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체액성 면역 반응

Search Result 7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body fluid antigen of Clonorchis sinensis using immunogold labeling method (면역황금 표기법을 이용한 간흡충의 체액 항원에 관한 연구)

  • Ju, Bong-Deok;Im, Han-Jong;Kim, Su-Ji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v.28 no.1
    • /
    • pp.11-24
    • /
    • 1990
  • In order to observe the antigenic localization in the tissues of the adult Clonorchis sinensis, immunogold labeling method was applied using serum immunoglobulins (IgG) of either worm·infected rabbits (group I) or antigen-immunized rabbits (group II) (by the body quid obtained from the adult worms). The electron micrographs of the sectioned worm tissue antigens, embedded in Lowicryl HM 20 medium and stained with protein A-gold complex (particle sixte: 12 nm),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 I and group II. The gold particles were observed in the interstitial matrix of the worm parenchyma, the epithelial lamellae of the cecum, and the cecal lumen both in group I and II. But the particles were in general more concentrated in group II. The gold particles were not observed on the basal lamina of the tegument or on vitelline glands in group I, while they were highly concentrated on those areas in group II.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the antigenicity of interstitial matrix(reacted with group I IgG) and head part(reacted with group II IgG) of the sperm cells in the seminal receptacle. Conclusively, it is suggested that the substances comprising the basal lamina of the tegument or vitelline glands act as specific antigens reacting with antigen(body quid) immunized rabbit IgG. On the other hand, the substances in the cecal lumen and cecal epithelial lamellae are thought to be the specific antigen that react with the worm-infected rabbit IgG.

  • PDF

Carboxyethylgermanium sesquioxide(Ge-132)가 cyclophos-phamide로 유발된 마우승의 면역독성에 미치는 효과

  • 표명윤;오현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320-320
    • /
    • 1994
  • Carboxyethylgermanium sesquioxide(Ge-132)를 투여용량(300,600, 900mg/kg)과 투여일을 변화시켜 정상마우스와 cyclophosphamide(CY)로 처리한 마우스에 경구투여한 후, Ge-132가 CY 에 의해 변화된 마우스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하였다. SRBC 항원 주사전, 동시 또는 후에 Ge-132를 투여시 SRBC에 대한 적혈구 응집소가와 비장세포의 용혈반 형성세포(PFC)수가 항원 주사일과 관계없이 용량의존적으로 증가되어 체액성 면역반응을 강화시켰으며, 마크로파지의 탐식능도 항진시켰다. 그러나 DNFB에 대한 접촉성 지연형 과민반응은 DNFB 감작일과 투여용량에 관계없이 Ge-132투여로 억제되었다. CY를 투여한 마우스에 Ge-132를 병용 투여한 군이 CY 단독 투여군에 비하여 적혈구 응집소가와 PFC수 및 혈중 탄소입자의 제거율이 현저하게 증가되어, CY로 억제된 체액성 면역반응과 마크로파지의 탐식능이 항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DNFB 감작 전 CY 투여로 증폭된 접촉성 지연형 과민반응이 Ge-132 병용투여로 감소되어 CY로 유도된 면역독성 반응에 대한 Ge-132의 저지효과를 시사해 주었다.

  • PDF

IgG Humoral Immune Response to Extract Proteins of Malassezia Pachydermatis Isolated from a Dog with Atopic Dermatitis (Ad) (아토피 견에서 분리한 M. pachydermatis 추출 단백질에 대한 IgG 체액성 면역 반응의 연구)

  • Kim, Eun-Tae;Kim, Ha-Jung;Lim, Chae-Young;Park, Hee-Myung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25 no.5
    • /
    • pp.340-345
    • /
    • 2008
  • Malassezia pachydermatis (M. pachydermatis) is a component of the normal cutaneous flora of the dog and atopic dermatitis (AD)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s associated with Malassezia overgrowth in dog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umoral response (IgG) to extracts of M. pachydermatis of in a dog with AD. We used Western immunoblotting to identify allergens of M. pachydermatis. Gel electrophoresis of extracts proteins and immunoblotting of sera samples in both an atopic dog and a non-atopic dog were compared. Proteins of 18, 21, 26, 32, 34, 38, 40, 42, 46, 58, 64, 75, 85, and 120 kDa were observed in a serum of atopic dog. However, when serum of a non-atopic dog was used, protein bands were not identified except binding in 50 kDa prote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topic dogs with M. pachydermatis dermatitis may induce IgG response and also suggest that humoral response to M. pachydermatis could be important in pathogenesis of AD in dogs. Howeve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dentify roles of humoral response to M. pachydermatis in canine AD.

