우표전시회로 '우표로 만나는 지구촌 문화'를 주제로 세계문화와 역사를 체험을 할 수 있는 교육문화 공간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운영됐다.

  • PDF

가상건축(假想建築)의 공간체험(空間體驗)을 위한 전시방안(展示方案) 연구 - 국민대학교 제11회 건축전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Exhibition Method for Spatial Experience in the Cyber - Architecture with Virtual Reality)

  • 황선휘;이종렬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6
    • /
    • 2004
  • There are many spreading effects that never experienced before due to digital progress of the present age. Digital progress produce innovative changes now in cultural environment, architectural process, exhibition techniques, called the age of digital technology. The functional relation between 'Digital' and' Architecture' must not to be overlooked in field of cyber architecture, further more, space design, so that requests some necessary to build new paradigm for digital presentation and spatial experience.

  • PDF

한중 공룡박물관의 XR 기술 연구 (A Study on XR Technology in Korean and Chinese Dinosaur Museums)

  • 장문습;양영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583-590
    • /
    • 2023
  • 과학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오늘날 박물관의 전통적인 전시 형식은 이미 사회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 등 확장현실 기술의 강점과 핵심 기술을 분석하여 박물관 XR 전시인터랙션 방안을 분석하였다. 먼저 이론 조사를 통해 XR 기술의 개념, 관람 체험의 개념과 영향 요소, 그리고 XR 기술의 응용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의 공룡박물관을 선정하여 관람객들의 전시 현장 실제 체험과 XR 기술 활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룡박물관에서 XR 기술을 사용하면 가상세계와 현실세계의 효과적인 융합을 실현하고 관람 공간을 확대할 수 있다. 이는 관람객에게 더욱 심층적인 상호작용 체험을 제공하고 전시 방식을 풍부하게 만들어 박물관 체험을 더욱 흡인력 있게 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XR 기술이 박물관의 디지털 전환을 실현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디자인 체험전시관의 전시공간구성 및 연출에 관한 연구 - 어린이 체험관의 아이템 선정과 대안제시 - (A Study on Space Plan and Production for the Design Exploratorium - The Selection of Items and the Presentation of Alternative Plans in a Children′s Design Exploratorium -)

  • 고도재;임채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04-111
    • /
    • 2003
  • Today, design is considered to have competitive power for a county, so there has been various efforts such as education, publicity and development, etc. Design has long been a national material, and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KIDP) was inaugurated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publicity, development and the management, public ownership, support of the contents. Laying stress on the results, however, the design education for children which would be the heart of a world design power is short of both investment and systematic study of education. Now that the design education for children is being active, the cultural spaces are needed to transform the current system focused on schooling and textbooks into the participating, experiential ones by the interesting, educational, and entertaining presentation. The children design exploratorium should make children have their own feelings, and present communicative methods considering children's cognition and behaviors. So, in this study, I'd like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ting and experiential exhibition, and present a children design exploratorium as an alternative plan by the application of adequate methods to the exhibition medium, and the analysis of current exploratoriums' features case by case. The children design exploratorium is the place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of design by children's easier and exciting participation, which would offer an unique exhibition place for children to comprehend designs.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alternative presentation of children design exploratoriums, I would refer to the future direction of the 21st century pavilions, the search for the exhibition items for active design education, and the contribution to practical plans.

  • PDF

Digilog를 이용한 과학관의 활성화 방안 (A study on Vitalizations of Science Museum with Digilog-Book)

  • 윤영두;최훈;최은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66-568
    • /
    • 2013
  • 최근 정부의 창조과학의 일환으로 과학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과학전시는 인프라의 부족과 예산 및 인력의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이다. 과거의 과학관은 현장학습 체험의 대표적인 장소이자 유청소년들의 호기심의 장소였다. 그러나 현대에는 과학관의 경쟁상대는 테마파크나 온라인 게임들이 경쟁의 대상으로 부각되어지면서 체험과 교육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학체험 전시기기의 변화가 요구되어진다. 해외 선진 과학관의 사례를 살펴보면 과학관이 단순한 과학교육 체험의 장이 아닌 하나의 문화공간으로서 휴식과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고 있으며, 과학이외에도 주변 생활을 다양한 장르의 예술이나 패션 등과 결합하여 전시를 기획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획일화 되어진 전시기기의 설명 패널을 디지로그 북을 이용한 설명 패널로 교체하여 관람객의 연령과 학년에 맞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과학지식에 대한 지적 호기심 유발과 관람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 PDF

전시공간에서의 촉지적(Haptic)연출 방법에 대한 연구 - 체험전시 공간 중심으로 - (A Study on Haptic Presentation Methods in the Experience Exhibition Spaces - With Experience Exhibition Space -)

  • 조민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229-239
    • /
    • 2015
  • The 21st century is a multiplication age and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have become diverse and peoples' desires and individuality have become important. Accordingly, the sensibility that reflects human taste is also required in the exhibition space. The exhibitions in this age induce the direct cognition of senses or take interactive forms that contact diverse media and re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fine the concept of haptic presentation method in which the audience perceive in the exhibition space by themselves and the visual elements spread into other senses and perceive complexly, and to present the directional nature. To conduct this research, first, this researcher recognized that haptic sensory experiential research by analyzing the roles and transition history of exhibition space is needed for the present age Second, based on philosophical theories, four haptic sensory expression characteristics (medium nature, experiential nature, attractiveness, sensitiveness) were derived by substituting Giles Deleuze's four haptic spatial characteristics (grasping short distance, dispersed gaze, cognition of bodily movement, formation of synesthesia through complex senses) and six formative factors of exhibition space (space, form, size, light, quality of materials, and color). And the effective exhibition presentation methods were analyzed through six cases of experiential exhibition spaces. Accordingly, what matters in the experiential exhibition space is to produce the four characteristics: medium nature, experientiality, attractiveness, and sensitiveness in equilibrium. It is necessary for the designers to reflect it appropriately in producing so that the audience can think and experience by themselves. Accordingly, in this thesis, it could be seen that to produce the haptic production characteristics in the experiential exhibition space in equilibrium is the important factor in the experiential exhibition space. In conclusion, experiences in the exhibition space should be approached with the transcendental haptic presentation method by which even the space of actually unexperienced cognition can be expanded and experienced through the metastasis and tension of various senses. Also, researches on such senses should be developed continuously, and this researcher expects that this will become a stimulant to present a new directivity.

