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육과

검색결과 1,306건 처리시간 0.03초

생활체육 활성화 모델로서 스포츠지도자 협동조합의 발전 가능성 분석 (The Possibility of Sport Leaders Cooperative Model Promote Life Sport)

  • 김정동;김영미;이문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363-372
    • /
    • 2021
  • 본 연구목적은 스포츠지도자의 안정된 일자리 창출을 통해 생활체육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스포츠지도자 협동조합 모델의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으로 D 광역시 생활체육지도자 20명과 스포츠협동조합의 운영자 10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문항을 자문위원 회의를 통해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결과지의 답변을 분류하여 빈도분석과 해석하고 유형화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생활체육 활성화 모델로서 스포츠지도자 협동조합은 뜻이 맞는 생활체육지도자 5인 이상이 협동조합 지원센터의 교육을 통해 명확한 목적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조합원의 소통과 단합으로 협동조합을 운영한다면 생활체육지도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생활체육 활성화와 지도자의 전문화, 프로그램의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며, 스포츠 참여의 다양성과 생활체육의 발전에 필요하고 새로운 방안이 될 수 있다.

장애인체육지도자의 프로그램 운영 경험 분석 (Disability Sports Instructor's Experience Analysis on Program Oper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y)

  • 박지영;강동헌;은선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85-29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2017년 12월에 시행된 '장애인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 제15조 '재활운동 및 체육'의 시행에 앞서 장애인체육 현장에서 경험하고 있는 지도자 의견을 확인하여, 원활하고 체계적인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고 인터뷰 내용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심층인터뷰는 비구조화된 방법으로 장애인체육지도자가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경험한 어려운 점, 재활운동 및 체육 시행을 위한 필요 사항 등에 대하여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심층인터뷰 녹취자료를 필사하여 질적연구 방법 중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 방법을 통하여 의견을 코딩하였다. 분석 결과 최종 104개의 의견이 활용되었으며, 9개의 카테고리로 재활운동 및 체육의 목표, 전문 지도자 양성, 평가 항목과 지도에 필요한 교육지침, 프로그램 참여자와의 관계, 시설 활용, 효과, 제공 시기, 의사 역할 등으로 분류되었다.

코로나-19시대 스포츠시설 이용고객의 운동방해요인이 여가만족과 건강관련 삶의 질(EQ-5D) 관계 (The Effects of Disturbance Factors of Exercise on Leisure Satisfactio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EQ-5D) in Sports Facility Users in the Era of COVID-19)

  • 신정훈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203-211
    • /
    • 2021
  • 본 연구는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 팬더믹 시대에 운동방해요인에 따른 여가만족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지속적인 운동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생활체육 동호인 353명으로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 후 연구에 동의하는 대상자만 연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운동방해요인은 여가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방해요인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여가만족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사회적으로 코로나 19가 종식되길 바라지만, 위드코로나를 대비하여 체육시설에서는 방역과 개인 위생에 꾸준히 노력하여 건강을 위하여 많은 생활체육 동호인들이 체육시설에 나와 운동을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면 건강생활에 도움을 줄 것이다.

