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Disturbance Factors of Exercise on Leisure Satisfactio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EQ-5D) in Sports Facility Users in the Era of COVID-19

코로나-19시대 스포츠시설 이용고객의 운동방해요인이 여가만족과 건강관련 삶의 질(EQ-5D) 관계

  • Shin, Jeong-Hun (Department of Social Physical Education, SongWon University)
  • 신정훈 (송원대학교 사회체육학과)
  • Received : 2021.11.22
  • Accepted : 2021.12.27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disturbance factors of exercise on leisure satisfac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ra of COVID-19 in club members participating in sports for all and use for basic data for continuous exercise to keep and improve health. 353 sports for all club members who consented to the study participated in the study after the purposes and methods of the study were expl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e disturbance factors of exercise had significant effects on leisure satisfac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sports for all club members. Moreover, leisur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lthough we hope to end COVID-19, we should prepare with Corona. Sports facilities should strive for quarantine and personal hygiene to help sports for all club members' continuous participation in exercise for their healthy life.

본 연구는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 팬더믹 시대에 운동방해요인에 따른 여가만족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지속적인 운동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생활체육 동호인 353명으로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 후 연구에 동의하는 대상자만 연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운동방해요인은 여가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방해요인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여가만족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사회적으로 코로나 19가 종식되길 바라지만, 위드코로나를 대비하여 체육시설에서는 방역과 개인 위생에 꾸준히 노력하여 건강을 위하여 많은 생활체육 동호인들이 체육시설에 나와 운동을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면 건강생활에 도움을 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 송원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임혜걸(2020). 중국 대학생의 신체활동량과 운동방해요인, 외모만족도 및 대인관계성향 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이숙자(2000).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율동적 운동프로그램의 적응효과. 한국간호학회지, 30(3): 776-790.
  3. 김형준, 박준성(2020). 노인여성의 유산소 운동 강도별 트레이닝이 신체구성, 건강관련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31(1): 35-47. https://doi.org/10.24985/KJSS.2020.31.1.35
  4. 신정훈(2017). 대학생의 바람직한 건강을 위한 건강생활습관 수준파악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4): 87-94.
  5. WHO(2011). Atlas of headache disorders and resources in the world 2011.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6. Zhu, W., Timm, G., & Ainsworth, B.(2001). Rasch calibration and optimal categorization of an instrument measuring women's exercise perseverance and barriers.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72(2): 104-116. https://doi.org/10.1080/02701367.2001.10608940
  7. 한국건강증진개발원(2020). 코로나19 감염병 시대 '비대면 건강증진사업'의 현재와 미래.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보도자료.
  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 Coronavirus disease 2019(COVID-19) Situation Report - 52.
  9. 문화체육관광부(2021). 2019 체육백서. 문화체육관광부.
  10. 문화체육관광부(2020). 2020 국민생활체육조사. 문화체육관광부.
  11. 문화체육관광부(2020). 2018 체육백서. 문화체육관광부.
  12. Sakthong, P., & Kasemsup, V. (2012). Health utility measured with EQ-5D in Thai patients undergoing peritoneal dialysis. Value in Health, 15(1): S79-S84. https://doi.org/10.1016/j.jval.2011.11.005
  13. 김지아(2019). 건강관련 삶의 질(EQ-5D)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제활동상태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조정환, 송금주(2002). Rasch모형에 의한 여대상 운동방해요인 평가.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4(2): 1-13.
  15. Beard,J.G.& Rahgeb, M.G.(1980).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1): 20-33. https://doi.org/10.1080/00222216.1980.11969416
  16. 이종길(1992).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서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김미량, 이연주, 황선환(2010), 여가만족척도(LSS-short form)의 타당도 검증과 적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11): 435-445. https://doi.org/10.5392/JKCA.2010.10.11.435
  18. 구희곤, 임수원(20087). 사관생도의 여가스포츠 참여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2(2): 105-114.
  19. The EuroQol Group. (1990). EuroQol-a new facility for the measure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policy, 16(3): 199-208. https://doi.org/10.1016/0168-8510(90)90421-9
  20. 강신욱(2000). 익스트림 스포츠 참여자의 몰입경험에 따른 재미요인과 여가만족 및 자아실현의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박인혜(2011). 야구동호인의 운동참여에 대한 목표성향, 재미요인, 여가만족이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5(3): 105-115.
  22. 송영은, 김창환(2016). 저체중 여대생의 신체 활동량에 따른 우울수준, 대인관계성향 조사. 한국웰니스학회지, 11(4): 381-388.
  23. 안효연, 안지훈, 김용세, 권성호(2018). 신체 활동량이 기분상태와 수면에 미치는 영향: 웨어러블 기기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7(6): 87-99.
  24. 한동일, 문경지, 한경훈(2019). 신체활동량, 정서지능, 삶의 의미가 여대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6(3): 289-312.
  25. ACSM(2007).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4th ed.), Pennsylvania: Lea & Febiger Co.
  26. 이미영, 박종(2020). 심뇌혈관질환 노인에서 걷기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사)아시아문화학술원, 11(3): 463-476.
  27. Paek, H. H., & J. J. Kim(2013).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ies of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921(3): 75-85.
  28. 손지영(2017). 여가활동 참여 노인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9): 536-548.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536
  29. 박하근(2020). 노인의 여가활동 만족이 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개신대학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곽아람(2014). 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최현욱, 이민석(2019). 여가동아리 참여 대학생의 여가만족, 스트레스 관련 성장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8(1): 203-215.
  32. 안병욱(2017). 여가활동 참여자의 진지한 여가, 여가지지, 여가만족, 심리적 행복감 간의 구조적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6(5): 485-496.
  33. 안영선(2009). 중년의 여가활동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조경아(2012).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과 중년여성 삶의 질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