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청소년의 자살생각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6초

청소년의 흡연과 자살생각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 Smoking Level and Suicidal Ideation of Youth)

  • 홍민순;정혜선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0-57
    • /
    • 2014
  • Purpose: Smok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lobal health issu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smoking behavior and the amount of smoking affect the youth's suicidal ideation. Methods: This study utilized the data of the Sixth Online Survey on Youth's Health Behavio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3,238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9.3.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smokers and nonsmokers was analyzed through the ${\chi}^2$-test. Also,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smoking behavior and the amount of smoking affect suicidal ide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study, adolescent smoking and suicidal ideation had a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ship. In terms of suicidal ideation, those who smoked more than 20 cigarettes everyday had 1.81times higher odds ratio (95% CI 1.49~2.20) and those smoking 10~19 cigarettes everyday had 1.29times higher odds ratio (95% CI 1.13~1.48) than nonsmokers. Both of the results w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With regard to smoking adolescents, smoking behavior and the amount of smoking affect their suicidal ideation in a statistically meaningful manner. Current smokers are proven to have more suicidal ideation than nonsmokers. In addition, the study shows that the more a person smokes in a daily basis, the more suicidal ideation he/she has. The author recommends this result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the prevention of smoking among the Korean youth.

가족의 기능적 결손 정도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우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unctional Deficiency in Family on Self-esteem, Depression, and Suicidal Inclination of Adolescents)

  • 박재산;이미순;문재우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9-209
    • /
    • 201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functional deficiency of Family and self-esteem, depression, suicidal inclination of adolescents. Methods: The data in this study came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Data (N=3,449) for 2005~2007.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presented in the research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carried out by using AMOS 7.0. And all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WIN 12.0. Results: The main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function made a positive impact on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Second, the severe functional deficiency in family appear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suicidal inclination and depression of adolescents. Third, the higher the adolescents' self-esteem, the lower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Fourth, the more severe the depression, the higher occurrence of suicidal inclination. Conclusion: In conclusion, functional deficiency in adolescents' family impacted negatively on self-esteem, and this contributed to increased depression and anxiety, and to suicidal inclination finally.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strength of family function, the closeness with parents, forming a stable relationship and strength of the emotional bond are very important factors to form self-esteem and reduce depression and suicidal inclination.

여중생의 초경경험과 정신건강의 연관성 연구 (The association between menarche experience and mental health in middle school girls)

  • 안경민;홍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737-5744
    • /
    • 2013
  • 이 연구는 14세의 여중학생의 초경 경험과 정신건강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으로 제 8차 (2012년)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에 참여한 여중생 1학년 5,991명을 선별하였다. 데이터는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chi-square,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중 4,473명의 초경경험 여학생군(여학생의 평균 초경연령은 12.8세)과 1,518명의 비 초경경험 여학생군을 확인하였다. 초경경험과 정신건강의 로지스틱 분석결과, 지각 스트레스(OR=1.39, 1.20-1.62, p<0.001), 인지 우울증(OR=1.25, 1.10-1.42, p<0.05), 자살 생각(6OR=1.60, 1.38-1.87, <0.001), 자살 계획(OR=1.66, 1.33-2.81, p<0.001)과 자살 시도 (OR=1.42, 1.09-1.86, p<0.05)에 대한 위험 비 (OR)[95% confidence interval (CI)]는 초경 경험군에서 초경 비 경험군보다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초경의 경험이 여중생의 정신건강에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초경의 경험이 여자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었음을 시사한다.

남녀 청소년의 우울 및 자살 생각과의 관련 요인 (The Factors Associated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 김채봉;정태영;황성완;김재행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61-177
    • /
    • 2013
  •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evidence for establishing prevention programs of school' mental health by identifying the factor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related to stress of peer-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data of 6,924 (who Experienced stress related to peer-relationship) among the 2012 Korean Youth Health Risk Behavior Online Survey(8th).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affects depression in the case of girls. In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medical treatment by violence, drinking experience, smoking experience have an effect on depression in the case of boys. Subjective health, drinking experience, smoking experience, drug experience are the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both boys and girls. In order to promote mental health of youth, school-based prevention education complementing existing realistic problems needs to be implemented.

제14기(2018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이용한 청소년 주관적 체형 인지와 자살 생각 사이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Subjective Body Image and Suicide Ideation: Based on 14th Korean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 류한준;김영호;김재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1-220
    • /
    • 2020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the importance to recognize subjective body image on their mental health on adolescents. Methods: We used the chi-square test and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analyze the data of the "Korean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in 2018" (n=42,259) conduc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uicide ideation increased when the subject body image is thin and fat. Especially, the suicide ideation who recognized the subjective body image as thin is higher (odds ratio [OR], 1.666; 95% confidence interval [CI], 1.050-1.295), and who recognized the subjective body image as fat is higher (OR, 1.134; 95% CI, 1.032-1.245) than the group who recognized the subjective body image as normal. Conclusion: When preparing a health policy on adolescent suicide issues, we need to consider the association between subjective body image and suicide ideation.