예비체육교사의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방향성 탐색 (Exploring the Direction for Strengthening the Educational Competency of Prospect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 신민혜;김승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537-543
    • /
    • 2021
  • 본 연구는 예비체육교사가 함양해야 할 역량에 대해 상위 및 하위요소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 및 전문가 검토를 거쳐 예비체육교사가 함양해야 할 역량 모형을 도출하였다. 계층분석(AHP)에는 23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였다. 연구의 결과, 대인관계역량 .213, 자기관리역량 .203, 전공역량 .174, 전문학습 및 기초교양. 163, 도전의식역량 .137, 창의역량 .110의 가중치로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교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 학부모, 동료교사 등과의 바람직한 관계형성이 전공지식 역량이 기타 역량보다 예비체육교사의 성취에 중요한 것으로 판단한 결과이다. 끝으로 미래 교육을 위해 대학에서도 역량 중심 교육을 통한 전문화된 역량 개발이 함께 이루어질 때 해당 진로에 대한 진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체육교육전공 대학생들의 교사역량이 교과전공만족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on Curriculum-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 박규리;안완식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4호
    • /
    • pp.145-155
    • /
    • 2023
  • 본 연구는 체육교육전공 대학생들의 교사역량이 교과전공만족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2022년 4월1일~4월 30일까지 경기도, 충청도, 대전 등에 있는 사범대학교 재학 중인 체육교육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비확률 표집인 유의표집방법(pur-posive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추출 후 연구 참가자 400명을 표집으로 조사하여 최종 340명을 대상으로 교차분석을 시행하였다. 첫째, 교사역량은 진로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역량은 진로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과전공만족은 진로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교사역량과 교과전공만족 및 진로결정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형성 되었다. 체육교육전공 대학생들의 교사역량이 교과전공만족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향후 예비체육 교사들의 진로결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도가 자립생활도 및 사회적 체형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Sports for All on Independent Living and Social Physique Anxiety in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 김대경;박진우;이현수;윤석민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2호
    • /
    • pp.657-66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도가 자립생활도 및 사회적 체형불안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년도 B시, K도, U시에 생활체육대회 참가자와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지체장애인 3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타당도 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자료분석의 결과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도가 자립생활도 하위변인인 사회적 자립, 심리적 자립, 신체적 자립, 전체적인 자립생활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도가 사회적 체형불안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도 하위변인인 신체적 자립, 전체적인 자립생활도가 사회적 체형불안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사회적 자립, 심리적 자립은 사회적 체형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전문체육지도자의 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enior Citizens' Professional Sports Leader's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Job Satisfaction)

  • 손지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273-283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전문체육지도자의 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9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서울, 경기, 인천 지역 6곳의 스포츠센터 199명의 노인전문체육지도자를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노인전문체육지도자의 리더십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전문체육지도자의 리더십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지도자의 리더십은 구성원들에게 조직에 대한 몰입을 높여주고 직무에 만족감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노인들의 생활체육 참여를 향상시키고 즐거움을 높여 건강한 노년기의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리더십 교육을 통한 지도자의 올바른 인성과 역량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며, 이러한 지도자의 역할은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생태형 해양스포츠의 체육교육 적용을 위한 지식구조; 배구형 게임과 수영을 중심으로 (A Knowledge Structure for Physical Education Application of Ecological Marine Sports; Focusing on Volleyball Games and Swimming )

  • 장병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738-747
    • /
    • 2022
  • 이 연구는 생태형 해양스포츠의 체육교육 적용을 위한 지식구조를 구성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종목으로는 배구형 게임인 비치발리볼과 바다수영이 설정되었으며 연구수행을 위하여 지식구조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문가협의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시안에 기반한 지식구조를 마련하였다. 둘째, 생태형 해양스포츠의 체육수업 적용 기반을 마련하였다.셋째, 비치발리볼의 지식·이해 영역, 과정·기능 영역, 가치·태도 영역의 학습 내용을 제안하였다. 넷째, 바다수영의 지식·이해 영역, 과정·기능 영역, 가치·태도 영역의 학습 내용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도입될 2022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실현된 모습을 미리 대비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협회장배 사내 체육대회

  • 한국건설안전기술협회
    • 건설안전기술
    • /
    • 통권31호
    • /
    • pp.32-33
    • /
    • 2005
  • 협회 임 직원간 친목도모 및 체력증진을 위한 협회장배 사내 체육대회가 11월 12일 오후 뚝섬 고수부지 체육공원에서 개최되었다. 축구-건축부, 배구-토목부, 종합우승-건축부가 차지한 이번 대회에는 갑자기 뚝 떨어진 기온임에도 불구하고 전 임직원이 참석해 열띤 경기를 펼쳤다.

  • PDF

현상설계경기 - 근로자 체육문화시설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4호통권324호
    • /
    • pp.116-119
    • /
    • 1996
  • 근로 복지공단에서 근로자들의 복지증진을 위하여 복지복권 판매수익과 정부 출연금에 의한 근로복지진흥기금으로 운영하는 근로복지 시설을 건립코자 지난 1월 체육문화시설 및 영유아 보육시설에 대해 현상설계경기를 실시한 결과 총 10개 사무소에서 참여한 체육문화시설은 도울건축안이 당선작으로 선정됐으며 우수작은 두우건축안이, 가작은 두호건축안이 각각 선정됐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