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외성숙시간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2초

Cysteine 및 Glutathione 이 돼지난포란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ysteine and Glutathione on In Vitro Maturation of Porcine Follicular Oocytes)

  • 신성진;한만희;이규승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85-393
    • /
    • 1998
  • 본 연구는 돼지 미성숙 난포란을 체외에서 성숙시킬 때, cysteine (CySH) 및 glutathione (GSH) 의 첨가 배양이 난핵포붕괴 및 핵성숙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체외성숙 배양액인 TCM-199 에 cysteine (CySH) 을 각각 0, 0.04, 0.14, 0.6 및 1.2 mM 첨가하여 36 시간 동안 체외성숙을 유기시켰을 때의 난핵포붕괴율은 각각 90.8, 89.9, 90.5, 92.0 및 91.3% 으로서 각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고, 핵성숙율은 각각 56.1, 50.7, 41.9, 49.0 및 61.5%로서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성숙율을 보였으며, 특히 0.14 mM 및 0.6 mM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P<0.05). 또한, 44시간 동안 체외성숙을 유기시켰을 때 난핵포붕괴율은 각각 90.0, 91.8, 89.8, 90.5 및 89.6%로서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고, 핵성숙율은 각각 80.2, 76.3, 69.4, 66.7 및 72.6%로서 무첨가한 대조구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성숙율을 보였으며, 특히 0.14 mM 및 0.6 mM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P<0.05). 2. 체외성숙 배양액인 TCM-199 에 glutathione (GSH) 을 0, 0.05, 0.1, 0.5 및 1.0 mM 을 첨가하여 36시간 동안 성숙을 유기시켰을 때 난핵포 붕괴율은 각각 91.0, 90.9, 89.5, 92.0 및 91.1%로서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이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핵성숙율은 59.0, 48.5, 47.8, 38.6 및 37.5%로서 대조구에 비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P<0.05). 또한, 44시간 동안 성숙을 유기시켰을 때 난핵포붕괴율은 각각 91.8, 94.1, 89.1, 91.3 및 91.1%로서 모든 처리구에서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핵성숙율은 각각 84.6, 57.1, 69.6, 71.3 및 64.3%로서 대조구에 비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P<0.05).

  • PDF

소에서 핵이식 방법이 재구축배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I. 체외수정 공핵배 핵의 이식시기와 전기자극에 따른 융합과 체외발달 (Effect of Nuclear Transfer Methods on In Vitro Development of Reconstituted Bovine Embryos I. Effect of Transfer Time of IVF Donor Nuclei and Electric Stimulation on Fusion and In Vitro Development)

  • 정영채;김창근;송학웅;정영호;윤종택;이종완;김흥률;김광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59-465
    • /
    • 1997
  • 본 연구는 핵이식의 시기가 융합과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체외수정 공핵배의 핵과 체외성숙난자간에 전기융합의 최적 통전전압과 통전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수핵난자는 체외성숙후 25~27시간에 제핵하였고 난자의 추가성숙을 위하여 융합전에 18~20시간 더 배양하였다. 공핵체외수정란은 16~32세포기까지 BOEC와 공배양하였다. 공핵배의 할구 이식시간은 조기핵이식구에서는 체핵후 1~3시간, 자연핵이식구를 체핵후 16~18시간이었다. 융합은 체외성숙후 43~45시간에 행하였다. 융합율은 할구 이식시기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난할율과 8~16세포기 발달은 자연핵이식구에서 높았다. 융합, 난할 및 상실배 배반포 발달율은 1.0kV/cm보다 0.75kV/cm전압에서 높았으며 0.7kV/cm에서 상실배 배반포율은 17.6%였다. 통전시간에 따라 융합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50$\mu$sec와 70$\mu$sec에서 난할율과 상실배-배반포 발달율이 다소 높았다. 본 결과에서 핵이식의 최적시기는 수핵난자의 체외성숙후 42~44시간이었으며 최적 전기융합 조건은 50~70$\mu$sec의 1회 0.75kV/cm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돼지 액상정액의 정자 주입농도가 서로 다른 체외성숙배지에서 배양된 난포란의 체외수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In­Vitro Fertilization of Pig Oocytes Matured in Different In­Vitro Maturation Media according to Sperm Concentration of Liquid Boar semen)

