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육 동호인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4초

코로나-19시대 스포츠시설 이용고객의 운동방해요인이 여가만족과 건강관련 삶의 질(EQ-5D) 관계 (The Effects of Disturbance Factors of Exercise on Leisure Satisfactio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EQ-5D) in Sports Facility Users in the Era of COVID-19)

  • 신정훈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203-211
    • /
    • 2021
  • 본 연구는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 팬더믹 시대에 운동방해요인에 따른 여가만족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지속적인 운동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생활체육 동호인 353명으로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 후 연구에 동의하는 대상자만 연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운동방해요인은 여가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방해요인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여가만족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사회적으로 코로나 19가 종식되길 바라지만, 위드코로나를 대비하여 체육시설에서는 방역과 개인 위생에 꾸준히 노력하여 건강을 위하여 많은 생활체육 동호인들이 체육시설에 나와 운동을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면 건강생활에 도움을 줄 것이다.

체육 동호인들의 개인적 특성, 네트워크 요인, 창업지원 인식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조윤환;이원일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9-52
    • /
    • 2023
  • 최근 첨단기술의 발달로 인해 기존의 생산업들보다 고 부가 가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아이디어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창업은 참신한 아이디어로 고 부가 가치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할 수 있고 국가의 정책적으로도 많은 창업을 이끌어 내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창업 중 스포츠 창업의 분야에서 체육동호인의 개인적 특성 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며, 이러한 관계에 창업에 대한 자기효능감 요인의 조절효과 영향에 대하여 밝히고자 한다. 창업의지의 결정 요인으로서 개인적 특성 요인과 네트워크 요인, 창업지원 인식 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 요인들은 창업효능감의 조절로 인하여 더욱 활동력이 강화될 것으로 보고 창업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독립변수로 잠재적 창업자의 개인적 특성 요인(성취욕구, 위험감수성향, 혁신성), 네트워크 요인(온라인 교류, 오프라인교류), 창업지원 인식 요인(동호회 창업지원 인식, 정부 창업지원 인식), 조절변수로는 창업효능감, 종속변수로는 창업의지의 내용으로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 PDF

검도동호인의 수련경험과 의미 (The Exploring Meaning and Training Experiences of Kendo Participants)

  • 박동주;이근모;임새미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6권6호
    • /
    • pp.71-80
    • /
    • 2017
  • 본 연구는 생활체육 검도 동호인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검도 동호인의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검도장에서 수련을 하고 있는 남,여 11명을 대상으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서 심층면담, 관련 보조 자료수집을 시행하였고 텍스트 분석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검도 동호인들의 수련경험은 각각 세 가지로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종합 해보면 다음과 같다. 검도 동호인들은 검도 수련이 자신과의 싸움의 연속이며 이를 극복해나가는 과정들은 수련자들의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된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검도수련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자신의 한계의 선과 마주하였을 때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준다. 이러한 과정에서 검도수련자에게 중요한 것은 예의였다. 검도장에서 가장 먼저 예의를 배우게 되고 예의는 검도 수련자가 갖추어야할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검도는 신체활동을 통해 올바른 인품을 배양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마지막으로 오랜 수련을 통해 사범의 자격을 갖춘 동호인들은 사범으로서 역량을 갖추기 위해 스스로 검도의 공부와 깊이 있는 수련을 하였으며 이러한 경험은 진정한 검도인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탁구 동호인의 스포츠 재미요인이 운동지속의지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ports Fun Factors on Willingness to Continue Exercise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Table Tennis Club Members)

  • 김점순;홍상욱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2호
    • /
    • pp.149-156
    • /
    • 2023
  • 본 연구는 생활체육 탁구 동호인의 스포츠 재미요인이 운동지속의지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알아보고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탁구 동호인 293명을 대상으로 스포츠 재미요인, 운동지속의지, 심리적 행복감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운동지속의지에 영향력을 주는 요인은 승리/경쟁, 대인관계, 연습/혜택, 가족지원으로 파악되었으며 운동지속의지는 자아실현과 쾌락적 즐거움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미요인인 유능성/지각, 승리/경쟁, 대인관계, 연습/혜택, 가족의 지원이 심리적 행복감인 자아실현, 쾌락적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에서 운동지속의지의 매개 효과분석 결과 유능성/지각만을 제외한 모든 요인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대인관계(팀 분위기) 요인이 타 요인보다 자아실현과 쾌락적 즐거움에 높은 매개효과를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PA Matrix 분석을 이용한 배드민턴 생활체육 동호인의 용품구매 및 시설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oods Purchase and Facility Use in Badminton Club Members Using the IPA Matrix Analysis)

  • 안용덕;신정훈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15-128
    • /
    • 2021
  • 본 연구는 배드민턴 생활체육 동호인의 용품구매와 시설 이용 시 생각하고 느낀 중요도와 만족도를 알아보고 이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생활체육 배드민턴 동호인을 확대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용품, 가격, 프로그램, 시설, 직원, 홍보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후 중요도와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IPA Matrix방법을 적용하여 자료처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배드민턴 생활체육 동호인의 중요도와 만족도 순위 분석결과 중요도는 1위 직원요인의 강사 및 지도자의 전문성, 2위 시설요인의 시설의 안전성, 3위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내용 및 효과 만족도는 1위 시설요인의 시설의 청결 및 관리, 2위 직원요인의 강사 및 지도자의 전문성, 3위는 직원요인의 직원의 친절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요도와 만족도 IPAMatrix 결과 I사분면은 프로그램요인의 강습시간 적절성과 프로그램 내용 및 효과, 시설요인의 주차 공간 규모와 시설의 청결 및 관리, 직원요인의 강사 및 지도자의 전문성, 직원서비스 태도, 직원친절성, 홍보요인의 소비자와의 상담 및 불편사항 해결, II사분면은 가격요인의 가격의 적절성, 가격대비 가치, 할인제도, 용품요인의 소재 및 디자인, III사분면은 용품요인의 용품 A/S 우수성, 프로그램요인의 프로그램 구성의 다양성, 시설요인의 배드민턴 구장 위치 및 접근성, 다양한 편의시설, 홍보요인의 다양한 홍보 및 이벤트 구성과 홈페이지 구성 등 홍보 전략, IV사분면은 용품요인의 용품 브랜드 가치 및 인지도와 용품 브랜드 전문성이 나타났다.

