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면민감도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5초

체면민감성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충동구매성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Face Sensitivity on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Impulse Buying Tendency -)

  • 유명강;이보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9권1호
    • /
    • pp.15-34
    • /
    • 2020
  • 체면민감성은 한국 사회에서 소비문화를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크게 관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체면민감성이 충동구매성향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충동구매성향은 체면민감성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매개변수로 작용하는가에 대해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면민감성의 하위요인인 타인의식성과 형식격식성은 충동구매성향의 하위요인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피의식성은 충동구매성향의 하위요인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충동구매성향의 하위요인인 암시충동구매와 상기충동구매는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자극충동구매와 순수충동구매는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체면민감성의 하위요인인 타인의식성은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데, 형식격식성과 창피의식성은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체면민감성과 만족의 영향관계에서 충동구매성향은 매개변수로 작용하는가에 대해 분석한 결과, 체면민감성의 하위요인인 타인의식성이 암시충동구매와 상기충동구매의 매개를 통해 소비자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업이나 마케터들에게 보다 의미있는 이론적 시사점,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마케팅 전략 수립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자기제시와 브랜드 선호도의 관계에서 체면민감성과 사용상황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Chemyon(Social Face) and Consumption Situ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resentation and Brand Preference)

  • 정보라;김미정;윤지현;이주화;한지수;이성수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1권1호
    • /
    • pp.15-24
    • /
    • 2022
  • 본 논문은 자기제시와 브랜드 선호도의 관계에서 체면민감성과 사용상황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충남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우선 공적 사용 상황에서든 사적 사용상황에서든 상징적 브랜드 선호도에 대한 자기제시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두 가지 상황 모두에서 기능적 브랜드 선호도에 대한 자기제시의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면민감성의 주효과는 공적 상황에서 기능적 브랜드 선호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때만 유의할 뿐 다른 경우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자기제시와 체면민감성의 상호작용효과를 보면, 공적 상황에서든 사적 상황에서든 체면에 대한 민감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사람들은 자기제시 수준과 무관하게 브랜드 선호도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고 있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사용 상황이 공적이든 사적이든 체면민감성은 자기제시와 상호작용을 통하여 브랜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침을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체면민감성이 소비자의 브랜드 로고 사이즈 선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ce Sensitivity on Consumer's Choice of Luxury Product's Logo Size)

  • 조승호;조상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500-51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체면민감성이 명품브랜드의 로고 사이즈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루이비통과 가격이 좀 더 저렴한 코론을 명품 브랜드로 선정하였고, 각 브랜드마다, 형태, 색상, 크기 등 외관상 구별이 되지 않는 제품에 세 가지 유형의 로고를 설계하였다. 첫 번째 종류의 제품에는 로고가 없으며, 두 번째 종류의 제품에는 사이즈가 작은 로고를, 세 번째 종류의 제품에는 사이즈가 큰 로고를 부착하였다. 본 실험에 총 115명이 참여하였으며, 참가자들은 20대로 구성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 루이비통의 경우 창피의식성 체면과 타인의식성 체면이 브랜드 상표 사이즈 선택에 영향을 주었으며, 코론의 경우도 창피의식성 체면과 타인의식성 체면이 브랜드 사이즈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남 녀 간 체면민감성 차이는 없었고, 루이비통의 로고사이즈 선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체면민감성이 대학생의 전공선택과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관광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Social-Face Sensitivity on Major-Choice and Job-Searching efficacy : A Case Study of Major for University students in Tourism)

  • 김광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151-16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체면민감성이 관광관련전공 학생들의 전공선택과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서울에 위치한 2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관광관련전공 학생 3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독립변수인 체면민감성의 자괴의식성 요인이 종속변수인 전공선택 요인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선택을 독립변수로 구성한 연구에서는 학문의 전문성 개인적 경험의 요인이 구직효능감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립변수 체면민감성의 자괴의식성 타인의식성 요인이 통계적 유의수준(p.<.05)에서 구직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광산업에 긍정적인 태도함양과 지도가 졸업 후의 진로설계와 진로성숙 수준을 높이는데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공익연계마케팅과 명품브랜드태도 관계연구 - 한국의 체면중시문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ause Related Marketing and Luxury Brand - On the Perspective of Financial Attitude -)

  • 이재진;윤성용
    • CRM연구
    • /
    • 제4권1호
    • /
    • pp.1-18
    • /
    • 2011
  • 삶의 수준이 높아지면서 명품의 대중화 성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보편화된 고객관계를 위한 전략이 수반되어야 한다. 명품브랜드구매는 고객의 상징적 편익 추구와 관련되고 이러한 사회적 욕구에 우리나라 사람들이 보다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이는 우리의 체면중시 문화와도 맞물려있다. 또한 공익과 소비의 관계도 고객들이 브랜드를 지속적으로 구매하고 호의적 이미지를 연상케 하는 중요한 대(對)고객 커뮤니케이션이다. 본 논문은 명품구매와 관련한 상징적 편익추구의 측면에서 공익과 연계하여 가치를 제고할 수 있고 여기에 한국인의 체면의식이 민감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실질적, 심리적 고려를 통해 명품브랜드에 대한 고객과의 지속적 고객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체면중시문화가 명품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공익연계마케팅이 명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하기로 한다.