  • 박창식;이영주;고현진;양창범;손동수;서길웅;이규승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7
    • /
    • 2002
  • 본 연구는 mTCM-199, mWaymouth MB 752/1 그리고 NCSU-23 성숙배지에서 성숙시킨 난포란을 mTBM 수정배지에서 액상정액의 정자를 이용하여 주입정자 농도별로 체외 수정시킴으로써 액상정액을 이용한 새로운 체외수정 방법을 개발하고자 실시하였다. 미성숙 난포란은 0.5 $m\ell$의 성숙배지에 각 well 당 30~40개씩 적하하였다. 액상정액 제조용 정액은 90% 이상의 운동성을 가진 농후정자부분을 사용하였으며 정액채취 후 2시간 동안에 22~24$^{\circ}C$의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실온까지 냉각한 정액은 BTS 희석액으로 2$\times$$10^{8}$ $m\ell$ 정자농도로 조정하여 100$m\ell$ 플라스틱병에 30 $m\ell$씩 주입하여 17$^{\circ}C$에서 5일 보관하였다. 5일 보관후 운동성이 70% 이상인 정자를 체외수정에 이용하였다. 38.5$^{\circ}C$, 5% $CO_2$, 95% 공기로 조절된 CO2 배양기에서 44시간 성숙 후 cumulus cell들이 제거된 성숙 난포란은 0.5 $m\ell$의 mTBM 수정배지에 30~40개씩 적하하고 최종정자농도를 1, 2, 4, 6 그리고 10$\times$$10^{6}$$m\ell$되도록하여 주입하고 6시간 동안 수정시켰다. 체외수정시킨 수정란들은 수정 후 6시간 동안 0.5$m\ell$의 NCSU-23 배양배지에서 배양한 후 정자침입율, 다정자침입율 그리고 웅성전핵 형성율을 조사하였다. mTCM-199, mWaymouth MB 752/1 그리고 NCSU­23 성숙배지에서 성숙시킨 난포란을 mTBM 수정배지에서 액상정 액으로 체외수정 한 결과 NCSU-23 성숙배지에서 성숙한 난포란이 웅성전핵형성율이 높았고 다정자침입율이 낮았다. NCSU-23 성숙배지에서 성숙한 난포란을 mTBM 수정배지에서 수정할 경우 최적정자농도는 2~4$\times$$10^{6}$$m\ell$이었으며, 정자침입율은 50.8~50.9%, 다정자침입율은 13.3~19.5% 그리고 웅성전핵형 성율은 43.9~45.4%였다. 결론적으로 NCSU-23 성숙배지에서 성숙되고 mTBM 수정배지에서 수정된 난포란은 mTCM-199이나 mWaymouth MB 752/1 성숙배지에서 성숙되고 mTBM 수정배지에서 수정된 난포란보다 우수한 체외수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17$^{\circ}C$에서 5일 동안 보존한 액상정액으로 NCSU-23 배지에서 성숙한 난포란을 체외수정하기 위한 최적정자농도는 2~4$\times$$10^{6}$$m\ell$이었다.

