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s between Sport for All Participation and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affecting the Elderly's Self-perceived Health

노인의 생활체육활동 참가와 신체적, 정신적 기능상태의 관계

  • Lee, Young-Ik (Dept. of Oriental Sports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이영익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스포츠의학과)
  • Received : 2008.08.30
  • Accepted : 2008.11.14
  • Published : 2008.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Sport for All Participation and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affecting the Elderly's Self-perceived Health. For accomplishing this purpose of this study, the 308 subjects were selected by the 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 from the Seoul, in the years of 2008. presently. Out of the 360 questionnaires responded to, only 308 were used for data analysis because 52 were responded to incompletely or incorrectly. The survey questionaries were used to collect data. The questionary for physical function state were developed and standardized by kung-hee chung(1993), yang-lae Kim(2005). And mental function state were divided two parts; self-perceived scale and depress scale. The questionary for self-perceived scale were based on MMSE-K(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 The questionary for Depression were based on Depression Scale developed by Beck(1978), adapted in Korean and standardization by Lee Young-ho & Song Jong-yong(1991), regulated by Jo Gyu-whang(2004). From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according to the elderly people's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 activities, it partially affected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state. Second, according to the degree of elderly people's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 activities, it partially affected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state.

이 연구는 노인의 생활체육활동 참가와 신체적, 정신적 기능상태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2008년 현재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유층집락 무선표집법(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의 방법을 이용하여 양로원, 노인정, 노인대학 집단 등을 중심으로 표집틀(sampling framework)을 작성한 후, 생활체육참여자 180명, 비참여자 180명 총 36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독립변인으로는 여가스포츠활동 참가여부와 참가정도(기간, 빈도, 강도)로 분류하였으며, 그리고 종속변인인 신체적 기능상태는 정경희 등(1998), 김양례(2005a)등이 사용한 문항을 토대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정신적 기능상태는 인지기능 척도와 우울척도를 사용하였다. 먼저, 인지기능 척도는 개인이 지능을 이용하여 당면문제를 해결하는 정도로써, 한국판 MMSE-K(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를 사용하였으며, 우울증 척도는 Beck(1978)가 개발하고 이영호, 송종용(1991)이 번안한 설문지를 조규황(2003)이 한국 실정에 맞게 수정한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의 분석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노인의 생활체육활동 참가여부에 따라 신체적 정신적 기능상태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즉, 생활체육활동에 참가하는 노인집단이 참가하지 않는 노인집단보다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과 우울증 하위변인 중 인지적 신체적 행동적 요인이 높았다. 둘째, 노인의 생활체육 참가정도는 신체적 정신적 기능상태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생활체육 참가정도에 따라서 신체적, 정신적 기능상태의 하위변인인 일상생활수행능력에서는 참가기간, 참가강도가 인지기능에서는 참가기간, 그리고 우울증의 하위변인 중 인지적 정서적 요인에는 참가기간, 참가빈도가 영향을 미쳤고, 신체적 행동적 요인에는 참가기간, 참가빈도, 참가강도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