Effect of Royal Jelly on the Immunotoxicity of Cyclophosphamide (Royal Jelly가 Cyclophosphamide의 면역 독성에 미치는 영향)

  • 표명윤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5 no.3
    • /
    • pp.111-120
    • /
    • 1990
  • Effects of royal jelly(RJ) on the immune system in normal and cyclophosphamide(CY)-treated mice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1. Body weight, spleen weight, thymus weight, WBC, cell-mediated immunity (CMI, contact hypersensitivity to DNFB), humoral immunity (HI, Hemagglutinin-, Hemolysin-titer) were increased or decreased dependent on the day of administration of RJ in normal mice. But it showed no effect on liver weight and RBC. 2. Combined treatment with RJ in CY-treated mice on the day which RJ showed the increasing activities in normal mice inhibited the decrease of survival rate, body weight, spleen weight, WBC and CMI caused by CY, but no effect on the decrease of thymus weight and HI induced by CY.

  • PDF

Effect of Mercury Chloride on Humoral and Cell-mediated Immune Responses in Mice (수은이 마우스의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 Youm, Jung-Ho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28 no.1 s.49
    • /
    • pp.27-42
    • /
    • 1995
  • The in vivo and in vitro humoral and cell-mediated immune responses of lymphocytes of BALB/c mouse exposed to mercury chloride$(HgCl_2)$ were investigated. In vitro exposure of the splenocytes to mercury chloride produced overt cytotoxicity in 3 hours period. The $IC_{50}$(the concentration required to inhibit a splenocyte viability by 50%) for mercury chloride was >0.1mM for cytotoxicity. In vivo mercury chloride exposed mice were significantly depressed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DTH) response to sheep red blood cells(SRBC)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control group. Mercury chloride inhibited the proliferative responses of splenocytes to lipopolysaccharide, pokeweed mitogen, concanavalin A and phytohemagglutinin in a dose-dependent manner. Hemagglutinin response to SRBC in mercury chloride exposed mice was significantly depres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fter 7 weeks of mercury chloride exposure in vivo, mercury chloride induced an increase of nonspecific serum $IgG_1$ and IgE levels in BALB/c mice.

  • PDF

Studies on Bioresponses of Galangae Rhizoma (I) (고량강(高良薑)(Galangae Rhizoma)의 생체 반응에 대한 연구 (I))

  • KANG, TAK-LIM;HWANG, GWI-SEO
    • Journal of Haehwa Medicine
    • /
    • v.1 no.1
    • /
    • pp.319-328
    • /
    • 1992
  • 산한지통(散寒止痛)의 효능(效能)이 있는 고량강(高良薑)이 체내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인삼과 함께 실험을 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고량강(高良薑) 및 인삼 수침액을 Sarcoma-180 고형 종양 세포를 이식한 생쥐에 투여하여 생존기간을 연장시켰다. 이를 바탕으로 면역에 대한 효과를 검토한 결과, 정상 ICR 생쥐에서 고량강(高良薑) 수침액은 백혈구수, 체중에 대한 상대적 비장의 무게를 약간 감소시켰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성이 없었고, 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in vitro 실험에서, splenic IgM PFCs을 유의성있게 증가시켰으며, BSA를 주사한 생쥐에서의 Arthus반응도 증가시켰다. 그러나, 지연형 과민반응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비특이성 면역에 관여하는 Macrophage 등의 탐식 세포의 기능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고양강은 체액성 면역을 강화할 것으로 보여진다.

  • PDF

Effect of Dietary Hot Red Pepper Powder on Humoral Immune Response in Rat (고춧가루 첨가 식이가 흰주의 체액성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 유리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4 no.6
    • /
    • pp.837-842
    • /
    • 1995
  • Hot red pepper(Capsicum annum L.) has been extensively used as a spicy food additive and preservative in Kor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etary hot red pepper powder on humoral immune response in rats.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fed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0, 2, 5, 10% hot red pepper powder for 27 days. All groups were immunized with sheep red blood cells. In order to measure the immune response, plaque-forming cell number, agglutination titer, and serum antibody level were measured. Tissue ascorbic acid contents were also determin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phy. There was an increased plaque-forming cell number, agglutination titer, and serum IgG level in the groups supplemented with hot red pepper powder as compared to control. Tissure ascorbic acid contents in the hot pepper powder supplemented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ietary hot red pepper powder enhances humoral immune response in rats, indicating that the hot pepper contains biological response modifier.