정자미세주입술에 의하여 동결 융해 부고환 정자와 수정시킨 활성화처리 난자의 체외발생율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n Vitro Developmental Rate of Activated Bovine Oocytes by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with Frozen-Thawed Epididymal Spermatozoa)

  • 김상근;이동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5-59
    • /
    • 2002
  • ICSI시 동결 융해한 부고환 정자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난자의 배양시 체외성숙율과 활성화 처리를 한 난자와 동결 융해한 부고환 정자로 ICSI시 체외발생율을 조사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난포란을 회수 후 24시간 배양하였을 때 배양 시간에 따른 GV, MI, M II로의 체외성숙율은 각각 7/60(11.7%), 5/60(8.3%), 48/60(80.0%)였고 30시간 배양 시간에 따른 GV, MI, M II로의 체외성숙율은 각각 3/60(5.0%), 4/60(6.7%), 53/60(88.3%)였고 퇴화란은 각각 2/60(3.3%)와 1/60(1.7%)였다. 2. 동결 융해한 부고환 정자를 이용하여 활성화 처리를 한 난자에 ICSI를 하였을 때 상실배와 배반포로의 체외발생율은 각각 12/46(26.1%), 22/46 (47.8%)로서 비활성화처리 난자군 5/39 (12.8%), 10/39(25.6%)에 비해 높은 체외발생율을 나타냈다. 3. 활성화 처리를 한 난자에 신선정자, 부고환 정자 및 동결 융해한 부고환 정자로 ICSI시 체외 발생율은 각각 24/45(53.3%), 15/40(37.50%), l1/43 (25.6%)로서 신선정자에 비해 동결 융해한 부고환 정자처리군은 체외발생율은 약간 낮았지만 이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과배란유도 주기에서 얻어진 체외성숙 난자의 수정능: 고식적 체외수정시술과 세포질내정자주입법의 비교 (A Prospective Comparison of Fertilizability of in vitro Matured Human Oocytes Obtained from Stimulated Cycle: Conventional Versus ICSI)

  • 지병철;안소정;문정희;황은주;서창석;김석현;문신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6권4호
    • /
    • pp.249-254
    • /
    • 2009
  • 목 적: 고식적 체외수정시술과 세포질내정자주입법을 사용하여 체외성숙 난자를 수정시키고 수정률과 배발달율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7년 1월부터 2008년 8월까지 난소과자극과 체외수정시술을 받은 59명의 여성에서 135개의 배아소포 단계의 미성숙난자만을 얻어 75 mIU/mL rFSH, 0.5 IU/mL rhCG, 10 ng/mL rEGF가 포함된 체외성숙용 배양액에서 최대 48시간까지 배양하였다. 체외성숙된 난자는 고식적 체외수정방법 (n=41) 또는 세포질내정자주입법 (n=94)을 이용하여 수정시켰으며 이후 배발달율을 관찰하였다. 결 과: 고식적 체외수정군과 세포질내정자주입군에서 체외성숙률은 각각 51.2%와 59.6%였고, 수정률은 각각 71.4%와 80.4%로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배발달율도 두 군에서 비슷하게 관찰되었다. 결 론: 난소과자극을 통해 얻은 미성숙난자는 고식적 체외수정법을 사용하더라도 세포질내정자주입법과 동등한 수정률과 배발달율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돼지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육에 있어서 Sodium Pyruvate와 Hemicalcium Lactate 및 Glucose의 영향

  • 임성묵;김정익;정희태;양부근;박춘근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64-64
    • /
    • 2003
  • 본 연구는 돼지의 미성숙란을 체외에서 성숙, 수정시킨 후 생산된 체외수정란을 NCSU23 체외배양액에 sodium pyruvate, hemicalcium lactate 및 glucose를 첨가해 돼지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NCSU23 체외배양액에 Glucose 0 mM, 2.78 mM, 5.56 mM 및 11.12 mM을 처리하여 체외배양한 결과 분할율은 glucose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나타냈으며(P<0.05), 상실배까지 체외발육률 또한 glucose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나타냈다 (P<0.05). 한편 배반포까지의 체외발육율은 5.56 mM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Glucose와 0.4mM sodium pyruvate, 2mM hemicalcium lactate 공동배양 처리구와 glucose를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의 분할율은 처리구간 커다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상실배기 이상 발육된 체외 발육율도 처리구간 커다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각 처리구간 분할율은 hemicalcium lactate와 glucose공동배양 처리구가 가장 좋은 성적을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상실배기 이상 발육된 체외 발육율은 hemicalcium lactate만 첨가한 처리구가 가장 좋은 성적을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Sodium pyruvate를 체외수정 후 8시간, 48시간, 96시간, 120시간에 제거하였을 때 분할율은 sodium pyruvate를 제거하는 시기가 늦어질수록 분할율이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상실배기 이상 발육된 체외 발육율은 제거하는 시기가 늦어질수록 체외 발육율이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돼지 체외수정란의 체외배양시 glucose의 첨가는 체외발육을 증진시키는 결과가 있었으며, glucose와 sodium pyruvate, hemicalcium lactate 공동배양은 체외배양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GF- ${\beta}$ 첨가가 한우 난포란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GF-${\beta}$ Supplementation on In Vitro Maturation of Hanwoo COCs (Cumulus Oocytes Complexes))

