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육활동 참여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4초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자기관리 검사지 개발 (Development of Physical Activities Self-Management Questionnaire of Elementary Students)

  • 안정덕;정상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642-654
    • /
    • 2016
  •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기관리의 특성을 분석하고 신체활동 자기관리의 검사지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반학생에서부터 체육영재로 선발되어 훈련받고 있는 학생, 그리고 현재 각급 학교에서 운동선수로 활동하고 있는 어린이들까지 망라하여 총 1005명의 다양한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단계별로 전문가 회의, 귀납적 범주화,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변별타당도 검증을 위해 집단 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거쳐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자기관리 요인은 운동관리, 생활관리, 재미, 자신감, 부모의 지지, 대인관계 6요인 총 24문항으로 확정되었다. 또한, 변별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일반 어린이와 체육 영재 어린이의 집단 간 신체활동 자기관리를 검증한 결과 운동관리, 대인관리, 재미, 자신감, 부모의 지지, 대인관계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육영재 어린이가 일반 어린이 집단에서 보다 신체활동 자기관리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초등학교 현장에서 신체활동 자기관리를 진단하는 검사지로서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정도가 객체화된 신체의식(OBC)에 미치는 융합 연구 (Fusion research i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leisure sports physically disabled persons on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OBC))

  • 김동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247-254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생활체육 참여정도가 지체장애인의 객체화된 신체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A시에 거주하면서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지체장애인들 2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요인에 대한 분석은 독립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론으로는 첫째, 지체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별(남성), 연령별(40대, 50대), 장애등급별(4급)에 따른 객체화된 신체의식 수준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정도(운동기간, 운동시간, 운동강도)는 객체화된 신체의식의 신체 수치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신체 감시성에서는 운동기간, 신체수치심에서는 운동강도, 통제신념에서는 운동시간이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계스포츠 참여자의 여가촉진, 여가제약협상, 진지한 여가의 인과관계분석 (The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among Leisure Facilitators,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Serious Leisure for Winter Sports Participants)

  • 오세복;김형훈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1호
    • /
    • pp.579-588
    • /
    • 2016
  • 본 연구는 동계스포츠 참여자를 대상으로 여가촉진, 여가제약협상 및 진지한 여가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 강원지역에 위치한 스키장 4곳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참여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총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21.0과 Amo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촉진, 여가제약협상 및 진지한 여가의 가설적 모형에 대한 모형적합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형적합도가 적합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촉진은 여가제약협상과 진지한 여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제약협상은 진지한 여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증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여가촉진은 제한적 요소를 극복하고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행동적, 인식적 전략으로 여가활동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 상황을 제거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제약협상노력을 촉진시키고, 여가참여의지를 높임으로서 지속적 참여를 계획하고 노력하는 진지한 여가 활동에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드론프로그램 참여활동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Control on Life Satisfaction of Youth Participating in Drone Program)

  • 김광열;김연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9-15
    • /
    • 2023
  • 본 연구는 드론프로그램 참여활동 청소년의 자기 통제력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수도권(서울, 경기)에서 드론프로그램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이며 설문지로 진행하였다. 유효한 설문자료를 코딩하여통계분석하였다. 가설검증에 대한 통계적 유의수준은 ⍺= .05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통제력의 요인인 단순과제 선호와 신체활동 선호요인은 생활만족도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 통제력의 요인인 모험추구 요인은 생활만족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 통제력의 요인인 모험추구와 자기중심 요인은 생활만족도의 자율성 및 자아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코로나 19 팬데믹 시기에도 드론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청소년은 높은 자기 통제력을 통하여 일정부분 생활에 만족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청소년의 체육수업활동과 스마트폰 의존도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ducation Class Activities of Youth and Smartphone Dependence and School Life Adaptation)

  • 조건상;이영익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355-362
    • /
    • 2018
  •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추적조사를 실시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학교체육활동이 스마트폰의존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또한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관계모형을 설정하여 이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YPI)에서 수집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 중학교 2학년 시점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신뢰도 분석, 일원변량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청소년의 체육수업 활동시간과 스마트폰 의존도의 차이는 체육수업에 열정적으로 참여할수록 스마트폰 의존도는 낮아졌다. 둘째, 청소년의 체육수업 활동시간과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는 학교생활적응 중 학습활동, 교우관계 그리고 교사관계에서 체육수업 활동시간이 많을수록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이었다. 셋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스마트폰 의존도가 낮을수록 학습활동이나 학교규칙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노인의 생활체육활동 참가와 신체적, 정신적 기능상태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Sport for All Participation and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affecting the Elderly's Self-perceived Health)