  • PDF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Illite on Humoral Immunity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Flagella Antigen in Laying Hens (산란계에 Illite 급여가 Salmonella typhimurium 편모항원에 대한 체액성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

  • Lee, S.R.;Lee, S.;Chang, K.T.;Kim, J.W.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36 no.3
    • /
    • pp.201-206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dietary effects of illite on humoral immune response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flagella in Hyline Brown laying hens. Total of twenty eight 36-week-old hen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was fed commercial diet as control and the other was fed diet containing 2 % illite. Each group was divided into 2 sub-groups and then performed immunization of Salmonella flagella with different adjuvants which were Freund's adjuvant and croton oil. The rates of egg-production in all groups were normal range but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illite-treated and untreated groups. The serum antibody titers of Freund's adjuvant-used subgroup in illite fed group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especially from 6-to 9-week after $1^{st}$ immunization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groups (p<0.05). And the antibody titers of croton oil-used subgroup in illite-fed groups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especially at 4-, 6- and 7-week (p<0.05).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feeding illite stimulated the immune response against S. typhimurium flagella antigen in laying hens and suggest that the supplementation of illite to the poultry diets may support protective effects against bacterial infections such as Salmonellosis.

홍삼 유래 성분들의 면역조절 효능

  • Jo, Jae-Yeol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8 no.2
    • /
    • pp.6-12
    • /
    • 2009
  •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요항상성 유지기전의 하나이다. 이들 반응은 골수에서 생성되고 비장, 흉선 및 임파절 등에서 성숙되는 면역세포들에 의해 매개된다. 보통 태어나면서부터 얻어진 선천성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등과, 오랜기간 동안 감염된 다양한 면역원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획득성 면역을 담당하는 T 임파구 등이 대표적인 면역세포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면역질환이 최근 주요 사망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암, 당뇨 및 뇌혈관질환 등이 생체에서 발생되는 급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된다고 보고됨에 따라 면역세포 매개성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한 암환자의 급격한 증가는 암발생의 주요 방어기전인 면역력 증강에 대한 요구들을 가중시키고 있다. 예로부터 사용되어 오던 고려인삼과 홍삼은 기를 보호하고 원기를 회복하는 명약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우리나라 천연생약이다. 특별히, 홍삼은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조혈작용, 간기능 회복, 혈당강하, 운동수행 능력증대, 기억력 개선, 항피로작용 및 면역력 증대에 매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삼에 관한 많은 연구에 비해, 현재까지 홍삼이 면역력 증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연구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어져 있다. 홍삼의 투여는 NK 세포나 대식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고 항암제의 암세포 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면역증강 성분은 산성다당류로 보고되었다. 또 한편으로 일부 진세노사이드류에서 항염증 효능이 확인되어졌으며, 이를 통해 피부염증 반응과 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는 KT&G 연구출연금 (2009-2010)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기에 이에 감사드린다].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물질의 침입으로 유도된 질병환경을 제거하고 수복하는 중요한 생체적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이들 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미생물이나 미세화학물질들과 같은 독성물질을 소거하거나 파괴하는 것을 주요 역할로 한다. 외부로 부터 인체에 들어온 이물질에 대한 방어기전은 현재 두 가지 종류의 면역반응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즉, 선천성 면역 반응 (innate immunity)과 후천성 면역 반응 (adaptive immunity)이 그것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은 1) 피부나 점막의 표면과 같은 해부학적인 보호벽 구조와 2) 체온과 낮은 pH 및 chemical mediator (리소자임, collectin류) 등과 같은 생리적 방어구조, 3) phagocyte류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호중구 등)에 의한 phagocytic/endocytic 방어, 그리고 4)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을 통한 감염에 저항하는 면역반응 등으로 구분된다. 후천성 면역반응은 획득성면역이라고도 불리고 특이성, 다양성, 기억 및 자기/비자기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 유입물질을 제거하는 반응에 따라 체액성 면역 반응 (humoral immune response)과 세포성 면역반응 (cell-mediated immune response)으로 구분된다. 체액성 면역은 침입한 항원의 구조 특이적으로 생성된 B cell 유래 항체와의 반응과 간이나 대식세포 등에서 합성되어 분비된 혈청내 보체 등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성 면역반응은 T helper cell (CD4+), cytotoxic T cell (CD8+), B cell 및antigen presenting cell 중개를 통한 세포간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면역반응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의 하나인 염증은 우리 몸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감기에 걸렸을 경우, 환자의 편도선내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류는 감염된 바이러스 단독 혹은 동시에 감염된 박테리아를 상대로 다양한 염증성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처가 생겼을 경우에도 감염원을 통해 유입된 병원성 세균과 주위조직내 선천성 면역담당 세포들 간의 면역학적 전투가 발생되게 된다. 