  • 최선호;이혜현;연성흠;한만희;김현종;조상래;우제석;백광수;류일선;손동수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8권2호
    • /
    • pp.119-122
    • /
    • 2004
  • 소 체외성숙시 난포란에 영향을 주는 과립막세포와 난자의 핵성숙을 촉진하는 물질이 확인되지 않은 혈청내의 물질 뿐만 아니라 호르몬이나 생리활성인자 등에 의해 촉진됨이 밝혀졌다. 이에 따라 체외성숙 및 체외발달에 사용되는 배양액의 조성도 복합배양액에서 단순배양액으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으며, 체내의 조건에 보다 더 접근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수행되고있다. 본 연구는 한우 난포란의 체외성숙율 및 체외수정 후 배발달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TGF-${\beta}$의 첨가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한우 난포란의 체외성숙시 TGF-${\beta}$ 0.1, 1. 10ng/ml를 첨가하였을 때 24시간에 MetaphaseⅡ 도달율은 95.8%, 95.8%, 100%를 나타내었으며, 농도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TGF-${\beta}$로 체외성숙된 난포란을 체외수정 후 TGF-${\beta}$가 체외성숙 배양액을 동일하게 체외발달을 유도하였으나, 0~0.8%의 배반포율을 보였으며, TGF-${\beta}$로 체외성숙된 난포란을 체외수정 후 TCM 199_10% FBS, 0.8% BSA, 0.1% PVA에 배양한 결과 12.4%, 12.8%, 8.5%의 배반포 발달율을 보였고, 무혈청 배양액인 IVMD, IVD에 배양한 결과 38.4%, 34.8%의 배반포 발달율을 보였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05). 결론적으로 TGF-${\beta}$는 한우 난포란의 체외성숙시 상당히 유용한 물질이나, 체외발달에는 만족할 수 없어, 이외의 생리활성 인자들간의 상호관계에 대하여 더 많은 요구가 요구된다.

  • PDF

체외성숙 직후 소 난포란의 단위발생과 체외발육능 (Parthenogenetic Activation and Development of Freshly Matured Bovine IVM Oocytes)

  • 정희태;임석기;오세훈;박춘근;양부근;김정익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1-78
    • /
    • 1997
  • 본 연구는 체외성숙 직후의 소 미수정란의 활성화 조건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체외에서 22~24시간 성숙배양된 소 미수정란을 다양한 활성화 조건으로 처리하였다. 실험 1에서는 성숙직후 난자를 전기자극(1.25kV/cm, 70$\mu$sec$\times$2회), 에탄올(7%, 5분), Ca2+-ionophore(A23187; 10$\mu$M, 5분) 및 cycloheximide(10$\mu\textrm{g}$/ml, 6시간)로 각각 처리하였다. 활성화율은 전기자극, 에탄올 및 A23187 처리시 48.8~54.3%로 비슷하였으나, cycloheximide처리시는 15.9%로 유의적으로(P<0.05) 낮았고, 무처리구인 대조군은 전혀 활성화 되지 않았다. 실험 2에서 체외성숙 미수정란을 전기자극, 에탄올 및 A23187중 2개 또는 3개를 병용처리한 결과, 활성화율은 46.9~63.5%로 나타났다. 실험 3에서는 전기자극, 에탄올 또는 A23187과 cycloheximide를 병용처리한 결과, 대부분의 난자(98.0~100%)가 활성화되었다. 실험 4에서는 실험 3과 같은 조건으로 처리하여 할성화된 난자를 cytochalasin B로 처리하여 2배체배 형성을 유도한 후 체외배양하여 발육율을 검사하였다. 분할율은 79.8~90.4%였으며, 배반포 발육율은 32.1~42.6%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기자극, 에탄올 또는 A23187과 chcloheximide의 병용처리가 성숙직후 소 미수정란의 활성화에 효과적임을 확증한다.

