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Online Platform For Personal Exhibition In Metaverse Emvironment

메타버스환경에서 온라인 개인 전시 방법 연구

  • 박유미 (전남대학교 문화학과) ;
  • 신춘성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 Received : 2022.07.08
  • Accepted : 2022.08.01
  • Published : 2022.07.31

Abstract

This proposes a direction to build and provide an exhibition space based on the metaverse platform so that artists can independently open their own exhibitions in an online environment. Although many artists are produced every year, offline exhibitions are becoming difficult due to not many art galleries, and offline exhibitions are becoming impossible due to Corona, which began at the end of 2019, and online exhibitions are emerging as an alternative. We analyze cases of existing online exhibition methods and visit online exhibition methods such as web, video, and virtual reality and metaverse environment then present a plan for individual exhibi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recent metaverse environment. The proposed metaverse-based personal exhibition method is structured so that artists can construct a space on the metaverse and place their works, and then viewers can freely take a look on it from a remote location. Based on the proposed exhibition direction, the representative metaverse platform was applied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and possibilities of exhibition space and composition of works and users' exhibition experience. In the face of the rise of online exhibitions, space can be constructed in the direction the artist pursues in online exhibitions as well as offline exhibitions, but also online exhibitions, and hopes that online exhibitions will become another genre of exhibitions rather than incidental after the end of Covid-19.

본 논문은 온라인 환경에서 작가들이 자립적으로 개인 전시를 열 수 있도록 메타버스 플랫폼을 바탕으로 전시공간을 구축하고 제공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한다. 해마다 많은 작가가 배출되고 있음에도 많지 않은 미술관으로 인해 오프라인 전시가 힘들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2019년 말부터 코로나로 인하여 오프라인 전시가 불가능해짐에 따라 그에 대한 대체 방안으로 온라인 전시가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해 웹, 동영상, 가상현실 및 메타버스 환경 등 기존의 온라인 전시 방법 및 관객의 관람 방법의 사례를 분석하고 최근 주목받고 있는 메타버스 환경을 고려한 개인 전시 방향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메타버스 기반 개인 전시 방향은 작가들이 메타버스에서 공간을 구성하고 작품을 배치하고 이후 관람자들이 원격지에서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제안하는 전시 방향을 바탕으로 대표적인 메타버스 플랫폼을 적용하여 전시공간 및 작품 구성과 사용자들의 전시체험에 대한 특성과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온라인 전시가 대두된 상황에서 오프라인 전시만이 아닌 온라인전시회에서 작가가 추구하는 방향으로 공간부터 구성할 수 있는 점과 경제적인 면을 부각하며, 코로나 종식 이후 온라인 전시가 부수적인 존재가 아닌 또 다른 장르의 전시회가 되기를 기대하며 작가들의 온라인 및 메타버스 안에서 개인 전시가 활성화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정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o.2021R1F1A1047682).

References

  1. 이은영, 김봉석, 윌리엄캐넌헌터, "코로나19 이후 등장한 온라인전시회 유형: 온라인전시회 플랫폼 특성을 중심으로," 한독경상학회, 제39권, 제2호, 77-95쪽, 2021년 6월
  2. 이지영, "온라인 전시 효율화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 온라인과 오프라인 전시 비교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논문, 2003년
  3. 임혜경, "국립청주박물관의 온라인 전시 콘텐츠로 보는 비대면 시대의 박물관 전시," 내일을 여는 역사, 제79권, 458-469쪽, 2020년 12월
  4. Bentkowska-Kafel, A., Cashen, T., & Gardiner, H, "Digital art history: A subject in transition", Portland: Intellect Books, Vol. 1, 2005.
  5. Lester, P, "Is the virtual exhibition the natural successor to the physical?", Journal of the Society of Archivists, Vol. 27, No. 1, pp. 85-101, Jan. 2006. https://doi.org/10.1080/00039810600691304
  6. 이꼬까, "온라인 미술관, 가상공간에서의 전시," 미술세계, 104-107쪽, 2013년 8월
  7. 이언주, "미술관 온라인플랫폼의 사례분석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역량 연구 : Tate, MoMA, MMCA, SeMA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년
  8. 김보름, 용호성 "포스트 코로나 시대 뮤지엄 온라인 전시유형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제20권, 제3호, 95-104쪽, 2020년 9월
  9. 육지현, 이재규 "온라인 전시 통합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3권, 제4호, 71-80쪽, 2018년 8월
  10. 김소연, "온라인 전시 프리젠테이션 특성 분석 - 국립 과학관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제17권, 제4호, 51-62쪽, 2016년 8월
  11. 정한결, 윤재영, "온라인 전시 플랫폼 유형에 따른 사용자 경험과 선호도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22권, 제5호, 481-503쪽, 2021년 10월
  12. 김보름, 용호성, "가상 전시공간의 유형별 특성과 함의,"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22권, 제8호, 1303-1314쪽, 2021년 8월
  13. 강혜인, 김휘재, 이민구, "발전 가능성이 많은 작가들을 위한 온라인 개인 전시 플랫폼 어플리케이션 개발 연구,"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746-749쪽, 2021년 1월
  14. 류지민, 최용순, "작가들을 위한 온라인 전시를 응용한 AR 전시 애플리케이션,"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430-436쪽, 2021년 1월
  15. 송지성, 이민지, "VR 기술을 접목한 온라인 전시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사용자 경험에 따른 UX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8권, 제1호, 213-223쪽, 2022년 3월
  16. 박성빈, 김인성, "미술관의 서비타이제이션(Servitization)을 통한 온라인 전시 활성화에 관한 연구 - 국립현대미술관 온라인플랫폼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 27권, 제2호, 131-143쪽, 2021년 6월
  17. 유원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전시 형식에 관한 연구 - 게이미피케이션 방식의 전시를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제43권, 제12호, 487-508쪽, 2021년 12월
  18. 김영익, 정기영, 김현우, "실감 체험형 비대면 3D 웹 전시관 플랫폼에 관한 서비스 기획 및 구축 연구,"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제9권, 제2호, 93-102쪽, 2021년 6월 https://doi.org/10.22716/SCKT.2021.9.2.017
  19. 이현주, 한광희, "온라인 큐레이션 플랫폼을 이용한 정보 제공이 현대미술 감상에 미치는 효과," 감성과학, 제20권, 제3호, 151-168쪽, 2017년 9월 https://doi.org/10.14695/kjsos.2017.20.3.151
  20. 신원정, "도대체 무엇이 미술작품을 그토록 색다르고 흥미진진하게 만드는가? - 디지털화 시대의 미술보기," 미술사학보, 제52권, 131-151쪽, 2019년 6월
  21. 구지향, 김태양, 신동희, "온라인 전시에서 몰입감을 높이기 위한 어포던스 요인에 관한 연구," 디자인지식저널, 제31권, 239-250쪽, 2014년 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