생활체육 동호인의 여가활동 참가정도와 조직동일시 및 조직몰입의 관계: 자전거 동호인을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y,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Emphasis on Bicycle Riding Club Members)

  • 이연주;전민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427-43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체육 동호인의 여가활동 참가정도와 조직동일시 및 조직몰입의 관계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거주 자전거 동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목적표집법을 이용하여 265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라 자전거 라이딩 참가정도와 조직동일시 및 조직몰입에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배경변인 중 연령과 소득은 참가정도와 조직동일시 및 조직몰입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가정도는 조직동일시를 통하여 직 간접적으로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의 영향력으로 볼 때, 자전거 동호인들의 조직동일시와 조직몰입을 설명하는데 연령이나 소득과 같은 배경변인이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축구 동호회들의 축구 미디어 관여 경험에 관한 연구 (Analyses of the Relationships among Soccer Media Involvement Experience, Purchase Intent and Continued Participation intent in Soccer Clubs)

  • 최의열;김경현;임기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07-216
    • /
    • 2019
  • 이 연구는 축구 동호인들의 축구 관련 미디어 관여 경험과 용품구매의사 및 참여지속의도 간의 관계를 통해 축구 동호회 및 관련 용품업체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광역시에 거주하는 축구동호인 327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내적 일관적 분석을 통해 자료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한 후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축구 관련 미디어 관여 경험 요인에서 기술의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도전, 흥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용품구매의사 요인에서 대안평가 단계의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구매인식, 문제인식 그리고 정보탐색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축구 관련 미디어 관여 경험은 용품구매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술 요인이 용품 구매의사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축구 관련 미디어 관여 경험은 참여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술 요인이 참여지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용품구매의사는 축구 동호인들의 참여 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인식은 부(-)의 영향을 그리고 대안평가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미디어 관여 경험 요인 중 기술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용품구매의사 결정단계를 보다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관여도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SNS를 활용한 상호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배드민턴 동호인의 자아정체감 및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adminton Club Members' Self-identity and Ego-resili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 임철호;박종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319-327
    • /
    • 2020
  • 이 연구는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자아정체감 및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배드민턴의 저변확대 및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배드민턴 동호인 259명을 대상으로 상관관계분석,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자아정체감과 자아탄력성 그리고 대인관계의 하위요인들 간에는 분노조절, 처음관계맺기, 자기노출, 대인갈등 다루기의 몇몇 요인을 제외하고 모두 통계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인관계의 하위 요인 중 처음관계맺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인관계 효율성, 미래확신성, 친밀성, 타인에 대한 불쾌감 주장하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체성과 친밀성, 자기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인관계 효율성과 주체성, 정서적지지 및 조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체성과 낙관적 태도, 대인갈등 다루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분노조절과 자신감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배드민턴 동호인의 자아정체감 및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들은 대인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이 시사된다.

생활체육 참여활동이 여가만족과 심리적,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on Leisur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jective Wellbeing)

  • 문태영;허중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3984-3993
    • /
    • 2011
  • 본 연구는 생활체육 참여활동이 여가만족과 심리적,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동호인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여가만족과 심리적, 주관적 웰빙에 기여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현재 강원도에서 생활체육 참여활동을 하고 있는 성인 남녀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2011년 3월 12일부터 4월 9일까지 편의추출법에 의한 총 200명을 표집 하여 SPSS/PC+ 11.0 Version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및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참여 활동은 여가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체육 참여 활동이 높을수록 여가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만족은 심리적 웰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만족은 주관적 웰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생활체육 활동에 참여하는 동호인의 여가만족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활체육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들을 위해서 활동참여를 지속적으로 권장해야 할 것이며,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다양한 생활체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모든 사람들이 생활체육을 통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펼쳐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생활스포츠 지도자 리더십유형과 배드민턴 동호인의 경기력 관계: 자기효능감 매개효과 검증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Sports Leader's Leadership Style and Badminton Club Member's Performance: A Self-Efficacy Mediating Effect)

  • 남윤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311-320
    • /
    • 2021
  • 본 연구는 배드민턴 생활스포츠 지도자 리더십 유형과 동호인의 경기력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배드민턴 생활스포츠 동호인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으며 최종 59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도자 리더십유형 하위요인인 훈련지시행동, 권위적행동, 사회적행동이 경기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지도자 리더십유형 하위요인인 훈련지시 행동은 자기효능감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1), 권위적행동은 자기효능감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셋째, 지도자 리더십과 경기력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간접적으로 나타났다(p<.001).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생활체육 지도자리더십 및 지도 유형에 대한 방향을 참여자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설정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훈련 시스템 구축에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