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청소년 건강행위

Search Result 113, Processing Time 0.02 seconds

일부지역 고등학생의 구강건강행위에 관한 인식조사 (A Research on Perception of Oral Health Behavior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Some Areas)

  • 유지수;김한홍;한양금;김승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411-416
    • /
    • 2010
  • 본 연구는 청소년기인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 구강보건행동, 구강진료기관이용 및 구강건강행위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2009년 4월 3일부터 4월 30일까지 서울, 경기도, 충남의 인문계와 전문계 일부 고등학교 학생 1,2,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자료 600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루 잇솔질 횟수는 3회가 가장 많았으며(p<0.001), 잇솔질 1회 소요시간은 2~3분 미만이 많았다. 잇솔질 방법은 위 아래로 회전하는 방법이 많았으며(p<0.05), 인문계는 혀 닦이를 항상 닦는다가, 전문계는 생각날 때만 닦는다가 가장 많았다(p<0.05). 이는 고등학생 시절인 청소년기의 올바른 계속구강건강관리에 대한 교육이 요구되어진다. 또한 구강보조용품을 사용하지 않는다가 인문계, 전문계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p<0.001),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모두 잘 알지 못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1). 이는 구강보조용품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해당 구강보조용품을 실제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하는 용품으로는 치실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5), 사용하게 된 계기로 주변사람의 추천과 치과전문가의 추천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 전문가에게 잇솔질 교육을 받은 경험은 모두 없다가 높게 나타났고(p<0.001), 정기구강검진 경험(p<0.001)과 치석제거 경험 모두 없다가 높게 나타났다(p<0.05). 이는 구강보건교육경험이 많지 않아 구강보건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하는 학교 구강보건교육 시행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시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학교유형에 따른 일부 고등학생들의 주관적인 인식의 차이와 행위에서 다소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구강건강증진을 위해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예방프로그램과 구강보건교육을 교육과정 내에 체계적으로 프로그램화시킬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청소년의 성병/에이즈감염 위험 요인

  • 박현이
    • 레드리본
    • /
    • 통권39호
    • /
    • pp.40-41
    • /
    • 2001
  • `성'에 대해서 바로 알면 자기 몸에 대한 소중함을 알아 자존감을 갖고, 잘못된 성으로 인해 가져올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생각해 봄으로써 세상을 살아가는데 옳은 것과 그른 것을 가려낼 수 있는 능력이 생기게 된다. 성적 행위는 일순간에 끝날 수도 있지만 그 결과는 삶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특히 성적인 관계가 말초적이고 감각적인 쾌락만을 추구하는 상품이 아니라 상대방과 사랑과 친밀감을 나누는 대화의 장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성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고 본다. 더불어 자신과 상대방의 성적인 건강을 고려하면서 만남을 만들어 갈 수 있는 안전한 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줄 수 있는 열린 성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 PDF

청소년 스포츠클럽 참여자의 몰입경험, 자아존중감, 운동지속의도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flow Experience, Self-esteem,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in Youth Sports Club Participant)

  • 이건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368-376
    • /
    • 2018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포츠클럽 참여를 통한 몰입경험과 자아존중감 및 운동지속의도의 관계를 규명하여 청소년들이 운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표집방법으로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편의추출법을 이용하였고, 설문지의 총 257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Window용 SPSS 21.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자의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인지몰입은 부정적 자아존중감에서 부적인 관계를, 긍정적 자아존중감에서는 정적인 관계를 나타났고, 경향성, 가능성에서 정적인 관계를 나타나고 있다. 행위몰입은 경향성, 가능성, 강화성에서 정적인 관계를 나타나고 있다. 둘째, 긍정적,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행위몰입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지몰입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강화성은 행위몰입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향성, 가능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스포츠클럽 참여에 따른 몰입경험을 파악하고, 청소년들에게 보다 적합한 신체활동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지속적인 신체활동을 통해 건강체력 증진 및 활기찬 학교생활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중학교 청소년의 고위험 건강 행위 관련요인 (Factors Related to High-risk Health Behavior in Middle School Adolescents)

  • 고유경;강경화;임지영;김민정;유현정;유일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2권3호
    • /
    • pp.341-350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high-risk health behaviors in middle school adolescents an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his behavior. Method: This survey study employed 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given to 621 students enrolled in one middle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Using the cluster sampling method, 4 classes from the 7th, 8th, and 9th grades were selected. The survey was done between April 20 and May 19, 2004.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Result: The results showed that 19.1% of adolescents smoked cigarettes and 8.4 % drank regularly. The mean score for resilience was 6.92 (range:0-10) and for depression, 23.62 (range:0-50). The adolescents in higher grades reported significantly more experience with pornography. Also, adolescents who reported have fewer conversations with their parents had significantly more experience with pornography.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ose students who had better academic skills and higher family income. Resilience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students who reported better schools records and higher family income. The most important factor related to the high risk behaviors, depression, and resilience was conversations with parent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o develop an effective high-risk health behavior pre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include communication skills with the parents.

