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청소년활동

검색결과 585건 처리시간 0.024초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창의성의 관계: 문화활동참여 빈도와 문화예술활동 경험 매개효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Creativity in Youth: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Frequency of Cultur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Cultural Activity Experience)

  • 김수정
    • 감성과학
    • /
    • 제27권2호
    • /
    • pp.49-58
    • /
    • 2024
  • 본 연구는 미래로 나아갈수록 창의적 인재가 요구되는 사회에서 청소년의 창의성을 어떻게 발현시키고 발달시킬 것인가에 대한 건강한 정신건강과 문화예술교육의 함의를 시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공하는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패널 데이터 자료를 부분 추출하여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신건강과 창의성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정신건강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문화활동참여 빈도, 문화예술활동 경험 각각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신건강과 창의성의 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관계로 나타났으며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했고 편안함, 즐거움, 행복함의 긍정적 정신건강과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활동이 청소년의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본 연구에서 검증하였다. 따라서 청소년의 창의성 발달을 위해 마음의 편안함, 즐거움, 행복함과 같은 심리·정서적 정신건강 증진이 우선 되어야 하며 촉진 수단의 매개로 문화예술활동에 참여하는 방법을 활용할 수 있으며 청소년 문화예술활동 경험의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와 교육 현장의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은 미래 사회의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주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흡연 정도에 따른 청소년의 금연시도 영향요인 비교 (Comparison of the Factors Affecting Smoking Quit Attempts in Adolescent Smokers according to Amount of Smoking)

  • 임소연;박민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622-633
    • /
    • 2017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흡연 정도에 따른 금연시도 영향요인을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가 실시한 2016년 제12차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한 2차 분석 연구로 SPSS 21.0으로 복합표본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대상자는 청소년 흡연자 4,012명으로 하루 10개비 미만의 일반흡연 청소년은 3,171명(78.4%), 하루 10개비 이상의 중증흡연 청소년은 841명(21.6%)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금연시도 비율은 일반흡연 청소년은 71.6%, 중증흡연 청소년은 64.8%로 일반흡연 청소년에서 더 높았다. 일반흡연 청소년의 금연시도 영향요인은 격렬한 신체활동, 우울 경험, 흡연 시작시기, 친구흡연, 금연교육 경험, 금연홍보 경험으로 나타났으며, 중증흡연 청소년의 금연시도 영향요인은 격렬한 신체활동, 친구흡연, 금연교육 경험, 금연홍보 경험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흡연자의 금연시도 성공을 위해 효과적인 밀착형 금연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함을 기대한다.

학교 밖 청소년 현장전문가의 활동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Meaning of Services based on Practitioner's Experiences: With Practitioners for Out-of-School Youths)

  • 박병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00-112
    • /
    • 2017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 관련 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현장전문가들의 활동경험에 대한 본질적 주제와 의미를 탐색하고 이해함으로써 학교 밖 청소년복지 실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들은 7명이며,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학교 밖 청소년 관련 기관 현장전문가의 경험은 진술한 의미를 가지고 주제 17개로 재조직화 후 5개의 범주로 합치기가 되었다. 경험의 5개의 범주는, "즐겁지 않은 학교", "행복하지 않은 가족", "아픔 뒤에 혹은 핑계 뒤에 숨는 아이들", "찾을 수 있을 때까지 같이 가보자", "세상이 바뀌었으면"으로 나타났다. 학교 밖 청소년들이 학교를 떠날 것을 결심하는 것에서부터 학교를 떠나고 학교를 떠난 후 생활에 대한 과정을 직접 듣고, 함께 생활하면서 겪은 현장전문가들의 실질적 지원과정의 경험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복지정책에 기여하고 실천적 지원방안 모색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예측변인에 대한 성차 연구 (The Gender Difference in Predictors of Mobile Phone Dependency in Youth)

  • 김현순;최영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40-35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휴대전화 의존 예측변인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에서 중학교 1학년 패널 3차 년도(2012)의 데이터를 활용 분석하였다. 예측 변인으로 주의집중결핍, 공격성, 우울, 사회적 위축, 부모의 학대, 부모의 방임, 학습활동, 또래소외를 설정하고 단계적(stepwise)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휴대전화 의존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여학생의 휴대전화 의존도는 남학생의 휴대전화 의존도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남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을 가장 잘 설명하는 예측변인은 공격성이고 그 다음이 부모의 학대, 주의집중 결핍, 그리고 학습활동 순이었으며, 여학생의 예측변인은 첫째가 우울이고 그 다음이 주의집중 결핍, 공격성, 학습활동 그리고 사회적 위축 순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은 남학생의 경우보다 더 많은 변인의 영향을 받으며, 남학생의 경우와는 달리 우울과 사회적 위축과 같은 관계지향적인 변인에 의해 더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개입의 실천적 방안은 모든 대상자들에게 일괄적으로 적용되기 보다는 성별에 따라 차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Effects of Mobile phone Dependence and Fandom Activities on the Satisfaction of life of Adolescents :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 Bang, Sung-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255-262
    • /
    • 2019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조사(KCYS)의 중1 패널데이터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올바른 휴대폰 사용과 팬덤활동에 관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으로 AMOS 23.0을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휴대폰 의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휴대폰 의존도는 자아탄력성에 의해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정서발달 및 급변하는 문화 활동에 맞는 맞춤형 프로그램이 개발 보급되어야 할 것 임을 시사하고 있다.

