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질분류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24초

사상체질분류검사(QSCC II)의 재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producibility of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for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I (QSCC II))

  • 조정훈;이창훈;장준복;이경섭;황덕상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45-150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producibility of responses to the QSCC II. Methods: Subjects have been tested by QSCC II for 2 or 3 successive years in Kangnam Korean Hospital at Kyunghee University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05. We analyzed constitutions of the same subjects of each year tested. Results: In the second year of QSCC II assessment, 333 of the total 584 subjects were classed as the same constitutions as in their first test. The reproducibility was thus 56.88%. After the third year of QSCC II, 45 of a total 81 subjects were in the same constitutions. The reproducibility was thus 55.56%. Conclusions: We have found that the reproducibility of QSCC II is about 56%, so there is a severe limitation to diagnosis of constitution by QSCC II. Therefore, we must analyze constitutions through multiple objective methods.

  • PDF

초등학생의 체질량지수 분류에 따른 천식, 알레르기비염, 아토피피부염 유병률 (The Prevalence of Asthma, Allergic Rhinitis, and Atopic Dermatiti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 장정미;전상희;최진이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0-237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prevalence of asthma, allergic rhinitis, and atopic dermatiti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cross-sectional descriptive research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6,398 students at 15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Y City in Korea. The cross-sectional survey used the Korean version of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questionnair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odds ratios of body mass index. Results: The symptom prevalence of asthma, allergic rhinitis, and atopic dermatitis in the last 12 months was 12.4%, 49.5%, and 24.5%, respectively. The symptom prevalence of asthm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besity group. The number of those without any asthma symptom in lifetime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overweight (OR=0.70, p=.004) and obesity (OR=0.57, p=.005) groups than in the healthy weight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sthma, allergic rhinitis, and atopic dermatitis preven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include weight control intervention.

이제마(李濟馬)가 제시한 체질별(體質別) 약물분류(藥物分類) 원칙(原則)에 대한 연구(硏究)

  • 임진석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45-360
    • /
    • 2000
  • I In the rearch of the principle of herb classification based on constitution I have recognised Lee Jae Ma(李濟馬)'s medical thought on the herb. He had believed that herb must be used when needed, also had opposed taking overdose of medicine. And he had prescribed to a patient based on constitution.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 1. In the classification of herb according to constitution, Although Gimilon(氣味論) that empasized in the herbal medicine have had reference value but cannot be absolute classific standard. The medicinal portion of herb was not significant. And through research the past prescription that were qouted by Lee Jae Ma cannot find a meaningful result. 2. Lee Jae Ma denied the tradtional GuiKyung(歸經) theory, and classified into Iung(肺), spleen(脾), liver(肝), kidney(腎). And when he gave medical teatment, he has used the methods of the supplement to weakned organ. 3. On the principle of herb classification based on constitution, Lee Jae Ma had presented general rule that are fragrance(馨), odor(臭), liquid(液), taste(味). Although it had suitable tendency but cannot complitely coinside with the actual. Therefore I interpreted fragrance(馨), odor(臭), liquid(液), taste(味) into the symbol that represent the chief effect. On these conception it's necessary more study.

  • PDF

사상 체질별로 분류한 여대생의 식사내용이 혈청과 뇨중 성분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한 연구 (Effect of Diet Contents on Serum Composition and Urinary Excretion in Female Students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 박귀선;한진숙;김현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71-279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serum composition and urinary excretion in four institutional groups and the effects of intakes of good foods and harmful foods according to the Sasang constitiution for a short time on serum and ruine compositon. The contitutions of 33 female stucdents were classified by O-ring test and muscular strength test according to the Sasang constitution, The number of each institutional group was So-yang-in 11, So-em-in 10 and Tae-em-in 12. No subject belonged to Tae-yang-i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ontitutional groups in the values of most serum composition and urinary excretion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glucose, calcium and phosphorus in Tae-em-in was the highest among groups and the level of albumin and total protein in So-em-in was highest. The values of serum compositions changed after the 33 subjects took good foods and then harmful foods according to The Sasang constitution for a short time(5 days). Dietary behavior of the subjects had some effects among the constitutional groups in the values of most serum composition and urinary excretion. But the effects of dietary behavior on the serum composition and urinary excretion showed various trends in the four institutional groups.