  • PDF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흡연과 우울증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Cigarette Smoking and Depression Symptoms of High School Students)

  • 변해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669-4675
    • /
    • 2012
  • 이 연구는 2009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를 완료한 고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재학생 36,657명(인문계 27,380명, 실업계 9,277명)을 대상으로 흡연과 우울증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혼란변수는 성, 학년, 학교급, 학업성적, 경제상태, 주관적 스트레스 인지, 주관적 수면 충족률, 주관적 행복 정도, 주관적 건강상태, 자살 생각 경험을 포함하였다. 연구 결과, 평생 흡연 경험이 없는 학생에 비해서 흡연 경험이 있는 학생은 우울증의 관련성이 약 1.4배(OR=1.43, 95% CI: 1.35-1.50) 더 유의미하게 높았다(p<0.01). 또한, 일일 평균 흡연량이 1개비 이하인 학생에 비해서 반 갑 이상 한 갑 미만인 학생은 우울증의 관련성이 약 1.5배(OR=1.48, 95% CI: 1.22-1.79), 한 갑 이상인 학생은 우울증의 관련성이 약 2배(OR=2.05, 95% CI: 1.59-2.64) 더 유의미하게 높았다(p<0.001).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기 흡연이 우울증과 독립적으로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결과를 기초로 청소년기 정신 건강의 증진 및 유지를 위해서 흡연 행위의 적극적 관리가 요구된다.

일 지역 10대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와 공격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Aggression among Teenagers)

  • 최희정;유장학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8권2호
    • /
    • pp.104-110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aggression among teenagers. Methods: This was a descriptive study.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502 teenagers.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7 to October 5, 2009.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samples t-test,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average age of participants was 14.4. Fourty eight percent of participants were male, 67.3% were middle-class house, 23.1% were above overweight, 6.3% were daily smoker, 43.5% were occasional drinker. Age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negative correlation with health promotion behavior, while having positive correlation with aggres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enager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aggression according to their smoking and drinking experiences. Personal regression was identified 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teenager's aggression. Personal relationship, nutrition accounted for 15.7% of the varianc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program related to teenager's health promotion for reduction of their aggression level.

건강신념모델을 이용한 청소년 흡연 행위 예측 (Predicting Adolescents' Smoking Behavior Using Health Belief Model)

  • 홍윤미;이정렬;이경희;배선형;함옥경;한주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8-224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ain adolescents' smoking behavior using Health Belief Model.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was us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that influence smoking behavior among Korean adolescents. A total of 1.535 adolescents attending 21 high schools in one district of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rceived susceptibility, severity, benefits, and barriers were significant in predicting smoking behavior of adolescents. Likewise, the degree of juvenile delinquency, gender, the amount of pocket money, and having smoking parent(s) and friend(s) significantly affect smoking behavior of adolescents. Based on the study results, it is recommended to incorporate HBM components in smoking cessation programs, and to include parents and friends in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programs f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 PDF

WHO 건강증진학교 개념에 근거한 전국 중.고등학교의 건강증진학교 운영유형 (Clusters of Health-Promoting Schools in Middle and High Schools Based on the WHO Guidelines)

  • 고영;이인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82-291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lusters of health promoting schools in middle and high schools for the Korean Youth Risk Behaviors Web-based Survey. Methods: The tool of health promoting school was developed based on a framework for action for health promoting schools in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Schools Health Index for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by 2 professionals and 2 health teachers and revised as a result of the preliminary study. Data were collected with a questionnaire from teachers who attended the conference run by Korean Centers for Communicable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 2009. The data of 363 school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d ANOVA. Result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cores of health promoting schools, three Clusters were identified. The Clusters differed significantly in presence of health teacher, location, and type of schools (p<.05). Conclusion: These results are a good reference in developing tailored strategies for health promoting schools, which will help improve health-promoting schools.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비만관리 프로그램의 운영사례 - 미취학아동 비만예방 영양개선사업 - (The case study of obesity management program in local community - The practical approach for better Preschool children and preventing of obesity -)

  • 엄순희;신정원;장남수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비만ㆍ다이어트 박람회
    • /
    • pp.67-81
    • /
    • 2003
  • 우리나라의 비만아동의 문제는 이미 그 규모와 분포 면에서 미국이나 유럽아동에 못지 않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아동비만은 청소년기 비만, 장년기 비만으로 이어지며, 이는 곧 만성퇴행성 질환으로 이어지는 보건영양문제로서 그대로 방치할 것이 아니라 교육이나 건강행위실천을 통해 미리 적극적으로 예방해야 하는 문제이다. 또한 비만아동에게는 자신감 상실, 우울증, 부정적 자기 신체상 등과 같은 사회 정서적 문제들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몸과 마음이 모두 건강한 국민 체력향상 차원과 국가 경제의 안정을 도모하는 차원에서 비만 아동을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중략)

  • PDF

청소년의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s of Health Behavior Among Adolescents)

  • 정상혁;윤희상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6권
    • /
    • pp.65-73
    • /
    • 2005
  • Purpose : This study was to describe health behavior, self-esteem, health knowledge, health education needs, and to assess the effects of health behavior on self-esteem, health knowledge and health education needs. Study Methods : A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to randomly selected students in two middle schools in Seoul, Korea. The questionnaire contains items of health behavior on self-esteem, health knowledge and health education needs. Results : The mean score differences of health behavior were not meaningful. Health behavior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health knowledge and health education needs. The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higher self-esteem, health knowledge and health education needs was associated with higher scores of health behavior. Discussion : Health knowledg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behavior Therefore, regular health education class must be based on health knowledge and health education nee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