중학교에서 고3까지의 자아존중감, 진로정체감, 학습활동과 삶의 만족도 관계연구: 4년간의 변화를 중심으로 (Adolescent Self-esteem, Career Identity, School Learning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Change: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 김선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507-514
    • /
    • 2018
  • 본 연구는 잠재성장모형(LGM) 분석을 활용하여 후기 청소년기 삶의 만족도의 변화모형을 도출하고 자아존중감, 진로정체감과 학습활동, 성별, 가구소득이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후기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대상들은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CPS)의 중1 패널 3차년부터 6차년도 자료를 활용했다. 연구분석 결과, 첫째, 중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삶의 만족도 변화모형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2차 함수가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도출되었으며 초기치와 변화율 모두에 개인별 차가 유의미하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삶의 만족도변화에 영향을 주는 시간의존적인 독립변수로는 학습활동이 모든 학년마다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독립적인 독립변수들로는 성별과 자아존중감이 초기치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1차변화율과 2차 변화율에도 지속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에 따른 후기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대한 개입과 함께 실천적 함의에 대한 제안과 과제가 제시되었다.

청소년 신체활동지침 실천과 스마트폰으로 인한 문제경험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e of Physical Activity Guideline for Adolescents and Smartphone Problem Experience)

  • 김재용;성동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15-225
    • /
    • 2020
  • 본 연구는 정부 기관에서 제시하는 청소년 신체활동지침의 실천과 스마트폰으로 인한 문제경험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62,225명의 "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신체활동지침의 실천과 스마트폰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60분이상 신체활동"을 제외한 모든 신체활동이 스마트폰으로 인한 문제경험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산소운동, 근력운동, 스포츠클럽참여, 좌식행동 등 정부 기관에서 제시하는 신체활동지침을 실천하는 학생은 미실천학생에 비해 스마트폰 문제경험이 감소하였으며 이는 성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결과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예방에 있어 해당 지침을 활용한 학술적인 심층연구와 성별로 차별화된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원예활동프로그램이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융합효과 (Convergence Effect of Horticulture Activity Program on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

  • 하윤주;김은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409-416
    • /
    • 2019
  • 본 연구는 원예활동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유사실험 연구로서, 대상자는 실험군 39명, 대조군 36명 이었다. 프로그램은 2017년 1월 2일부터 2월 28일까지 8회기를 시행하고, 프로그램 전 후에 설문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Ver.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hi}^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원예활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자아존중감(t=2.41, p=.021)과 학교생활적응(t=3.85, p=.000)점수는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실시한 다문화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원예활동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다문화청소년을 대상으로 적응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드론프로그램 참여활동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Control on Life Satisfaction of Youth Participating in Drone Program)

  • 김광열;김연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9-15
    • /
    • 2023
  • 본 연구는 드론프로그램 참여활동 청소년의 자기 통제력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수도권(서울, 경기)에서 드론프로그램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이며 설문지로 진행하였다. 유효한 설문자료를 코딩하여통계분석하였다. 가설검증에 대한 통계적 유의수준은 ⍺= .05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통제력의 요인인 단순과제 선호와 신체활동 선호요인은 생활만족도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 통제력의 요인인 모험추구 요인은 생활만족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 통제력의 요인인 모험추구와 자기중심 요인은 생활만족도의 자율성 및 자아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코로나 19 팬데믹 시기에도 드론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청소년은 높은 자기 통제력을 통하여 일정부분 생활에 만족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정보통신망에서의 온라인 아동보호(COP) 국제표준화 동향

  • 오흥룡;진병문;나재훈;염흥열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7-12
    • /
    • 2012
  • 본 논문은 ITU, OECD 등에서 진행되고 있는 정보통신망에서의 온라인 아동 및 청소년들을 보호하기 위한 연구 현황 및 국제표준화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국내에서도 청소년들의 인터넷 사용 제한을 골자로 한 청소년보호법(일명 셧다운제) 개정이 2011년 4월 29일 국회에서 통과되어 현재 시행 중에 있는 바, 인터넷 및 모바일을 기반으로 청소년들에게 다양하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산업체 전문가들에게 "아동 및 청소년 보호를 위한 국제적인 표준화 활동"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