  • PDF

정상인의 12경맥 측정전위에 대한 유의성 분석(2) -서카디안 리듬, 사상체질분류를 중심으로- (Significance test for electric potential of meridian system(2) -Among circadian rhythms and classification of Sasang constitution-)

  • 남봉현;최환수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85-103
    • /
    • 2001
  • Objectives : Assuming that the characteristic of meridian system has been similar to this of electric potentials in human body and that measurements of electric potential at well(井穴) and sea(合穴) points in branches of the twelves meridians will be representative of measurements of the twelve meridians, to measure the electric potentials in twenty aged(TAG) and fifty aged(FAG) healthy volunteers groups when they were sleeping or awakening respectively, to do significance test for electric potential of meridian system among circadian rhythms(CR) and Sasang constitutions(SC). Methods : We selected who thirty healthy volunteers were diagnosed by a blood test, urine examination and differentiation of syndromes by five viscera among volunteers. When they were sleeping, their electric potentials of well and sea points in branches of the twelve meridians were simultaneously measured by physiograph. After a minute we measured them again, totally 5 times. And then when they were awakening, their electric potentials were measured 5 times by the above method. Results : Measurements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ANOVA test, we obtained that some of the electric potentials of TAG at sleeping significantly varied with CR, SC, and at awakening some of the electric potentials of FAG also significantly did with CR, SC.

  • PDF

성격점수를 이용한 ROC-curve 기반 사상체질 분류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asang Constitutional Classification Methods based on ROC-curve using the personality score)

  • 김호석;장은수;김상혁;유종향;이시우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107-113
    • /
    • 2011
  • Objectives : Sasang typology is extensively studied for the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objectification with various data, for example, questionaires, reference materials, etc and analyzed with the several statistical methods. In this study, we used ROC-curv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to diagnose Sasang constitution, which is a kind of epidemiologic research methods and is away from traditional statistical methods. Methods : We collected personality questionnaire which consists of 15 items, from 24 oriental medical clinics. We analyze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using ROC curve method based on the score of personality questionnaire and also investigated classification accuracy and cut-off value of Sasang constitution. Results : The AUC (area under the ROC curve) value was 0.508 (p=.5511) for Taeeumin, 0.629 (p<.0001) for Soeumin and 0.604(p<.0001) for Soyangin, respectively. so the classification accuracy for Soeumin was highest Soeumin for over 30 points and Soyangin for below 28 points respectively. Conclusions : We suggest that Taeeumin is not classified easily in the ROC-curve analysis. We may classify Soeumin and Soyangin but the accuracy of Sasang constitutional diagnosis is still low.

건강한 성인의 담석 유병률과 위험인자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Gallstones in Adult Health Screening Population)