메타버스환경에서 온라인 개인 전시 방법 연구 (Study On Online Platform For Personal Exhibition In Metaverse Emvironment)

  • 박유미;신춘성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6호
    • /
    • pp.37-50
    • /
    • 2022
  • 본 논문은 온라인 환경에서 작가들이 자립적으로 개인 전시를 열 수 있도록 메타버스 플랫폼을 바탕으로 전시공간을 구축하고 제공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한다. 해마다 많은 작가가 배출되고 있음에도 많지 않은 미술관으로 인해 오프라인 전시가 힘들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2019년 말부터 코로나로 인하여 오프라인 전시가 불가능해짐에 따라 그에 대한 대체 방안으로 온라인 전시가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해 웹, 동영상, 가상현실 및 메타버스 환경 등 기존의 온라인 전시 방법 및 관객의 관람 방법의 사례를 분석하고 최근 주목받고 있는 메타버스 환경을 고려한 개인 전시 방향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메타버스 기반 개인 전시 방향은 작가들이 메타버스에서 공간을 구성하고 작품을 배치하고 이후 관람자들이 원격지에서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제안하는 전시 방향을 바탕으로 대표적인 메타버스 플랫폼을 적용하여 전시공간 및 작품 구성과 사용자들의 전시체험에 대한 특성과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온라인 전시가 대두된 상황에서 오프라인 전시만이 아닌 온라인전시회에서 작가가 추구하는 방향으로 공간부터 구성할 수 있는 점과 경제적인 면을 부각하며, 코로나 종식 이후 온라인 전시가 부수적인 존재가 아닌 또 다른 장르의 전시회가 되기를 기대하며 작가들의 온라인 및 메타버스 안에서 개인 전시가 활성화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디지털 전시 공간에서 발생하는 관람자의 참여 경험이 반영된 디지털 전시의 분석 (Analysis of Digital Exhibitions Reflecting Participation Experience of Visitors in Digital Exhibition Space)

  • 박시은;성정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36-344
    • /
    • 2018
  • 본 논문은 디지털 전시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디지털 전시에 적합한 분류와 분석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디지털 전시 분류와 분석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새로운 기준의 필요성을 제시하여, 새롭게 등장하는 디지털 전시의 개념과 형식의 변화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분석 기준을 정립한다. 디지털 전시는 상호작용적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전시 기획과 형식에 의해서 자연 발생하는 관객 참여에 대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기존 디지털 전시 공간에 대한 분류와 분석은 키워드 중심의 개념적 분류를 하고 있다. 이는 전시와 작품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전통적인 방법론이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디지털 전시에서 전시공간, 작품, 관람객 간의 상호작용적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디지털 전시에서 작품과 관객 간에 이루어지는 수행적인 분류가 필요하다. 그래서 관객이 느낀 것을 토대로 전시 분류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시의 분류와 구성에 대한 해석을 위해서 벤야민의 주장에 따라 관객과의 상호작용성과 밀접한 관객의 감각체험 분류와 현재화를 참조하고, 채트먼의 서사구조에 기반을 둔 미술 전시 내러티브 구조에 따라 디지털 전시에 대한 분석 기준을 제시한다. 이러한 분류 방법론이 전시정보를 관람객에게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하고, 나아가서는 디지털 전시의 확장성과 접근성을 확보하는 선행 연구가 될 것이다.

체험전시공간 시지각적요소의 체류지원성향상을 위한 연구 - 경기도 어린이박물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y affordance for Visual Perception factors in Experience Exhibition Space - With Focus on Gyeonggi Children Museum -)

  • 송정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95-204
    • /
    • 2013
  • Today, the children's museum evolved from place of exhibition for seeing and feeling, to that of exhibition for searching and touching, or so-called the hands-on exhibition. This will allow for grabbing the interest from children and provide an opportunity for learning by an actual experience at this intellectual and benign environment. But in this modern society that constantly undergoes evolution even as we speak, it is not an easy task to bring our children to museums, because they are vastly exposed to various media. Moreover, if the children who visited museums carelessly bypass the specific areas intended for exhibition, the educational purpose of "enhanced learning effect with hands-on experience" is easily underachieved. According to children's visual stimuli, their behavioral charactoristics are appeared to freewill curiosity but they show shorter elapsed time(impermanence), intensity(stubbornness), frequent occurrence(frequentness) and changeable (translatability). So, We need Improvement of visual image affordance through the measurement of stay time. Firstly, five factors are extracted by factor analysis on twenty questions based on visual image factors; Color accessability and Satistaction(factor1), brightness and color harmony(factor2), feeling on harmonization of color and stay time(factor3), simplex & complex of space(factor4), feeling on scale(factor5) Secondly, the following result are derived through a distribution chart on an exhibition room of K-museum. As shown above, this study based on various analyzed aspects proposes the directions of a color image plan to improve stay time in exhibition space of children museums with a hope to support educational goals of experience education-focused children museu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