남녀 청소년의 신체활동과 자살 생각 (Physical Activity and Suicidal thoughts i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 권민;이진화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25-335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gender in South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is designed a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the statistics from the 12th (2016)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study sample comprised 62,55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ged primarily 12 to 17. Results: The rate of engaging in physical activity more than three times a week was 39.6% for boys and 28.8% for girls and the rate of suicide ideation was 9.35% for boys and 14.9% for girls. Male students were 1.42 times more likely to commit suicide when they did not engage in physical activity than when they do more than three times a week but it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female students. Conclusion: Physical activity should be encouraged 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school health area to reduce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Differentiated interventions are required according to gender. It is suggested that intervention programs involving physical activity be implemented more actively for male students and intervention programs centering on obesity and smoking prevention be implemented for female students.

머신러닝 기반 한국 청소년의 자살 생각 예측 모델 (Machine learning-based Predictive Model of Suicidal Thoughts among Korean Adolescents.)

  • YeaJu JIN;HyunKi KIM
    • Journal of Korea Artificial Intelligence Association
    • /
    • 제1권1호
    • /
    • pp.1-6
    • /
    • 2023
  • This study developed models using decision forest, support vector machine, and logistic regression methods to predict and prevent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51,407 individuals after removing missing data from the raw data of the 18th (2022)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MS Azure program with Two-Class Decision Forest, Two-Class Support Vector Machine, and Two-Class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decision forest model achieved an accuracy of 84.8% and an F1-score of 36.7%. The support vector machine model achieved an accuracy of 86.3% and an F1-score of 24.5%.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achieved an accuracy of 87.2% and an F1-score of 40.1%. Applying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with SMOTE to address data imbalance resulted in an accuracy of 81.7% and an F1-score of 57.7%. Although the accuracy slightly decreased, the recall, precision, and F1-score improved, demonstrating excellent performance. These finding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s for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and can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youth suicide.

한국 청소년의 편의식품 섭취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15차 (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이용하여 (Factors influencing the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s among Korean adolescents: analysis of data from the 15th (2019)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박슬기;이지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3호
    • /
    • pp.255-270
    • /
    • 2020
  • 본 연구는 2019년 제15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들의 편의 식품 섭취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특성, 정신건강 특성, 그리고 건강행태 특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청소년들의 편의식품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주관적 학업성적, 주관적 경제상태뿐만 아니라 정신건강 요인인 스트레스 인지, 주관적 수면 충족, 우울감 경험, 자살 생각이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건강행태 요인으로 아침식사 결식, 패스트푸드, 단 음료 섭취 등과 같은 식생활 행태뿐만 아니라 흡연, 음주, 약물복용 등의 요인도 청소년들의 편의식품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편의식품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가정에서는 청소년들이 아침식사, 채소, 과일, 우유 섭취와 같은 건강한 식습관 및 충분한 수면 습관을 형성하도록 돕는 자녀교육이 필요하며, 학교에서는 청소년들이 건강한 식품을 선택하고 손쉬운 건강식을 스스로 만들어 먹을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도록 돕는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편의식품 섭취 빈도가 높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금연, 금주와 같은 건강증진 행위를 실천하도록 돕는 건강교육이 함께 실시될 필요가 있다. 정부에서는 청소년들에게 건강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소매 업체가 우선적으로 학교 주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법률을 제정하거나, 학교 주변 소매 환경에서 양질의 편의식품이 판매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청소년의 편의식품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단적으로 연구할 것을 제언한다.