이들 과정을 통해, 주위 세포나 조직이 손상되면, 즉각적으로 이들 면역세포들 (주로 phagocytes류)은 신속하게 손상을 극소화하고 더 나가서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염증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이들 반응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발적 (redness), 부종 (swelling), 발열 (heat), 통증 (pain)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손상된 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류의 양이 증가하면서 혈관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조직의 홍반과, 부어 오른 혈관에 의해 발열과 부종이 초래되는 것이다. 확장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는 체액과 세포들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이를 통해 축적된 삼출물들은 단백질의 농도를 높여, 최종적으로 혈관에 존재하는 체액들이 조직으로 더 많이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부종을 형성시킨다. 마지막으로 혈관 내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은 혈판 내벽에 점착되고 (margination), 혈관벽의 간극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 히스타민 (histamine)이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 NO), 프로스타그린딘 (prostagladins : PGE2) 및 류코트리엔 (leukotriens) 등과 같은 chemical mediator의 도움으로 인해 혈관벽 사이로 삼출하게 되어 (extravasation),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직접적인 외부 침입 물질의 파괴나 다른 면역세포들을 모으기 위한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 IL-6 등) 혹은 chemokine (MIP-l, IL-8, MCP-l등)의 분비 등을 수행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매개하게 된다. 염증과정시 발생되는 여러 mediator 중 PGE2나 NO 및 TNF-$\alpha$ 등은 실험적 평가가 용이하여 이들 mediator 자체나 생성관련효소 (cyclooxygenase [COX] 및 nitric oxide synthase [NOS] 등)들은 현재항염증 치료제의 개발 연구시 주요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지속기간에 따라 크게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으로 나뉘며, 삼출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장액성, 섬유소성, 화농성 및 출혈성 염증 등으로 구분된다. 급성 염증 (acute inflammation)반응은 수일 내지 수주간 지속되는 일반적인 염증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국소반응은 기본징후인 발열과 발적, 부종, 통증 및 기능 상실이 특징적이며, 현미경적 소견으로는 혈관성 변화와 삼출물 형성이 주 작용이므로 일명 삼출성 염증이라고 한다. 만성 염증 (chronic inflammation)은, 급성 염증으로부터 이행되거나 만성으로 시작된다. 염증지속 기간은 보통 4주 이상 장기화 된다. 보통 염증의 경우에는 염증 생성 cytokine인 Th1 cytokine (IL-2, interferone [IFN]-$\gamma$ 및 TNF-$\alpha$ 등)의 생성 후, 거의 즉각적으로 항 염증성 cytokine인 Th2 cytokine(IL-4, IL-6, IL-10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등)이 생성되어 정상반응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서든 면역세포에 의한 염증원 제거 반응이 문제가 되면,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 이 반응에 주로 작용을 하는 염증세포로는 단핵구와 대식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등이 있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 1위의 원인이 되는 면역질환의 하나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 혹은 암유발 물질들에 의해 염색체내 protooncogene, tumor-suppressor gene 혹은 DNA repairing gene의 일부 DNA의 돌연변이 혹은 결손 등이 발행되면 정상세포는 암화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양성세포 수준에서 약 5에서 10여년 후 악성수준의 암세포가 생성되게 되면 이들 세포는 새로운 환경을 찾아 전이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암환자들은 다양한 장기에 동인 오리진의 암세포들이 생성한 종양들을 가지게 된다. 이들 종양세포는 정상 장기의 기능을 손상시켜며 결국 생명을 잃게 만든다. 이들 염색체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유래 암세포는 거의 대부분이 체내 면역시스템에 의해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스트레스나 암유발 물질의 노출은 체내 면역체계를 파괴하면서 최후의 방어선을 무너뜨리면서 암발생에 무방비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런 이유로 체내 면역시스템의 정상적 가동 및 증강을 유도하게 하는 전략이 암예방시 매우 중요한 표적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면역증강 물질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오랜동안 한방 및 민간에서 원기를 회복시키고, 각종 질병을 치료할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생약이다. 예로부터 불로(不老), 장생(長生), 익기(益氣), 경신(經身)의 명약으로 구전되어졌는데, 이는 약 2천년 전 중국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인삼은 오장(五腸)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고, 혼백을 고정하며 경계를 멈추게 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사를 제거하여주며, 눈을 밝게 하고 마음을 열어 더욱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 라고 기술되어있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려인삼 (Panax ginseng)이 효능 면에서 가장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별이 고려인삼으로부터 제조된 고려홍삼은 전세계적으로도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의 홍삼 약효는 dammarane계열의 triterpenoid인 ginsenosides라고 불리는 인삼 saponin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화합물군의 기본 골격에 따라, protopanaxadiol (PD)계 (22종) 및 protopanaxatriol (PT)계 (10종)으로 구분되고 있다 (표 1). 실험적 접근을 통해 인삼의 약리작용 이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된 인삼의 약리작용 관련 연구들은 심혈관, 당뇨, 항암 및 항스트레스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인삼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면역조절 및 염증현상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들은 많지 않으나, 향후 다양하게 연구될 효능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