  • 이영익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1265-1278
    • /
    • 2008
  • 이 연구는 노인의 생활체육활동 참가와 신체적, 정신적 기능상태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2008년 현재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유층집락 무선표집법(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의 방법을 이용하여 양로원, 노인정, 노인대학 집단 등을 중심으로 표집틀(sampling framework)을 작성한 후, 생활체육참여자 180명, 비참여자 180명 총 36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독립변인으로는 여가스포츠활동 참가여부와 참가정도(기간, 빈도, 강도)로 분류하였으며, 그리고 종속변인인 신체적 기능상태는 정경희 등(1998), 김양례(2005a)등이 사용한 문항을 토대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정신적 기능상태는 인지기능 척도와 우울척도를 사용하였다. 먼저, 인지기능 척도는 개인이 지능을 이용하여 당면문제를 해결하는 정도로써, 한국판 MMSE-K(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를 사용하였으며, 우울증 척도는 Beck(1978)가 개발하고 이영호, 송종용(1991)이 번안한 설문지를 조규황(2003)이 한국 실정에 맞게 수정한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의 분석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노인의 생활체육활동 참가여부에 따라 신체적 정신적 기능상태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즉, 생활체육활동에 참가하는 노인집단이 참가하지 않는 노인집단보다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과 우울증 하위변인 중 인지적 신체적 행동적 요인이 높았다. 둘째, 노인의 생활체육 참가정도는 신체적 정신적 기능상태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생활체육 참가정도에 따라서 신체적, 정신적 기능상태의 하위변인인 일상생활수행능력에서는 참가기간, 참가강도가 인지기능에서는 참가기간, 그리고 우울증의 하위변인 중 인지적 정서적 요인에는 참가기간, 참가빈도가 영향을 미쳤고, 신체적 행동적 요인에는 참가기간, 참가빈도, 참가강도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적 스포츠에의 또 다른 도전 : 여성야구인들의 갈등과 대응 (Another Challenge to Conservative Sports: Conflicts and Responses of Women Baseball Players)

  • 김인형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2호
    • /
    • pp.81-93
    • /
    • 2016
  • 본 연구는 보수적인 스포츠인 야구에 도전하는 여성들이 야구 참여로 인해 직면하는 갈등 경험을 분석하고 이러한 갈등을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여자야구연맹에 등록된 팀에 1년 이상 참가한 동호인 1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자료는 의미의 범주화, 개념화의 분석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성들의 야구활동 참여로 인한 갈등은 직장과 여가활동의 갈등, 중요타자와 여가활동의 갈등(가족의 반대와 대인관계활동의 단절), 사회문화적 편견과 여가활동의 갈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 야구 참여자들의 갈등상황의 대처방법은 설득과 타협을 통한 지지세력 만들기, 적극적 대처(나만의 길 및 삶의 우선순위), 회피적 대처(거짓말 및 갈등의 회피)로 구분되었다.

COVID-19에 따른 스포츠 활동 실태와 스포츠 활동 개선방안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Sports Activities by COVID-19 and Improvements of Sports Activities)

  • 백지혜;양서은;현재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343-35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상황에 따른 스포츠 활동 실태를 파악하여 스포츠 활동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10대부터 60대의 남녀 총 697명을 편의표집법으로 선정하였다. 네이버 폼을 이용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12.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COVID-19 상황 속에서 61.4%가 스포츠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활동 참여자들은 유튜브 시청, 홈트레이닝/화상PT 등 비대면 스포츠를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COVID-19 상황이 스포츠 활동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향후 COVID-19와 같은 전염성 질병을 대비한 방안이 마련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스포츠 활동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 개발, 둘째, COVID-19 시대의 건강과 웰빙의 증진을 위한 국가정책 수립 및 이행, 셋째, 온라인 스포츠 활동을 위한 기술력 확보 등이 도출되었다.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코로나19 초기 생활체육 이슈 분석 (Trend Analysis of Sports for All-Related Issues in Early Stage of COVID-19 Using Topic Modeling)

  • 정연길;서수민;강현민
    • 지능정보연구
    • /
    • 제28권3호
    • /
    • pp.57-79
    • /
    • 2022
  • 지난 2019년 12월 시작된 코로나19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우리 삶의 전반에 많은 영향을 끼쳐 왔으며, 스포츠, 공연 예술 등의 분야 역시 이로 인해 큰 폭으로 활동이 위축되었다. 스포츠 분야의 경우 참여스포츠를 대표하는 생활체육 분야에서의 변화가 특히 크게 나타났으며, 헬스장, 탁구장, 배드민턴 동호회 등 국민 삶과 밀접한 장소에서의 확진자 발생은 코로나19의 확산에 대한 사회적 공포감을 증폭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가 최초 확산한 시기의 생활체육 관련 국내 언론 기사를 분석하여,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생활체육 분야에서 어떤 이슈들이 현장에서 등장하고 있으며 어떠한 논의들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국내 대표적인 포털 뉴스 사이트로부터 생활체육과 관련된 코로나19 이슈를 다루고 있는 뉴스 기사를 수집한 후, 이에 대한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 분석을 통해 코로나19 환경에서의 주요 생활체육 이슈를 파악하였다. 분석을 통해 체육시설 코로나 발생, 체육활동 지원, 생활체육활동 변화 등의 의미있는 이슈를 발견하였으며, 이들 주요 이슈에 대한 워드 클라우드(Wordcloud) 분석을 통해 이슈를 시각적으로 이해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러한 이슈가 변화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직장인들의 생활체육 동호회 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the Activities of Working People in the Sports Club)

  • 김경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99-109
    • /
    • 2019
  • 이 연구는 직장인들의 생활체육 동호회 활동에 관한 연구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총 400부를 설문 조사한 후, 무효 또는 오류 설문지를 제외한 387명의 설문지를 연구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요인 분석 및 신뢰성 테스트는 IBM SPSS통계 Ver 21.0을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및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증 및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변인 간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웰니스 및 직무만족에 대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종목에 따른 웰니스 및 직무만족에 대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연령에 따른 웰니스 차이에서는 지적 웰니스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대와 50대가 60대 이상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넷째, 활동기간에 따른 웰니스 차이에서는 사회적 웰니스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활동기간이 1~2년이 3년 이상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장인들의 웰니스적 생활체육 동호회 활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직장인들의 웰니스적 생활체육 동호회 활동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