  • 이미화;권덕문;조평곤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7권4호
    • /
    • pp.287-294
    • /
    • 2014
  • 담석은 담도계의 가장 흔한 질환으로 최근 우리나라에서 콜레스테롤 담석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위험인자로는 연령, 여성, 비만 등이 거론되고 있다. 본 연구는 건강검진자를 대상으로 최근 3년간의 담석의 유병률 및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1년 1월에서 2013년 12월까지 대구지역 종합검진전문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4,696명을 대상으로 성별과 연령별 분표를 조사하고 키와 몸무게, 공복혈당과 간기능 및 기본 지질 검사를 하였고, 초음파 검사를 통해 담낭의 담석을 진단하였다. 체질량 지수에 따라 저체중, 정상체중, 과다체중, 비만 집단으로 나누었고, 공복혈당 수치는 미국 당뇨 협회에서 제시한 당뇨병의 진단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간기능 수치는 본원에서 사용하는 간기능 정상치를 참조하여 대상군을 나누고 지질 수치는 NCEP APTIII에 따라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담석이 발견된 경우는 148명(3.15%)으로 남자 84명(1.79%), 여자 64명(1.36%)으로 남자에서 더 높았으나 성별 간 유병률은 차이는 없었다. 연령별 유병률은 40대 이하 1.84%, 40대 3.38%, 50대 이상 4.66%로 담석이 없는 집단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3). 또한 담낭 담석으로 판명된 대상자의 신체검사 상 고지혈분류 항목에서 비정상군은 Total-cholesterol 52명으로 가장 많았고, LDL-cholesterol 39명, Triglyceride가 36명, HDL-cholesterol 19명이였다. 단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연령, 공복혈당, 체질량지수는 담석의 유병률과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고,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도 연령, 체질량지수가 담석증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선정되었다. 결론적으로 비록 담석이 대사증후군과의 관계에서 나타나지 않았지만 이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건강검진 대상자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생리적 요인과 생활습관이 폐경 후 여성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siological Factors and Lifestyles on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 승정자;최윤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6호
    • /
    • pp.517-52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폐경 후 여성 64명중 골밀도 분류에 따라 골다공증군 (20명), 골감소군 (24명), 정상군 (20명)으로 분류한 뒤 신체계측, 골밀도 측정, 설문조사를 통하여 생리적 요인과 생활습관이 폐경 후 여성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62.09세, 평균 신장은 153.78 cm로, 골밀도에 따른 세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평균 체중은 56.09 kg, 체질량 지수 (BMI)는 23.7 $kg/m^2$로 정상군이 골감소군과 골다공증군에 비해 높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 < 0.001). 2) 요추와 대퇴 경부의 평균 골밀도 T-값은 각각 -1.75, -2.15로 나타났으며, 평균 요추 골밀도는 0.84 $g/cm^2$, 대퇴경부 골밀도는 0.71 $g/cm^2$로 세 군간에 유의성 (p < 0.001)이 나타났다. 3) 평균 가임기간은 31.3년으로, 세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정상군이 골다공증군과 골감소군에 비해 길었다(p < 0.05). 평균 폐경 후 기간은 14.2년으로 골다공증군이 골감소군과 정상군에 비해 길게 나타났다 (p < 0.05). 평균 최종 출산 연령은 33.67세로 골다공증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늦게 나타났다 (p < 0.05). 4) 갱년기 증세는 전체 대상자의 43%가 경험 했다고 하였는데. 기타 (37.21%)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우울증 (27.91%), 불면 (18.60%), 발열 (9.30%), 안면홍조(6.98%) 순이었고 세 군 간에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증세의 강도는 51.85%가 증세가 없었거나 약하게 경험하였다고 하였으며, 보통 수준은 38.89%, 심한 편은 9.26%로 대부분의 대상자들은 갱년기 증세를 약하게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고 세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5) 평균 운동시간은 하루에 1시간이었고, 정상군 (79.44분)의 운동시간이 골다공증군 (55.22분)과 골감소군 (68.33분)에 비해 긴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마찬가지로 옥외 활동시간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6) 연령 보정 후 요추 및 대퇴 경부 골밀도는 체중, 체질량 지수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p < 0.001). 연령과 BMI 보정 후 생리적 요인은 요추 및 대퇴 경부 골밀도는 유의적인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7) 연령과 체질량지수를 보정 한 후 생활습관은 골밀도와 유의적인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폐경 후 여성의 골밀도와 체중은 기존의 연구보고에서와 같이 밀접한 관련성이 있어, 폐경이후 정상체중 유지는 골다공증 예방에 중요한 보호인자로 나타났다.

만 40세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수검자의 우울기분과 영양 생활습관 및 건강특성과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obesity, blood and urinary compositions, and dietary habits and depressed mood in Koreans at the age of 40, a life transition period)