중학생의 성경험 영향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Sexual Debut amo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 유정옥;김현희;김정순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159-167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의 인구사회학적, 건강행태 특성별 성경험률과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제8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중학생 37,297명을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다단계층화집락추출에 의한 자료이므로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에서 제시한 복합표본설계정보(층화, 집락, 가중치)를 반영하여 SPSS WIN 18.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남학생의 성경험은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경제상태가 중간인 경우보다 높을 때 1.54배(95% CI [1.20, 1.96]), 낮을 때 1.43배(95% CI [1.08, 1.89]) 증가하였고, 양쪽 부모님이 모두 안 계실 때 2.68배(95% CI [1.82, 3.96]),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경우 1.98배(95% CI [1.43, 2.74]) 성경험률이 증가하였다. 음주, 흡연, 약물을 할 경우 각각 2.35배(95% CI [1.79, 3.08]), 2.35배(95% CI [1.76, 3.14]), 4.17배(95% CI [2.81, 6.19]) 성경험이 증가하고 우울할 때 1.32배(95% CI [1.01, 1.71]), 자살생각이 있을 때 1.43배(95% CI [1.09, 1.89]), 성교육을 받지 않았을 때 1.67배(95% CI [1.35, 2.08]) 성경험률이 증가하였다. 여학생인 경우는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경제상태가 중간인 경우보다 높을 때 1.87배(95% CI [1.30, 2.70]),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경우 1.79배(95% CI [1.21, 2.67]) 성경험률이 증가하였다. 흡연을 할 경우 3.95배(95% CI [2.56, 6.10]), 약물을 사용할 경우 5.48배(95% CI [2.80, 10.74]) 성경험률이 증가하고 우울할 때 1.65배(95% CI [1.17, 2.31]), 스트레스가 조금인 경우보다 없을 때 2.30배(95% CI [1.18, 4.48]), 성교육을 받지 않았을 때 1.50배(95% CI [1.09, 2.07]) 성경험률이 증가하였다. 반면 부모학력이 중졸이하보다 고졸일 경우와 1학년보다 2학년의 경우 성경험률이 낮았다. 결론 남녀 중학생의 공통된 성경험 영향요인은 가정 경제수준, 아르바이트 경험, 현재 흡연, 약물사용, 우울, 성교육이었고, 남학생의 경우 양쪽 부모 동거 상태, 음주, 자살생각이 여학생과는 다른 관련 요인이었으며 여학생의 경우 부모학력, 스트레스, 학년이 남학생과는 다른 영향요인이었다. 성경험과 관련하여 남녀 학생별로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남녀별로 차별화된 성건강 중재개발이 요구되며 성경험이 음주, 흡연, 약물 등의 문제행동과 함께 나타나므로 중학생의 성건강을 위해서는 단편적인 성교육 프로그램보다 정신건강 및 건강습관의 틀과 함께 접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 청소년의 가당음료 섭취실태 및 영향요인 : 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이용 (Sugar-sweetened beverage consumption and influencing factors in Korean adolescents: based on the 2017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김아영;김진희;계승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5호
    • /
    • pp.465-479
    • /
    • 2018
  • 본 연구는 2017년도 제 1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청소년의 가당음료 섭취실태를 파악하고 가당음료 섭취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 행위, 심리적 특성 및 식습관과의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가당음료 섭취빈도는 탄산음료, 고카페인 또는 에너지음료, 단맛이 나는 음료수에 대한 섭취빈도를 합산하여 산출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가당음료 섭취비율을 살펴보면 남학생과 여학생의 가당음료 섭취 비율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중학생군과 고등학생군의 가당음료 섭취 비율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아버지의 학력에서도, 주관적인 학업성적에서도 군간에 가당음료 섭취비율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2. 건강행위별 가당음료를 섭취하는 비율은 흡연군과 비흡연군간에 차이를 나타냈으며, 음주군과 비음주군에서도 섭취 비율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중강도 고강도운동 등의 신체활동군에서 비신체활동군과의 가당음료 섭취 비율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3. 심리적 특성으로서 스트레스가 높거나 자살 생각 또는 슬픔이나 절망감을 경험한 군에서도 비경험군과 가당음료 섭취 비율이 다르게 나타났다. 4. 식습관 요인을 살펴보면 아침을 주 5일 이상 결식한 군과 비결식군간에, 패스트푸드, 라면, 과자를 일주일에 3회 이상 섭취 또는 편의점 슈퍼마켓 학교매점을 이용하여 식사를 한 경험이 일주일에 3회 이상 있는 군과 3회 미만인 군간에 가당음료 섭취비율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채소 반찬의 경우 매일 3회 이상 섭취한 군과 3회 미만으로 섭취한 군간에 가당음료 섭취비율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5. 가당음료 섭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아버지의 학력이 낮을수록, 주관적인 학업성적이 낮을수록, 흡연이나 음주를 하는 학생이 가당음료를 섭취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스트레스가 심하거나, 자살 생각 또는 슬픔이나 절망감을 경험한 학생들의 가당음료를 섭취할 가능성이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아침을 자주 결식하거나, 패스트푸드, 라면, 과자 등 건강하지 못한 식품을 섭취하거나, 편의점, 슈퍼마켓, 학교매점에서 저녁을 간단히 먹는 학생들에게서도 가당음료 섭취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가당음료 섭취와 인구사회학적 요인, 건강관련행위, 심리적 특성 및 식습관 등 여러 요인들과 연관성이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가당음료 섭취는 영양적으로 가치가 낮은 반면 칼로리는 높아 비만을 유도하고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현재 정부에서 청소년들의 당류섭취량을 줄이기 위해 학교 내 또는 학교주변 어린이식품안전보호구역에서 탄산음료 또는 고카페인 함유 음료 판매를 금지하고 있으나, 학생들의 자의적 선택에 의해서 가당음료를 마시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교 영양교사나 급식영양사에 의하여 당류 섭취 감소를 위한 주기적인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