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청소년 문화

검색결과 863건 처리시간 0.026초

다문화청소년 성장환경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on the Multi-cultural Background Adolescent's Growth Environment in Busan)

  • 김교정;정규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272-285
    • /
    • 2008
  •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성장과 적응을 위한 현재의 환경개선과 서비스 프로그램의 탐색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부산광역시 다문화청소년 5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 8명은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행하였다. 첫째, 설문지 분석결과로 초등학교 재학이 가장 많으며 출생별 서비스에 대한 욕구의 차이와 경제적수준에 따른 대인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둘째, 다문화청소년 전문가 그룹인터뷰결과, 다문화청소년 현재의 문제로는 학업수준과 대인관계로 지적되었다. 다문화청소년 당사자 욕구파악을 토대로 가족차원의 통합적인 서비스를 중심으로 그리고 동화주의의 차원이 아니라 그들의 문화를 인정하고 그들이 직접 참여하는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논의되었다. 이에 대한 제언으로. 당사자참여의 서비스 기획과 전문성을 위한 인력배치와 인센티브제도 정착, 지역 조직간의 네트워크 구성을 통한 가족단위의 통합지원서비스와 마지막으로 지역사회가 참여하는 분위기 조성이 제언되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 Kim, Hyung Hee;Chun, Jong s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119-12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의 경로에서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수준 향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분석자료로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의 다문화 청소년 4차, 5차, 6차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통계 프로그램 SPSS 23.0과 Amos 23.0 version을 이용한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팬텀변수를 이용하여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개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의 개별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런 결과는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 수준 향상을 위해 다각적인 차원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의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수준 향상을 위한 실천적인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다문화청소년의 개인요인, 정서요인, 부모요인, 사회·환경 요인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dividual Factors, Emotion Factors, Parents' Factors,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on Career Decision Making of Adolescents with Multicultural)

  • 조옥선;석말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55-164
    • /
    • 2021
  •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개인·정서·부모·사회·환경적 요인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대상자는 현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며 아버지가 한국인인 다문화청소년 1,146명을 다문화청소년패널(MAPS) 7차 자료에서 추출해 다중회귀분석으로 검증했다. 연구결과는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개인 요인인 자아존중감과 사회·환경적 요인인 학교생활적응 및 다문화 수용이 진로미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요인으로 우울증과 부모요인인 방임이 진로미결정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진로미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진로 미결정을 사전에 예방하고 진로미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스트릿 댄스 교육을 통한 청소년의 여가활동 인식 변화 분석 (Teenager's changed recognition about leisure activity through teaching street dance)

  • 한국화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1-242
    • /
    • 2012
  • 한국의 스트릿 문화 중심에는 한류가 있었고 지금까지 많은 발전을 해왔다. 이를 뒷받침 하는 것이 한류 열풍이고 k-pop이라는 새로운 문화 트렌드가 자리가 잡았다. 아이돌 가수들의 노래, 패션, 말투, 춤 등 이 모든 것들이 청소년의 여가 활도에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트릿 댄스에 대한 관심과 인식 조사를 통하여 청소년들이 참여할 수 있는 동기유발과 스트릿 댄스 교육의 중요성 및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스트릿 댄스의 발전에 기여하고 올바른 청소년의 여가활동의 방향을 잡고자 하였다. 따라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스트릿 댄스는 청소년 문화와 정서에 큰 영향을 미친다. 둘째, 스트릿 댄스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변화와 개인의 여가활동 변화에 긍정적인 작용으로 나타날 것이다. 스트릿 댄스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청소년기 학생들로부터 관심을 높일 수 있는 다각화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 PDF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이 공동체의식을 매개로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Ego-identity and Multicultural Accetance in Adolescent)

  • 김혜진;홍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1-4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아정체성과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조사(KCYPS) 중에서 초등학교 1학년과 중학교 1학년의 6차년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6차년도의 학년은 초등학교 6학년 고등학교 3학년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6과 고3의 자아정체성, 공동체의식, 다문화수용성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공동체의식, 다문화 수용성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기분석을 통하여 자아정체성과 공동체의식이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정체성, 공동체의식, 다문화수용성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부분매개와 완전매개모형을 비교 분석한 결과 청소년 전체와 초6은 부분매개모형이, 고3은 완전매개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청소년 초기에는 자아정체성의 형성이 다문화수용성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고, 청소년 후기에는 공동체의식이 다문화수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근거로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발달에 따른 자아정체성 정립과 공동체의식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적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청소년의 다문화경험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수용성과 문화적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xperience on Empathy in Adolescents: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Cultural Empathy)