  • 추지은;이지민;조한익;박윤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3호
    • /
    • pp.261-275
    • /
    • 2013
  • 본 연구는 만 40세 중년기의 대규모 성인을 대상으로 우울한 기분상태와 비만, 복부비만, 대사증후군, 혈압 검사, 혈액 검사 및 요검사의 건강특성 그리고 영양 생활습관 특성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는 2011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전국의 16개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의원을 방문하여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을 수검한 총 27,684명의 검진결과에 대해 생애전환기 1차 건강진단의 문진에서의 정신건강 간이검사 결과에 따라 우울기분군과 비우울군을 분류하여 건강상태 및 영양생활습관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연구대상자의 6.4%인 1,781명은 우울기분군으로, 93.6%인 25,903명은 비우울군으로 분류되었다. 성별로는 남성의 4.3%, 여성의 8.0%가 우울기분군으로 우울기분의 분포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지역에 따라 다소 편차를 보였고, 건강보험가입자보다 경제적으로 취약한 의료급여수급자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다. 또한 가족력이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 기존질환이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 우울기분의 높은 분포가 유의하게 높았다. 체질량지수 (BMI)가 18.5 $kg/m^2$ 이하의 저체중에서 우울기분과의 관련성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과체중 및 비만군은 정상군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허리둘레 기준 남성 90 cm 이상/여성 85 cm 이상의 복부비만에서 우울기분의 분포가 유의하게 높았고, 복부비만에서 우울기분의 오즈비가 유의하게 증가함을 보였다. 체질량지수의 저체중과 복부비만은 다른 일반 특성 및 흡연, 음주, 신체활동 등의 보정 후에도 유의적인 관련성을 나타냈다. 혈액 및 요검사 결과에서는 HDL-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라이드 결과에 대한 질환의심 비율이 비우울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혈색소 결과에서는 질환의심의 비율이 우울기분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우울기분의 오즈비에 대해서는 다른 일반 특성 및 흡연, 음주, 신체활동 등의 보정 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양생활습관 평가 결과에서는 총점 28점 미만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식습관을 갖고 있는 비율이 우울기분군에서 비우울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특히 '우유, 두유, 유제품', '육류, 생선, 달걀, 콩, 두부를 통한 단백질 식품', '김치이외의 채소', '과일이나 과일 주스' 등의 섭취빈도가 낮을수록 '매끼 정해진 시간 식사'를 하지 못하는 경우에 우울기분과 더 높은 관련성을 가지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만 40세 성인의 우울기분은 영양 생활습관과 체질량지수 및 허리둘레에 따른 주요 건강특성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부정적인 영양생활습관은 우울기분과 높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질병예방과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심리적 정신적인 건강관리를 위한 지원을 함께 병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우울기분의 관리를 위해서는 영양생활습관의 개선을 교육,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료된다.

러프 하한 근사를 갖는 로컬 커버링 기반 규칙 획득 기법을 이용한 섬망 환자의 분류 방법 (A Classification Method of Delirium Patients Using Local Covering-Based Rule Acquisition Approach with Rough Lower Approximation)

  • 손창식;강원석;이종하;문경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9권4호
    • /
    • pp.137-144
    • /
    • 2020
  • 섬망은 의식 장애, 주의력 장애 및 언어력 장애와 같은 일시적인 인지 장애가 있는 환자, 특히 노인에서 나타나는 가장 흔한 정신 장애 중 하나이다. 섬망은 환자와 가족에게 고통을 주고, 통증과 같은 증상의 관리를 방해할 수 있으며 노인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장기 요양 시설에서 섬망 환자를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임상적 지식을 생성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러프 하한 근사 영역을 갖는 로컬 커버링 규칙 기법을 활용하여 섬망과 관련된 임상적 분류 지식을 추출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은 전향적 코호트 연구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섬망 기간이 12일 이상 지속될 수 있는 6가지 유용한 임상적 증거를 발견하였고, 체질량 지수, 동반질환 지수, 입원경로, 영양결핍, 감염, 수면박탈, 욕창, 기저귀 사용과 같은 8가지 인자들이 섬망 결과를 구별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분류 성능은 통계적 5-겹 교차검정 방법을 사용하여 3가지 벤치마킹 모델, 즉 ANN, RBF 커널 함수를 활용한 SVM, 랜덤 포레스트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3가지 모델 중 가장 높은 성능을 제공한 SVM 모델과 비교했을 때 정확도와 AUC 기준에서 평균 0.6%와 2.7% 개선된 성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