  • PDF

한우 난포란의 체외성숙 배지와 세포질 내의 단백질 변화 (The Changes of Quantity and Quality of Proteins in Medium and Cytoplasm during In Vitro Maturation of Bovine Oocytes)

  • 박용수;박현정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9권3호
    • /
    • pp.187-191
    • /
    • 2005
  • 본 연구는 한우 난포란이 체외성숙된 환경의 변화를 단백질 측면으로부터 검토하기 위하여 체외성숙 배지와 세포질내 단백질 변화와 종류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배지 내의 단백질 발현량은 배양 4.5시간째까지 감소하였고, 배양 13.5시간째까지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배양 $13.5\~18$시간 사이에 증가한 후 배양 18시간 이후에 다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세포질내의 단백질 발현량은 배양 4.5시간째까지 증가하였고 배양 9시간째까지 급격히 감소하였다. 배양 9시간째부터 18시간째 까지는 단백질 발현량이 유사한 경향이었으나 배양 18시간째부터 24시간째까지 다시 증가하였다. 한편 체외성숙한 배지와 세포질을 2차원 전기영동하여 각각 298개 및 35개의 단백질 spot을 확인하였고, 그 중 배지에서는 28개, 세포질에서는 5개의 spot이 유의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들 spot 대한MALDI-TOP분석으로 배지와 세포질에서 각각 8개 및 1개의 단백질을 동정하였다. 그 종류는 aldose reductase, alpha enolase, apolipoprotein A-1 precursor, 43M1a collectin precursor, heat shock 27kDa protein,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recursor, thrombospondin 1 transitional endoplasmic reticulum ATPase 및 $\beta$-tubulin이었다.

소 수정란 체외발달에 대한 정자분리방법의 효과 (Effect of Sperm Preparation Technique on Subsequent In Vitro Development of Bovine Embryos)

  • 노규진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7-125
    • /
    • 1998
  • 본 연구는 Percoll,Swim-up 그리고 Glass-wool 여과법의 세가지 정자분리 방법에 대한 정자 회수율, 생존율과 첨체반응율, 그리고 체외수정 후 배양시간에 따른 전핵형성율,수정란의 발달율과 세포할구수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도축된 암소로 부터 채취한 난자를 22시간 체외배양 후 성숙된 난자를 체회수정시켰다. 수정 후 배양시간에 따라 존핵율을 조사하였으며 48시간에 분할율,192시간에 배반포기 발달율 및 세포할구수를 각각 비교 조사하였다. 정자의 첨체반응과 생존율은 처리군간에 차이가 없으나 회수율에 있어서 percoll 처리군이 다른 두 처리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수정 후 배양시간별 전핵형성에 있어서도 percoll 처리군이 다른 두 처리군보다 빨리 진행됨을 볼 수 있다. 분할율에 있어서는 처리군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으나.배반포기 발달율과 세포할구수에 있어서는 pecoll 처리군이 다른 두 처리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percoll 처리에 대한 정자분리 방법은 정자 회수율이 높고 수정시 전핵형성 시간이 단축되어, 그 결과로 배반포기 발달율과 수정란의 세포할구수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