  • 박순희;유지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499-51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다문화경험, 다문화수용성, 문화적 공감과 공감능력의 관계를 살펴보고, 다문화경험이 어떤 경로를 통해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힘과 동시에 다문화수용성 및 문화적공감이 간접효과를 가지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청소년 26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변수들 간에는 서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청소년의 다문화경험은 다문화수용성과 문화적 공감을 매개하는 경로를 통하여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화수용성 및 문화적 공감을 향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제공방식에 있어서도 차별성을 두고, 지속적이고 단계적으로 실시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한국 다문화 가정 부모자녀 간 한국어 및 계승어 유창성의 일치도가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National or Ethnic Language Fluency and the Quality of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 박지수;고유진;한윤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4호
    • /
    • pp.649-669
    • /
    • 2015
  • 국제결혼으로 인해 증가하고 있는 한국 내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은 다양한 사회·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부모자녀 관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자녀 관계의 질이 다문화 가정 자녀의 사회적응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라고 보았고, 한 가정 내에 한국어 및 계승어 두 가지 언어가 공존하는 한국 다문화 가정의 특성을 고려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한국인 부모와 청소년 자녀의 계승어 유창성 일치도와 외국인 부모와 청소년 자녀의 한국어 유창성 일치도에 따라 부모관계 만족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여성가족부(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2012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의 청소년 자녀 데이터와 그들의 부모 데이터를 병합하여 총 4314명의 청소년 데이터를 다층선형회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부모자녀 간 한국어와 계승어 유창성 일치도는 부모관계 만족도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고, 한국어나 계승어를 모두 유창하게 하는 집단, 청소년과 부모 중 한쪽만 유창하게 하는 집단, 둘 다 유창하지 않은 집단 순으로 부모관계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정 내의 건강한 가족관계 형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다문화 정책에 대해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중단 경험 (The Experience of School Dropout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 오정아;변수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25-136
    • /
    • 2020
  •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중단 과정의 경험을 살펴보고 이들의 학교적응을 강화시킬 수 있는 실천 및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업중단 다문화 청소년 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수행하였고, 현상학적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위기의 가족', '학교부적응', '차별과 갈등', '학교폭력 피해', '학업중단 위기', '학업중단 숙려제도 미작동', '학교를 떠남' 등 7개 대주제와 19개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웹 사이버문화 - 온라인 게임의 아바타 사용자 중심으로 - (Self-esteem of Adolescents and Web Cyber Culture Style - the Users' Avatars of Online Game -)

  • 이향재;한지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97-204
    • /
    • 2009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현실적 자아존중감과 아바타에 대한 그들의 의식을 연구하였다. 청소년들의 웹 가상문화에 대한 독특한 삶의 방식을 근본적인 측면에서 이해하려는 의도이다. 청소년기는 자아존중감 형성에 중요한 시점으로 웹 문화가 청소년의 심리적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방법은 유저의 자존감과 아바타에 대한 호감도 그리고 타인의 아바타에 대한 의식을 분석하여 그들의 심리 사회적 성숙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현실적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웹사이버문화의 아바타에 대한 호감도가 높게 상승하고 타인의 아바타를 인식하는 태도도 상승하는 것으로 나왔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은 자기소유의 아바타에도 자기에 못지않은 자존감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자존감 형성과 수준 여하에 따라 건전한 웹 사이버문화가 형성될 수 있는 심리적 성숙면의 자아정체감(self identity)의 중요성이 인식된다.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multicultural youth on learning adaptation: Focusing on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 Lee, Hyoung-H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197-20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를 통해 발생하는 간접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하여 분석하기 위해 다문화청소년 7차년도(2017년)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다문화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는 학업적응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사회적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효과 이외에도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를 매개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지지 및 학업적응 향상을 위한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