  • PDF

모바일 기기 수용에 대한 심리적 요인에 대한 고찰: 중국 내 아이폰 선호를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on the Impact of Psychological Factor on the Adoption of Mobile Device: Based on the Preferences of iPhone in China)

  • 심선영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31-50
    • /
    • 2016
  • 아이폰의 판매는 중국 시장에서 특히 탁월한 실적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체면민감성이 중국 대학생들의 아이폰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한다. 체면은 타인의식성, 자괴의식성, 사회격식성이라는 세 가지 세부개념으로 구성된다. 218명의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하였다. 분석 결과, 타인의식성과 사회격식성이 아이폰 선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괴의식성은 그렇지 않았다. 추가적으로 경제력과 브랜드 민감도라는 두 조절변수의 영향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체면 민감성 중 타인의식성과 사회격식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아이폰이 효용재일 뿐만 아니라 사치재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애플사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 관련 비즈니스에서는 중국시장을 공략할 때 이러한 관리적 함의를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한·중 청소년의 스마트폰 구매의도에 미치는 심리적 요인에 관한 연구 (Examining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Purchase Intention of Smart Phone in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s)

  • 조명월;조승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1호
    • /
    • pp.71-79
    • /
    • 2014
  • 최근 스마트폰 이용인구는 성인뿐만 청소년들도 급격한 증가 추세이다. 본 논문은 한중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심리적 변수가 한중 청소년 소비자들의 스마트폰 신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심리적 변인들중에 본 연구가 초점을 둔 것은 과시욕, 체면민감성, 소외감 등의 요인들이었다. 이들 심리적 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세 가지의 심리적 요인 모두가 한 중 청소년의 스마트폰 구매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인이었으며, 특히 중국 청소년의 경우 심리적 요인 중에 체면민감성의 중요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무적 측면에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수립에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성역할정체감에 따른 체면민감성과 외모관리행동 (Social Face Sensitivity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ccording to Sex Role Identity)

  • 박은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16권5호
    • /
    • pp.164-17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sex role identity into groups and analyze the difference of social face sensitivity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by sex role identit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06 people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living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Kyoungbuk province.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frequency, factor analysis, credibility, ${\chi}^2$-test, ANOVA, Duncan-test, and t-tes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Sex role identity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ndrogyny, masculineness, feminineness, and undifferentiation). Men in androgyny group showed the highest rate of 41.3% followed by undifferentiation(24.7%), masculineness(21.3%), and feminineness(12.7%). Women in undifferentiation group showed the highest rate of 35.9% followed by feminineness(24.4%), androgyny(23.7%), and masculineness(16.0%). Social face sensitivity were composed of four factors (consciousness of being embarrassed, social formality, other consciousness, and prestig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were composed of six factors (skin management, fashion image management, plastic surgery management, weight management, hair management, and health managem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ocial face sensitivity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by sex role identity, ma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b-variables of social face sensitivity factors (consciousness of being embarrassed, social formality, and other consciousness). Both of the male and female showed a significance of difference in consciousness of being embarrassed, and social formality. Ma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b-variable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factors (fashion image management, weight management, hair management, and health management). Both of the male and female showed a significance of difference in fashion image management. Gender of twenties and thirties showed distinction between the sub-variables of social face sensitivity factors (consciousness of being embarrassed, and prestig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skin management, fashion image management, plastic surgery management, weight management, and hair management).

주거용부동산의 거주유형에 따른 베블런효과에 관한 연구: 과시소비성향을 중심으로 (A Study on Veblen Effect according to Residence Estate: Focused on Conspicuous Consumption)

  • 장서윤;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6호
    • /
    • pp.107-119
    • /
    • 2015
  • 최근 부유층 주거지에 특정 목적에 의한 중 저소득층이 진입, 준거집단에 합류하며 과시효과를 누리고 싶어 한다. 이 현상으로 주거용부동산에 대해 유한계급층이 아닌 일반 소비자들의 과시효과에 대한 욕구를 유추할 수 있다. 과시소비를 함으로써 고가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준거집단에 속한다는 우월함과 고가를 지불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해 부를 전시하는 효과를 얻는다고 볼 때 자신의 사회경제적 능력을 보이기 위한 과시적 소비성향은 주거용부동산에도 영향을 미치리라고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부동산의 거주유형에 따른 베블런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심리적 특성, 주거특성,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베블런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PLS 경로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차가거주자가 자가거주자에 비해 과시소비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면민감성은 자아존중감과 주거유형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이는 과시소비성향으로 이어진다. 또한 거주면적이 크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과시소비성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소비자의 체면민감성과 아웃도어웨어 구매행동 연구 -과시소비의 매개효과 분석- (The Study of Social-Face Sensitivity and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with Outdoor Wear -Mediating Effect of Conspicuous Consumption-)

  • 진대건;유소이
    • 패션비즈니스
    • /
    • 제22권2호
    • /
    • pp.14-26
    • /
    • 2018
  • This study was to explore purchasing behavior and repurchase intention by considering social-face sensitivity and conspicuous consumption. To do this, first, this study tried to explain how consumers had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social-face sensitivity, conspicuous consumption, purchasing behavior, and repurchase intention for outdoor wear. Second, this study t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behavior (purchasing behavior and repurchase intention) and social-face sensitivity by considering the mediating effect of conspicuous consumption. As the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al-face sensitivity (sensitivity to saving face) and conspicuous consumption, whic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ing behavior with outdoor wear(purchase frequency, purchase cost). Second, social-face sensitivity (consciousness of sham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spicuous consumption (preference for famous brands, status symbol, pursuing fashion), and social face sensitivity (consciousness of social form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spicuous consumption (preference for famous bran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picuous consumption and purchasing behavior showed that conspicuous consump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nsumer behavior (purchase frequency, purchase co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face sensitivity and purchasing behavior showed that being conscious of ot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ing behavior. Third, purchasing behavior with outdoor wea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Finally, this study confirmed that conspicuous consumption had a parti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face sensitivity (sensitivity to saving face) and purchasing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